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전라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전라북도 +분류:전북특별자치도))
 
127번째 줄: 127번째 줄:


[[분류:호남고속선]][[분류:호남선]]
[[분류:호남고속선]][[분류:호남선]]
[[분류:전라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전북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5.57558141345174|126.84221684932709|12|정읍역}}
{{리브레 맵스 마커|35.57558141345174|126.84221684932709|12|정읍역}}

2023년 9월 20일 (수) 18:30 기준 최신판

정읍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연지동)
노선 호남고속선 131.4 km
호남선 131.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개업일 1912년 12월 1일
코드 33
승강장 4면 10선

역 정보[편집 | 원본 편집]

호남선호남고속선의 철도역. 정읍시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개업 당시부터 정읍역이란 이름이었으나 정읍군에서 정주시가 분리되며 정주역이 됐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며 다시 정읍역이 되었다. 호남선의 주요역 중 하나, 당초에는 호남고속선 KTX를 세울 계획이 없다가 지역 주민의 반발로 정차하게 되었다. 이에 맞춰서 신 역사를 2013년에 착공하여 2015년에 완공했으며, 완공 후 구 역사는 철거되고 모든 업무가 서울시청 신청사 느낌이 나는(...) 신 역사로 이전되었다.

정읍역은 지방 소도시인 정읍시 자체의 수요는 그리 많지 않지만, 주변 지역인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등지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이며, 특히 주변에 유명한 관광지인 내장산 국립공원의 행락객[1]이나 변산반도 등의 관광객 수요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정읍역 자체의 위치도 정읍시 시가지의 중심부와 매우 가깝고,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지근거리에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버스 터미널이 있어서 환승에도 용이하다.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ITX-새마을 역시 사실상 필수정차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호남고속선 KTX가 선택 정차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오송 방면
익산 50.5 km
정읍 광주송정 방면
광주송정 42.1 km
대전조차장 방면
신태인 13.5 km
정읍 목포 방면
천원 6.0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SRT 호남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ITX-마음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내장산은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