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촌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6명의 중간 판 1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gray
|이름    = 이촌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역명 = <big>이촌역</big><br />Ichon Station
|배경색   = gray
|그림 =
|글자색   = white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br />[[서울메트로]]
|그림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번호    =  
|노선    = [[경원선]] <small>1.9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23.9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이촌역}}<br />二村驛 / Ichon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용산동 (서울)|용산동5가]]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환승역]]. 4호선 역의 병기역명<ref>[[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ref>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용산동 (서울)|용산동5가]]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환승역]]. 4호선 역의 병기역명<ref>[[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ref>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이다.


이 역에서 [[한강철교]]와 이어지는 [[용산삼각선]]이 있다.
이 역에서 [[한강철교]]와 이어지는 [[용산삼각선]]이 있다.


== 역 구조 ==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4호선 역명을 '''이촌'''으로 결정<ref>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f>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삼선교]]~[[사당역|사당]] 구간 개통
 
== 시설 ==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한국철도공사 ===
=== 경의·중앙선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KR}}
|이름    = 이촌(국립중앙박물관)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역명 = KORAIL 이촌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K111 Ichon.JPG
|역번호 = {{역번호/한국|K111|KR|K3}}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이촌로71길]] 42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이촌로71길]] 42
|개업일 = {{날짜/출력|1978-12-9}}
|번호    = {{역번호/한국|K110|수도권|경의중앙}}
|폐지일 =
|노선    = [[경원선]] <small>1.9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승강장 = 2면 2선
|개업일  = [[1978년]] [[12월 9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832 <small>(발권)</small><br />1008<small>(AFC)</small>
|노선 = [[경원선|경원본선]] <small>1.9 km</small>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 · [[양평역 (양평)|양평]] · [[지평역|지평]]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용산역|<span style="color: white;">용산</span>]] · [[대곡역 (고양)|<span style="color: white;">대곡</span>]] · [[문산역|<span style="color: white;">문산</span>]] 방면 | '''1번 승강장'''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의중앙]] [[서빙고역|서빙고]] →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경원선|경원본선]] [[용산역|용산]]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의중앙]] [[용산역|용산]]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경원선|경원본선]] [[서빙고역|서빙고]]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용산역|용산]] · [[대곡역 (고양)|대곡]] · [[문산역|문산]]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2번 승강장''' | [[청량리역|<span style="color: white;">청량리</span>]] · [[양평역 (양평)|<span style="color: white;">양평</span>]] · [[지평역|<span style="color: white;">지평</span>]] 방면
}}
|-
|}
</div>
{{-}}
{{-}}
=== 서울메트로 ===
 
=== 4호선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SM}}
|이름    = 이촌(국립중앙박물관)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역명 = <div style="line-height: 120%;">서울메트로 이촌역<br /><small>(국립중앙박물관)</small></div>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430 Ichon.jpg
|역번호 = {{역번호/한국|430|SM|4}}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지하83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지하83
|개업일 = {{날짜/출력|1985-10-18}}
|번호    = {{역번호/한국|430|수도권|4}}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23.9 km</small>
|관할 = [[서울메트로]]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2면 2선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23.9 km</small>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4호선''' [[서울역|서울역]] · [[창동역|창동]] · [[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 [[창동역|<span style="color: white;">창동</span>]] · [[당고개역|<span style="color: white;">당고개</span>]]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4호선]] [[신용산역|신용산]]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서울 지하철 4호선]] [[신용산역|신용산]]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4호선]] [[동작역|동작]] →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작역|동작]]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4호선'''  [[사당역|사당]] · [[금정역|금정]]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사당역|<span style="color: white;">사당</span>]] · [[금정역|<span style="color: white;">금정</span>]] · [[오이도역|<span style="color: white;">오이도</span>]] 방면 | '''하행 승강장'''
}}
|-
|}
</div>
{{-}}
{{-}}


