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하계 위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엔하계 위키'''란 [[2007년]] [[2007년#3월|3월]]에 개장한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 영향을 받아서 나타난 한국어 [[위키]] 사이트의 통칭이다. 해당 위키 사이트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용어로 보는 견해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엔하는 엔젤하이로 위키, 즉 현재의 리그베다 위키<ref>훗날 리그베다 위키로 이름을 바꾸긴 했지만 오랜 기간 엔하위키라는 명칭으로 존재해왔기 때문에, 나무위키가 자리를 잡기 전까지는 많은 이용자들이 리그베다 위키를 엔하라고 일컬었다.</ref>를 뜻하며, 이후 분리된 엔젤하이로 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출범한 엔하위키와는 관련이 없다. 용어 자체는 {{날짜/출력|2015-5-16}} [[나무위키]]에 {{나무위키|엔하계 위키}} 문서가 만들어지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엔하계 위키'''란 [[2007년]] [[2007년#3월|3월]]에 개장한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 영향을 받은 한국어 [[위키]] 사이트의 통칭이다. [[2015년]] [[5월 16일]] [[나무위키]]에 {{나무위키|엔하계 위키|엔하계 위키}} 문서가 만들어지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엔하계 위키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용어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 문화 및 위키 기여층의 변화로, 현재는 엔하위키의 색체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특징==
엔하위키는 리그베다 위키로 이름을 바꾸었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엔하위키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당시 많은 이용자들이 리그베다 위키를 엔하위키로 일컬었다.
글 스타일은 [[위키미디어 재단]]과 [[유머 계열 위키]]의 중간 쯤 된다.
[[NTX]]의 위키를 제외한 모든 위키위키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 다루는 소재에 있어 제한이 거의 없다. 몇몇 자체 규정에 걸리는 것만 제외하면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한다.  
== 특징 ==
* [[취소선]], 각주, 볼드체가 유머용, 사견용 등으로 이용된다. <del>이렇게</del><ref>대부분의 위키는 각주를 주로 출처와 보조 설명을 다는데 쓴다. 물론 엔하계 위키에서도 그렇게 쓰지 않는 건 아니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가끔 있긴 하다.</ref>
# 문서 등재 기준(일명 저명성)이 위키백과보다 널널하다.
** 사견이 들어간 여담이 수시로 첨부된다.
# 내용에 중립적 시각과 문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 말줄임표(...)를 자주(...) 사용한다(...). 사실(...) 쓸모는(...) 없는(...) 문장부호다(...). ([[백괴사전:리그베다 위키]] 항목에서 말줄임표를 남발하여 이를 풍자했다)
#* 문서에 자신의 의견을 담을 수 있다.
* 서술된 내용의 사실성을 입증할 객관적인 자료를 빡빡하게 요구하지 않는다. 있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 하는 식.  
#* 재미를 위해 각종 [[유행어]][[인터넷 밈]]을 사용하기도 한다.
** 그럼에도 절대 다수의 사용자가 보기에 지나치게 편향적이거나 사실적이지 못한 서술은 배척된다.
# 서술된 내용의 사실성을 입증할 객관적인 자료를 빡빡하게 요구하지 않는다. 있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 하는 식.
** 다만 이 출처 표시를 의무화하지 않는 점으로 인해, 위키백과보다 공신력이 더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키백과도 공신력 있는 매체는 아니지만, 문서 하단의 출처를 참고하기에는 용이하다.)
# [[한국인|주요 이용자층의 환경적 특수성]]을 인정한다. (예: [[대한민국]]을 우리나라로 표기할 수 있음)
* [[한국인|주요 이용자층의 환경적 특수성]]을 인정한다. 이점은 [[누리위키]]에도 해당된다. (예: [[대한민국]]을 우리나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북한]]으로 표기해도 됨)
# [[취소선]], 각주, 굵은 글씨를 통해 유머나 사견을 표현한다. <del>이렇게</del>
* 각종 [[유행어]] 및 [[인터넷 밈]]을 사용해 문서의 가독성이나 재미를 높이려 한다.
# '이전 서술에서는 이러하나, 실제는 그러하다'와 같은 서술로 토론을 문서 내에서 진행하기도 한다.
* 비 엔하계 위키들도 그러긴 해도, 대체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식으로 밀어내고 그 외 이미지들은 문서 하단에 몰아서 올리지만, 엔하계 위키들은 이미지 위치를 잘 조정하지도 않고 문서 곳곳에 적당히 첨부되어 있다.
** 이런 방식은 [[짤방]] 게시물이나 [[블로그]] 방식에 가깝다.
* '이전 서술에서는 이러하나, 실제는 그러하다'와 같은 서술로 토론을 문서 내에서 진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들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가독성]]이나 재미를 저해시킨다는 비판이 많다. 이렇게 된 데는 아래에 설명할 엔하계 위키의 표현들이 대부분 리그베다 위키의 편집이 자주 이루어졌던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의 유행어라서 그런데, 그 당시에는 [[합필갤]]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지금은 [[의문의 1승]] 같은 소수 예외를 제외하고는 합필갤의 쇠락과 인터넷상에 만연해 있는 [[혐오]] 정서 표출 문화로 인해 네티즌들의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유행어가 사라졌고, [[일간베스트 저장소]]에서 유행하는 말들은 정치적인 문제 때문에 일베 밖에서는 잘 선호되지 않는 편이라 그렇다. 실제로 남길임 [[경북대학교]] 교수가 2005~2006년에 만들어진 [[신조어]]가 2017년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는지 여부를 연구한 적이 있는데, 이 중 63%는 10년 내로 소멸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3/0200000000AKR20170113151900005.HTML 떨녀? 당게낭인?…"신조어 63%는 10년 지나면 안 쓰여"], 연합뉴스, 2017.01.14</ref> 이를 볼 때, 나무위키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부 위키러들이 엔하계 위키의 특징적 표현을 혐오하는 것도 그 당시 쓰였던 신조어들이 세월이 흐르면서 특정 집단을 제외하고는 잘 안쓰이게 돼 속칭 '[[사골]]'로 전락하여 더 이상 모든 사람들의 재미를 유발할 수 없게 된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 자주 사용되던 표현 ===
유머를 위해 리그베다 위키에서 자주 사용하던 표현들이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해당 표현의 사용량이 줄었는데, 이는 해당 유행어들의 수명이 다했기 때문이다. 남길임 [[경북대학교]] 교수가 2005~2006년에 만들어진 신조어의 10년 이후에 63%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조사가 이를 뒷받침한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70113151900005 떨녀? 당게낭인?…"신조어 73%는 10년 지나면 안 쓰여"], 연합뉴스, 2017.01.14</ref>


