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

Nelson1827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25일 (수) 21:27 판

대대(大隊, Battalion, Squadron[1])는 군대의 편제 중 하나로, 중대보다 크고 연대보다 작은 규모이다. 대대는 전술 행동의 최소 단위다. 대대부터 독립적인 지휘통제실지휘소(CP)를 가지며, 영어 명칭은 병과마다 다르게 쓴다.

특징

병사에게나 장교에게나 의미가 큰데, 병사들끼리는 중대만 다르면 아저씨라고는 하나 연대만 돼도 얼굴 보기도 힘든 다른 아저씨들과는 달리 대대 아저씨는 어느 정도 안면은 있는 아저씨가 되며, 장교들 입장에서는 장기복무 장교가 무난하게 진급해서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종 계급이 보통 대대장을 달게 되는 중령까지이기도 하다. 대대장이 고급 장교로 대접받는 위치라는 의미는 본부중대가 있다는 점으로, 본부중대 내에는 대대장을 보좌하는 참모들(중위~대위급)이 존재하고, 대대내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행정병 및 대대장을 보좌하는 당번병이 있다. 거기에 대대장은 부대에 인접한 대대장 관사에 입주하는 자격이 주어진다.

육군

보병

보병의 핵심적인 편제로 볼 수 있으며, 대대장부터 고위 장교로 대우를 받는 위치에 있다. 대대장의 표준적인 계급은 중령이지만, 간혹 중령 진급이 확정된 소령이 보직되면 대대장 부임 이후 근시일 내에 중령 계급장을 다는 식. 물론 후방 지역방위사단, 동원사단의 대대장은 소령급이 보직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섹터에 강안이나 해안경계가 포함될 경우 해당 지역의 대대장은 중령이 보직된다. 일반적으로 후방 지역의 대대장은 중령 진급이 막혀 말년을 보내는 소령들이 거치는 자리라는 인식이 팽배한 편이다. 지역방위사단이나 동원사단은 평시에 감편된 체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배속 인원이 전방 보병중대보다 못한 경우가 흔하다.

보병대대에는 보통 소총중대 3개, 본부중대 1개, 전투지원중대 1개가 배속되며, 여기에 상급 연대에서 파견 나온 의무반, 통신반, 정비반이 편성되기도 한다. 보병대대에 편성된 전투지원중대는 대대 내에서 가장 강력한 화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K-4 고속유탄발사기, 81mm 박격포, 무반동총 등 각종 중화기를 운용한다.

보통 보병 부대의 주둔지는 대대급을 기준으로 편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합 생활관을 사용하는 경우 각 중대별로 층을 구분하여 입주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기갑

전차대대나 기계화보병대대는 일반 보병과는 다른 편제를 사용한다. 상급 부대가 연대가 아닌 여단이기 때문에 부대의 권한 영역이 넓고, 기동장비 위주의 부대이기 때문에 정비부대가 여단에서 파견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대대에 자체 소속이다. 그리고 각 전차/기계화보병중대별로 구난전차/장갑차를 운용하는 정비반이 배속되며 원사~준위급 부사관/준사관들이 정비반장을 수행한다. 보통 3개의 전차/기계화보병중대에 본부중대를 가지며, 보병처럼 별도의 전투지원중대를 두지않고 본부중대 아래에 전투지원소대를 둔다. 기갑부대 대대장은 보통 훈련을 나가면 지휘소 역할을 하는 지휘장갑차에 탑승한다.

포병

포병대대는 포대 3개와 본부포대 1개로 구성된다. 지휘부에는 작전, 정보, 군수, 정훈, 인사 등 참모장교들이 편성되고 여기에 포병만의 특색인 사격지휘장교가 포함된다. 또한 각 보병연대나 보병대대에 파견가는 화력지원장교도 포병대대 소속이다. 포병 특성상 장비 위주의 부대이기 때문에 정비반 역시 포병대대 소속이며, 의무반 역시 대대 소속으로 편제된다. 탄약반은 포병 특성상 군수가 아닌 별도의 부서로 임의 편제되어 탄약장교가 보직되며 병기담당관과 탄약담당관이 보좌하는 독립된 처부이다.

보병대대와 다르게 포병대대는 각 포대별로 주둔지가 독립된 경우가 흔하다. 이는 적군의 최우선 타격목표이기 때문에 한 곳에 모여있으면 그만큼 적군의 집중공격에 대대 자체가 전멸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

특수부대

특전사 예하 특전여단들 아래 대대가 편성된다. 각 대대는 예하에 지역대 3개와 대대본부 및 여타 지원부대로 구성된다. 소수정예의 특전사 편제상 특전대대는 일반 보병대대보다 인원이나 부대 규모가 작다.

육군의 군단급에는 특공여단이나 특공연대가 편성되고, 사단급에는 수색대대가 편성된다. 부사관 위주의 특전사에 비해 병 위주의 부대여서 편제 자체는 일반 보병과 유사하게 연대, 대대, 중대, 소대 단위로 내려간다. 물론 소속 인원은 일반 보병부대보다 훨씬 적다. 국방부는 장기적으로 특공부대의 인원들도 점차 부사관 위주로 바꿔서 전문성을 높일 계획을 진행중이다.

해군

군사경찰이나 해군특수전전단에 편성된다. 특수전전단의 경우 임무별로 특전대대를 편성하고, 여기에 전문적으로 대테러를 수행하는 특수임무대대 및 폭발물을 다루는 EOD가 포함된 폭발물처리대대가 존재한다. 해군 항공대나 해병대 항공대의 비행대대는 영문명칭으로 Squadron을 사용한다.

공군

공군의 비행대대는 영문명칭으로 Battalion이 아닌 Squadron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비행단 기준 약 20대의 전투기가 1개의 비행대대를 구성한다. 군사경찰이나 정비대대를 제외한 일반적인 비행대대의 인원은 대대인원 총원이 100명을 넘기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는 파일럿 위주로 구성된 공군의 특성에 기인한다.

각주

  1. 공군에서는 스쿼드론은 비행대대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기병대 전통이 남은 군대에서는 스쿼드론은 중대~대대 규모 기갑부대를 가리킨다. 해군에는 스쿼드론은 전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육군
해병대
국직부대
분대
(분대장)

(반장)
소대
(소대장)
중대
(중대장)
지역대/
(대장)
대대
(대대장)
연대
(연대장)

(단장)
여단
(여단장)
사단
(사단장)
군단
(군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작전사령부
(사령관)
포병 포반
(포반장)
전포대
(전포대장)
포대
(포대장)
사격대
(사격대장)
대대
(대대장)
포병단
(단장)
해군 중대
(중대장)
편대
(편대장)
대대
(대대장)
전대
(전대장)
전단
(전단장)
기지/방어사령부
(사령관)
함대/잠수함
(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관)
공군 /
(반장/대장)
중대/편대
(중대장/편대장)
포대/대대
(포대장/대대장)
전대
(전대장)
비행단
(단장)
여단
(여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