91번째 줄: 110번째 줄:
! colspan="4" | 목적지
! colspan="4" | 목적지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4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문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문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지평<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지평<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당고개<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문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문산 방면
| -
| -
| colspan="3" | 4-2
| colspan="3" | 4-2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color: white;" | 지평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지평 방면
| 5-2
| 5-2
| -
| -
| colspan="2" | 5-2
| colspan="2" | 5-2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4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당고개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 방면
| colspan="2" | 4-2
| colspan="2" | 4-2
| -
| -
| 4-2
| 4-2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오이도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 방면
| colspan="3" | 7-2
| colspan="3" | 7-2
| -
| -
123번째 줄: 142번째 줄: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국립중앙박물관]] 및 [[국립한글박물관]]이 근처에 있고, 그 옆에 [[용산가족공원]]이 있다. 역 남쪽으로는 아파트 밭으로, 거의 아파트밖에 없다.
[[국립중앙박물관]] 및 [[국립한글박물관]]이 근처에 있고, 그 옆에 [[용산가족공원]]이 있다. 역 남쪽으로는 아파트 밭으로, 거의 아파트밖에 없다. 아파트들을 넘어가면 이촌한강공원이 나온다. 카카오맵 기준, 이촌역에서 이촌한강공원까지 도보로 약 15분 소요된다.
 
이촌역 앞 [[서빙고로]]에는 [[철도 건널목]]이 하나 있는데, 이게 [[열리지 않는 건널목]]으로 악명이 높다. 10분에 1~2대 간격으로 열차가 오기 때문에 잘 안 열리고, 이촌역에 전동차가 서있으면 얄짤없이 닫혀있다. 그렇다고 도로가 뜸하냐면 그렇지도 않은 것이 [[이촌동]]의 관문 역할을 하면서 서빙고로에서 [[한강대교]]로 넘어가는 지름길로 애용되기 때문에 교통량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철도가 대로변에 붙어있어 도로의 고가화/지하화는 어렵고, 철도를 들어올리거나 땅 밑으로 묻으려면 이촌역도 같이 들었다 놨다 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곤란한 상태이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3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관할=한국철도공사 (KORAIL)|링크=한국철도공사}}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9 km
|노선폭=11em|노선명=205 경원본선|노선링크=경원선|노선거리=1.9 km
|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용산역|용산]]|전거리=1.9 km
|전역폭=12em|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용산역|용산]]|전거리=1.9 km
|당역='''이촌'''
|당역폭=11em|당역='''이촌'''
|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서빙고역|서빙고]]|후거리=1.7 km}}
|후역폭=12em|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서빙고역|서빙고]]|후거리=1.7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글자색=white|관할=서울메트로|링크=서울메트로}}
|노선명=30201 [[용산삼각선]]|노선거리=0.5 k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글자색=white
|전방면=|전역=[[노량진역|삼각선<br />(경부선)]]|전거리=0.5 km
|노선명=서울 지하철 4호선|노선링크=서울 지하철 4호선|노선거리=23.9 km
|당역='''삼각선<br />(경원선)'''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4호선]]|노선거리=23.9 km
|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신용산역|신용산]]|전거리=1.3 km
|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신용산역|신용산]]|전거리=1.3 km
|당역='''이촌'''
|당역='''이촌'''
|후방면=[[남태령역|남태령]] 방면|후역=[[동작역|동작]]|후거리=2.7 km}}
|후방면=[[남태령역|남태령]] 방면|후역=[[동작역|동작]]|후거리=2.7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링크=수도권 전철 4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역폭=11em|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29|SM|4}} [[신용산역|신용산]]|전거리=1.3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09|수도권|경의중앙|ls=-0.05}} [[용산역|용산]]|전거리=1.7 km
|당역폭=9em|당역={{역번호/한국|430|SM|4}} '''이촌'''
|당역={{역번호/한국|K110|수도권|경의중앙|ls=-0.05}} '''이촌(국립중앙박물관)'''|등급=중앙선 급행
|후역폭=11em|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31|SM|4}} [[동작역|동작]]|후거리=2.7 km}}
|후방면=[[용문역 (양평)|용문]]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옥수역|옥수]]|후거리=5.2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K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링크=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09|수도권|경의중앙|ls=-0.05}} [[용산역|용산]]|전거리=1.7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10|KR|K3|ls=-0.05}} [[용산역|용산]]|전거리=1.9 km
|당역={{역번호/한국|K110|수도권|경의중앙|ls=-0.05}} '''이촌(국립중앙박물관)'''|등급=완행
|당역={{역번호/한국|K111|KR|K3|ls=-0.05}} '''이촌'''|등급=중앙선 급행
|후방면=[[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1|수도권|경의중앙|ls=-0.05}} [[서빙고역|서빙고]]|후거리=1.6 km}}
|후방면=[[용문역|용문]]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4|KR|K3|ls=-0.05}} [[옥수역|옥수]]|후거리=5.2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10|KR|K3|ls=-0.05}} [[용산역|용산]]|전거리=1.9 km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29|수도권|4}} [[신용산역|신용산]]|전거리=1.3 km
|당역={{역번호/한국|K111|KR|K3|ls=-0.05}} '''이촌'''|등급=완행 · 경의선 급행
|당역={{역번호/한국|430|수도권|4}} '''이촌(국립중앙박물관)'''
|후방면=[[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2|KR|K3|ls=-0.05}} [[서빙고역|서빙고]]|후거리=1.7 km}}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31|수도권|4}} [[동작역|동작]]|후거리=2.7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글자색=white|계통=[[신분당선]]}}
{{경유 계통|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D109|수도권|신분당}} [[용산역|용산]] <small>(공사중)</small>|전거리=1.7 km
|당역={{역번호/한국|D110|수도권|신분당}} '''이촌(국립중앙박물관)'''|등급=(공사중)
|후방면=[[광교역|광교]] 방면|후역={{역번호/한국|D111|수도권|신분당}} [[서빙고역|서빙고]] <small>(공사중)</small>|후거리=1.6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경원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분류:경원선]][[분류:서울 도시철도 4호선]]
[[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리브레 맵스 마커|37.522506373929104|126.97341442108154|16|이촌역}}

