제주특별자치도

위성사진으로 본 제주도

濟州特別自治道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중 하나로 제주도와 그 부속도서들, 그리고 추자도를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 제주시서귀포시의 두 행정구역을 두고 있으며 도청소재지는 제주시.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후가 따뜻한 편이다. 다만 바다의 영향으로 바람이 센 편.

고대에는 탐라라는 나라가 있었다가 고려 때에 되어서야 편입되었다. 조선시대 때는 대표적인 유배지 중 하나이기도 했다. 조선 때는 전라도에 속해 있었으나 1946년 전라남도에서 제주도가 분리되었고,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되었다.

제주도 방언은 한국어 방언 중에서는 가장 독특한 편으로, 종종 제주어라고 해서 별개의 언어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일단 유네스코에선 한국어와 제주어를 별개 언어로 보고 있다.) 다만 방언 사용은 젊은 층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 제주대학교에도 제주어학과가 없다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이다. 최근들어서는 중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큰 폭으로 늘고 있다. 길거리에서 심심찮게 중국어를 들을 수 있을 정도.

특별자치도

2006년 2월 9일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로 출범하게 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국방,외교,사법을 제외한 부분의 자치권을 폭넓게 보장받고, 재정, 사무, 감사등 여러 방면에서 특례를 적용받는다. 반면 제주도지방자치계층은 중층제에서 단층제로 변경되어 이전에는 도의회-시·군의회, 도지사-시장·군수 였던 것이 군이 시에 통폐합되고 시가 행정시로 바뀜에 따라 도지사도의회만이 남게 되었고 시장은 선출직이 아닌 임명직 행정시장으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 자치경찰제가 도입되어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이 창설되었고, 모든 국도가 지방도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