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제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ISO 추가)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나라 정보
| 나라 이름 = 솔로몬 제도
|나라이름    = 솔로몬제도
| 다른 이름 =  
|원어이름    = Solomon Islands
| 국기 = Flag of the Solomon Islands.svg
|존속연도    =  
| 국기 이름 =
|국기       = Flag of the Solomon Islands.svg
| 국기 설명 =
|국기설명    =  
| 국장 =  
|국장       = Coat of arms of the Solomon Islands.svg
| 국장 이름 =  
|국장설명    =  
| 국장 설명 =  
|지도        =  
| 지도 =  
|지도설명    =  
| 지도 이름 =  
|표어        =  
| 지도 설명 =  
|국가        =  
| 공식 명칭 =  
|수도        = 호니아라
| 공용어 = [[영어]]
|공용어     = [[영어]]
| 토착어 =
|국어        =  
| 수도 = 호니아라
|국교        =  
| 표어 =  
|정부유형    =  
| 표어 설명 =  
|군주        =  
| 국가 =  
|수반 직책  =  
| 국화 =  
|수반        =  
| 국교 =  
|부수반 직책 =  
| 인구 =  
|부수반      =  
| 인구 순위 =  
|입법부      =  
| 인구 밀도 =  
|인구       =  
| 인구 밀도 순위 =  
|인구밀도    =  
| 면적 =  
|인구 연도  =  
| 면적 순위 =  
|면적       =  
| 시간대 =  
|면적 연도  =  
| 정부 형태 =  
|GDP PPP    =  
| 지도자 직함1 =  
|GDP PPP 1인 =  
| 지도자 이름1 =  
|GDP        =  
| 지도자 직함2 =  
|GDP 1인    = 2,290
| 지도자 이름2 =
|GDP 연도    =  
| 지도자 직함3 =
|화폐       = [[솔로몬 달러]]
| 지도자 이름3 =
|시간대      =  
| 지도자 직함4 =
|ISO        = 090, SB, SLB
| 지도자 이름4 =
|국가도메인  = .sb
| 지도자 직함5 =
|국제전화    =  
| 지도자 이름5 =
|이전나라    =  
| 지도자 직함6 =
|이후나라    =  
| 지도자 이름6 =
|비고        =  
| 지도자 직함7 =
| 지도자 이름7 =
| 지도자 직함8 =
| 지도자 이름8 =
| 지도자 직함9 =
| 지도자 이름9 =
| 지도자 직함10 =
| 지도자 이름10 =
| 지도자 직함11 =
| 지도자 이름11 =
| 지도자 직함12 =
| 지도자 이름12 =
| 지도자 직함13 =
| 지도자 이름13 =
| 지도자 직함14 =
| 지도자 이름14 =
| 지도자 직함15 =
| 지도자 이름15 =
| 지도자 직함16 =
| 지도자 이름16 =
| 지도자 직함17 =  
| 지도자 이름17 =
| 지도자 직함18 =
| 지도자 이름18 =
| 지도자 직함19 =
| 지도자 이름19 =
| 유통 화폐 = [[솔로몬 달러]]
| 수입 =  
| 수입 순위 =  
| 수출 =
| 수출 순위 =
| 명목 GDP =
| 명목 GDP 순위 =
| 명목 1인당 = 2,290
| 명목 1인당 순위 =
| PPP GDP =
| PPP GDP 순위 =
| PPP 1인당 =
| PPP 1인당 순위 =
| 외환보유액 =
| 외환보유 순위 =
| 평가기관1 =
| 신용등급1 =
| 평가기관2 =
| 신용등급2 =
| 평가기관3 =
| 신용등급3 =
| 평가기관4 =
| 신용등급4 =
| 평가기관5 =
| 신용등급5 =  
| 평가기관6 =  
| 신용등급6 =  
| 평가기관7 =
| 신용등급7 =
| 평가기관8 =
| 신용등급8 =
| ISO =
| 국가 도메인 =  
| 국제전화번호 =  
}}
}}
Solomon Islands
Solomon Islands
114번째 줄: 54번째 줄:
===[[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
===[[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
1942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초기 일본이 승기를 잠시 잡았던 시기 일본군은 이 곳 솔로몬제도의 섬들 중 가장 인구가 많은 과달카날 섬에 상륙하게 되었고 이 곳에 비행장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동년 8월 미군이 대규모의 부대가 상륙을 하게 되면서 태평양 전쟁 초기 가장 치열한 전투지역 중 하나로 기록되게 되었다.
1942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초기 일본이 승기를 잠시 잡았던 시기 일본군은 이 곳 솔로몬제도의 섬들 중 가장 인구가 많은 과달카날 섬에 상륙하게 되었고 이 곳에 비행장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동년 8월 미군이 대규모의 부대가 상륙을 하게 되면서 태평양 전쟁 초기 가장 치열한 전투지역 중 하나로 기록되게 되었다.
{{참조|과달카날 전투}}
{{참고|과달카날 전투}}


==지리와 기후==
==지리와 기후==
140번째 줄: 80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오세아니아의 나라]]
[[분류:오세아니아의 나라]]
 