2024년 1월 19일 (금) 02:41 기준 최신판

이촌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노선 경원선 1.9 km
서울 지하철 4호선 23.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용산동5가에 있는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4호선환승역. 4호선 역의 병기역명[1]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이다.

이 역에서 한강철교와 이어지는 용산삼각선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3년 9월 13일: 4호선 역명을 이촌으로 결정[2]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

시설[편집 | 원본 편집]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경의·중앙선[편집 | 원본 편집]

이촌(국립중앙박물관)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
번호  K110 
노선 경원선 1.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78년 12월 9일
코드 832 (발권)
1008(AFC)
승강장 2면 2선

4호선[편집 | 원본 편집]

이촌(국립중앙박물관)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지하83
번호  430 
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23.9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승강장 2면 2선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경의·중앙선 4호선
문산
방면
지평
방면
당고개
방면
오이도
방면
출발지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 4-2
지평 방면 5-2 - 5-2
4호선 당고개 방면 4-2 - 4-2
오이도 방면 7-2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국립중앙박물관국립한글박물관이 근처에 있고, 그 옆에 용산가족공원이 있다. 역 남쪽으로는 아파트 밭으로, 거의 아파트밖에 없다. 아파트들을 넘어가면 이촌한강공원이 나온다. 카카오맵 기준, 이촌역에서 이촌한강공원까지 도보로 약 15분 소요된다.

이촌역 앞 서빙고로에는 철도 건널목이 하나 있는데, 이게 열리지 않는 건널목으로 악명이 높다. 10분에 1~2대 간격으로 열차가 오기 때문에 잘 안 열리고, 이촌역에 전동차가 서있으면 얄짤없이 닫혀있다. 그렇다고 도로가 뜸하냐면 그렇지도 않은 것이 이촌동의 관문 역할을 하면서 서빙고로에서 한강대교로 넘어가는 지름길로 애용되기 때문에 교통량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철도가 대로변에 붙어있어 도로의 고가화/지하화는 어렵고, 철도를 들어올리거나 땅 밑으로 묻으려면 이촌역도 같이 들었다 놨다 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곤란한 상태이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용산 방면
용산 1.9 km
이촌 백마고지 방면
서빙고 1.7 km
삼각선
(경부선)
0.5 km
삼각선
(경원선)
(종점)
당고개 방면
신용산 1.3 km
이촌 남태령 방면
동작 2.7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109  용산
 K110  이촌(국립중앙박물관)
중앙선 급행
용문 방면
 K114  옥수
문산 방면
 K109  용산
 K110  이촌(국립중앙박물관)
완행
지평 방면
 K111  서빙고
4호선
당고개 방면
 429  신용산
 430  이촌(국립중앙박물관) 오이도 방면
 431  동작
신분당선
용산 방면
 D109  용산 (공사중)
 D110  이촌(국립중앙박물관)
(공사중)
광교 방면
 D111  서빙고 (공사중)

각주

  1.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2.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