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역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2월 2일 (수) 08:41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광주전남본부( |<br />)광주지역관리단 +광주전남본부))
[[파일:Korail Hampyeong Station.jpg|336px|alt=]]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영산로 3530
노선 호남선 218.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목포관리역
개업일 1913년 5월 16일
코드 39
승강장 2면 4선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함평읍내에 있지는 않고 학교면에 있다. 개업 당시에는 지금보다 좀 더 면소재지 쪽에 붙어서 '학교역'이란 이름으로 개업했다가, 복선전철화 과정에서 현위치로 옮겨지며 이름을 개명했다.

함평군의 유일한 철도역이자 목포관리역이 관리하는 마지막 역. 이 다음 역인 무안역부터는 목포관리역 관할이며, 일로역의 피제어역이다.

역 정보

원래는 함평궤도라는 게 함평 읍내까지 가서 읍내에서 학교역을 이용하기 쉽게끔 했으나 이미 오래 전에 폐선되었다.

읍내와는 5km 가까이 떨어져 있음에도[1] 수요가 꽤 나오는 편인데, 이유는 물론 함평 나비축제 버프. 축제 기간에는 KTX가 정차하기도 한다. 역이 좀 좁다는 게 문제가 됐지만.

승강장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대전조차장 방면
고막원 6.8 km
함평 목포 방면
무안 7.6 km

경유 열차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경전선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2]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호남선 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애초에 학교면은 원래 무안현 소속이었다.(...)
  2. 부전~목포 구간 열차는 미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