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전라북도 +분류:전북특별자치도))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8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역 정보
|역명 = 광주송정
|배경색 = {{철도 노선색|KR}}
|글자색 =#ffffff
|그림 = 정ㅇ브.jpg
|그림설명 = <s>희한하게 생긴</s>현 역사
|그림2 = ㅈㅇㅇ.jpg
|그림설명2 = 구 역사. 현재는 철거됨.


|관할 = [[코레일]] 전북본부 정읍관리역
{{새 철도역 정보
|개업일 = {{날짜/출력|1912-12-1}}
|이름    = 정읍
|종별 = 관리역
|원어이름 =  
|등급 = 2급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글자색  = white
|그림    = 정ㅇ브.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br />(연지동)
|번호    =
|노선    = [[호남고속선]] <small>131.4 km</small><br />[[호남선]] <small>131.9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전북본부
|개업일  = [[1912년]] [[12월 1일]]
|폐지일  =
|코드    = 33
|승강장  = 4면 10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노선1 = [[호남선]]
==역 정보==
|전방면1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전역1 = [[북송정역|북송정]]
정읍역.jpg|현재 철거된 구 역사
|전거리1 = 7.9
</gallery>
|후방면1 = [[목포역|목 포]]
|후역1 = [[노안역|노 안]]
|후거리1 =6.0
 
|노선2 = [[호남고속선]]
|전방면2 = [[오송역|오송]]
|전역2 = [[익산역|익 산]]
|전거리2 = 42.1
|후방면2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후역2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후거리2 = 50.5
}}
==개요==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철도역. [[정읍시]]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철도역. [[정읍시]]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개업 당시부터 정읍역이란 이름이었으나 [[정읍군]]에서 정주시가 분리되며 정주역이 됐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며 다시 정읍역이 되었다.
개업 당시부터 정읍역이란 이름이었으나 [[정읍군]]에서 정주시가 분리되며 정주역이 됐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며 다시 정읍역이 되었다.
==역 정보==
[[호남선]]의 주요역 중 하나, 당초에는 [[호남고속선]] [[KTX]]를 세울 계획이 없다가 지역 주민의 반발로 정차하게 되었다. 이에 맞춰서 신 역사를 [[2013년]]에 착공하여 [[2015년]]에 완공했으며, 완공 후 구 역사는 철거되고 모든 업무가 [[서울시청]] 신청사 느낌이 나는(...) 신 역사로 이전되었다.
[[호남선]]의 주요역 중 하나, 당초에는 [[호남고속선]] [[KTX]]를 세울 계획이 없다가 지역 주민의 반발로 정차하게 되었다. 이에 맞춰서 신 역사를 [[2013년]]에 착공하여 [[2015년]]에 완공했으며, 완공 후 구 역사는 철거되고 모든 업무가 [[서울시청]] 신청사 느낌이 나는(...) 신 역사로 이전되었다.
==운행 계통==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ITX-새마을]] 역시 사실상 필수정차한다고 봐도 무방하다.<ref>일부 비정기 열차는 이 역을 통과한다.</ref> [[호남고속선]] [[KTX]]가 선택 정차한다.
정읍역은 지방 소도시인 [[정읍시]] 자체의 수요는 그리 많지 않지만, 주변 지역인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등지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이며, 특히 주변에 유명한 관광지인 [[내장산]] [[국립공원]]의 행락객<ref>내장산은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ref>이나 [[변산반도]] 등의 관광객 수요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K}}; color:white;" | '''[[KTX|{{색상|white|KTX}}]]'''
정읍역 자체의 위치도 정읍시 시가지의 중심부와 매우 가깝고,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지근거리에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버스 터미널이 있어서 환승에도 용이하다.
|-
 