{{오세아니아의 나라}}
{{리브레 맵스 마커|-8.029635096154749|158.871911702646|4|솔로몬제도}}
{{리브레 맵스 마커|-8.029635096154749|158.871911702646|4|솔로몬제도}}

2023년 11월 15일 (수) 20:58 기준 최신판

솔로몬제도
Solomon Islands
Flag of the Solomon Islands.svg
국기
Coat of arms of the Solomon Islands.svg
국장
나라 정보
수도 호니아라
공용어 영어
기타 정보
GDP GDP (명목):
전체: 달러
1인당: 2,290 달러
화폐 솔로몬 달러
ISO 090, SB, SLB
도메인 .sb

Solomon Islands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오세아니아 남서태평양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섬나라로, 파푸아뉴기니 동편에 자리하고 있다.

유럽인들에게 발견된 것은 1597년으로 스페인의 돈 알바로 드 멘달피아 이 네이라의 탐험에 의해 이 지역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붙여 있었던 이름은 서인도 제도라는 약간은 성의없는 명칭이었으나 이후 성서에 나오는 솔로몬왕의 이름을 따서 스페인어로 이슬라 드 솔로몬으로 불리다 이후 이 명칭이 공식적인 명칭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유럽인 도착 이전[편집 | 원본 편집]

유럽인의 도달과 식민지배[편집 | 원본 편집]

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편집 | 원본 편집]

1942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초기 일본이 승기를 잠시 잡았던 시기 일본군은 이 곳 솔로몬제도의 섬들 중 가장 인구가 많은 과달카날 섬에 상륙하게 되었고 이 곳에 비행장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동년 8월 미군이 대규모의 부대가 상륙을 하게 되면서 태평양 전쟁 초기 가장 치열한 전투지역 중 하나로 기록되게 되었다.

지리와 기후[편집 | 원본 편집]

모두 992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태평양 지역답게 열대우림으로 뒤덮인 섬과 산호섬, 화산섬, 그리고 인간의 벌목활동으로 인한 민둥산과 같은 벌거숭이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연평균기온은 30℃ 부근으로 매우 더운 편으로 열대몬순기후에 해당하며 1월~4월 사이의 기간이 우기에 해당한다.

생물종으로는 4500여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중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난초류 식물들이 서식중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국제 교통[편집 | 원본 편집]

  • 항공 : 수도인 호니아라 동편에 헨더슨 국제공항[1]이 자리잡고 있다. 솔로몬제도 전체에서 유일한 국제공항. 호주의 브리즈번에서 주3회 정기 직항편이 운항함 이웃한 남태평양 국가들 사이에서도 정기편이 운항하고 있다.
  • 수도인 호니아라에 미국 서부해안 및 호주 북동부에서 출발하는 여객선이나 크루즈선이 기항한다.

국내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섬나라인지라 도로교통보다는 섬 사이의 항공편과 선박을 이용한 교통편이 발달하여있다. 솔로몬 항공의 국내선을 통하여 각 지점을 공항으로 연결하고 화물이나 좀 여유가 있는 승객의 경우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물론 나라 전체 면적에 비해서 인구가 꽤 적은 편에 속하는지라 공항이라고 이름을 붙여놓기는 했지만 실제로는 그냥 비포장 활주로에 가건물 수준을 가져다 놓고 공항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항만부두 시설을 제대로 갖추어둔 항만이 아니라 교역해변 수준의 경우도 있는 수준도 꽤 많다.

도로 사정은 일부 도시지역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시궁창 수준. 도시지역은 포장이 잘 된 구간이지만 섬 내에서 이동을 하려면 4륜구동을 사용해야 비포장 도로 이동이 가능해지고 길에서 벗어난 섬 안쪽은 전문적인 탐사가 목적이 아니라면 그냥 가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애초에 좀 큰 섬들의 내륙쪽은 사람 사는 곳 자체가 없다)

산업[편집 | 원본 편집]

열대우림이 우거진 지역답게 20세기 중후반까지만 하여도 열대우림 벌목을 위주로 하는 삼림업이 발달하였었다. 그러나 기후 문제와 민둥산이 되어버린 벌거숭이 섬들에서의 토사 유출 및 산업의 지속불가능성이 문제가 되어 사양산업화 되었다. 이외에 수산물, 코코아등이 주요 수출품이며 다랑어(참치)를 비롯한 어족자원이 풍부하여 수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였지만 남태평양 국가들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소득을 보이고 있다.

이외에 과다카날 전투의 주 무대였던만큼 과거 군사 유적이나 흔적들, 전적지가 수도 주변에 산재하여 이를 활용한 관광산업이 일부 발달하여 있다.

경제[편집 | 원본 편집]

최빈국반열에 속한다. 1인당 gdp도 겨우 2,200달러이고, 치안도 썩 좋지 못한 편이라 국민들의 빈곤 문제가 심각하다. 근데 지금 오세아니아 섬나라들이 다 그렇다.

각주

  1. 호니아라 국제공항이라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