| style="width: 170px;" | [[익산역|익 산]]<br><small>[[행신역|행신]]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방면</small>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ITX-새마을]] 역시 사실상 필수정차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호남고속선]] [[KTX]]가 선택 정차한다.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호남고속선]]
== 시설 ==
| style="width: 45px;"|
{{철도승강장|구조=
| style="width: 170px;"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small>[[목포역|목포]] 방면</small>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KTX''' · '''SRT''' [[목포역|목포]]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방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5" style="background:#DC143C; color:white;" | '''[[ITX-새마을|{{색상|white|ITX-새마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
}}
| style="width: 170px;" | [[신태인역|신태인]]<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호남선]]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장성역|장 성]]<br><small>[[목포역|목포]] · [[광주역|광주]] 방면</small>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호남고속선]] [[익산역|익산]]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M}}; color: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승강장 번호=4번|승강장 정보='''KTX''' · '''SRT''' [[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 · [[수서역|수서]] 방면
|-
}}
| style="width: 170px;" | [[신태인역|신태인]]<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호남선]] [[신태인역|신태인]]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호남선]]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style="width: 45px;"|
|승강장 번호=5번<br />6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br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목포역|목포]] 방면
| style="width: 170px;" | [[백양사역|백양사]]<br><small>[[목포역|목포]] · [[광주역|광주]] 방면</small>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호남선]] [[신태인역|신태인]]
| style="width: 170px;" | [[신태인역|신태인]]<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
| style="width: 45px;"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호남선]] [[백양사역|백양사]] →
| style="width: 160px;" | [[경전선]]
}}
| style="width: 45px;"|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style="width: 170px;" | [[백양사역|백양사]]<br><small>[[순천역|순천]] 방면</small>
|승강장 번호=7번<br />8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br />[[용산역|용산]]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부전역|부전]] 방면
|}
}}
==여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호남선]] [[백양사역|백양사]] →
*이 문서는 [[호남고속철도]]가 정차하는/정차했던 모든 역 중 가장 마지막으로 [[리브레 위키]]에 문서가 작성되었다. 게다가 정읍관리역 산하의 역 중 [[신태인역]]과 사실상 폐역인 [[초강역]]을 제외한 모든 역들보다 작성이 늦었다.(...)
}}
{{각주}}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102 [[호남고속선]]|노선거리=132.6 km
|전방면=[[오송역|오송]] 방면|전역=[[익산역|익산]]|전거리=50.5 km
|당역='''정읍'''
|후방면=[[광주송정역|광주송정]] 방면|후역=[[광주송정역|광주송정]]|후거리= 42.1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4 [[호남선]]|노선거리=131.4 km
|전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방면|전역=[[신태인역|신태인]]|전거리=13.5 km
|당역='''정읍'''
|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천원역|천원]]|후거리=6.0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KTX]]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KTX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KTX 호남선 서대전}}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SRT]]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SRT 호남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마음]]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호남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호남선 광주}}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호남선 광주}}
}}
}}
 
{{주석}}
 
[[분류:호남고속선]][[분류:호남선]]
[[분류:전북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5.57558141345174|126.84221684932709|12|정읍역}}

2023년 9월 20일 (수) 18:30 기준 최신판

정읍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연지동)
노선 호남고속선 131.4 km
호남선 131.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개업일 1912년 12월 1일
코드 33
승강장 4면 10선

역 정보[편집 | 원본 편집]

호남선호남고속선의 철도역. 정읍시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개업 당시부터 정읍역이란 이름이었으나 정읍군에서 정주시가 분리되며 정주역이 됐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며 다시 정읍역이 되었다. 호남선의 주요역 중 하나, 당초에는 호남고속선 KTX를 세울 계획이 없다가 지역 주민의 반발로 정차하게 되었다. 이에 맞춰서 신 역사를 2013년에 착공하여 2015년에 완공했으며, 완공 후 구 역사는 철거되고 모든 업무가 서울시청 신청사 느낌이 나는(...) 신 역사로 이전되었다.

정읍역은 지방 소도시인 정읍시 자체의 수요는 그리 많지 않지만, 주변 지역인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등지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이며, 특히 주변에 유명한 관광지인 내장산 국립공원의 행락객[1]이나 변산반도 등의 관광객 수요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정읍역 자체의 위치도 정읍시 시가지의 중심부와 매우 가깝고,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지근거리에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버스 터미널이 있어서 환승에도 용이하다.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ITX-새마을 역시 사실상 필수정차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호남고속선 KTX가 선택 정차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오송 방면
익산 50.5 km
정읍 광주송정 방면
광주송정 42.1 km
대전조차장 방면
신태인 13.5 km
정읍 목포 방면
천원 6.0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SRT 호남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ITX-마음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내장산은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