=== 자주 사용되는 특징적 표현 ===
* [[(...)]]
[[리그베다 위키]] 시절부터 문서에 드립을 치거나 유머성 서술을 넣을 때 자주 사용되던 특징적 표현이다. [[리그베다 위키]]와 [[나무위키]]의 데이터를 물려받은 [[오리위키]], [[바다위키]]의 문서에도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편. [[리브레 위키]]에도 끼워넣는 편집자들을 간혹 볼 수 있다.  
* [[개미를 죽입시다 개미는 나의 원수|OO를 죽입시다 OO는 나의 원수]]
 
2010년대 들어서는 아래에 있는 예시가 너무 우려먹히는 바람에 [[의문의 1승]] 같은 다른 드립을 넣는 이용자도 있다.
 
==== 리그베다 위키 개설 시절부터 쓰이고 있거나 쓰였던 특징적 표현 ====
* [[개미를 죽입시다 개미는 나의 원수]] - '개미' 대신 다른 용어를 넣어 드립을 친다.
* [[고만해 미친놈들아]]  
* [[고만해 미친놈들아]]  
* 그러라고 사 준 컴퓨터가 아닐텐데
* 그러라고 사 준 컴퓨터가 아닐텐데
* [[그런 거 없다]]
* [[그런 거 없다]]
*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 [[검열삭제]] - 직접 써놓기 민망한 표현을 이 단어로 대체하고 링크를 거는 경우가 많다.
* [[검열삭제]]: 직접 써놓기 민망한 표현을 이 단어로 대체하고 링크를 거는 경우가 많다.
* 까야 제맛
* 까야 제맛
* [[내가 고자라니]] - [[심영]] 외에도 [[김두한]]<ref>개소리 집어쳐! 무슨 님을 만난다는 거야! 등</ref>, [[상하이 조]]<ref>안 되겠소, 쏩시다! 등</ref>의 대사가 들어가기도 한다.  
* [[내가 고자라니]]: [[심영]] 외에도 [[김두한]]<ref>개소리 집어쳐! 무슨 님을 만난다는 거야! 등</ref>, [[상하이 조]]<ref>안 되겠소, 쏩시다! 등</ref>의 대사가 들어가기도 한다.
* 답이 없다  
* 답이 없다
* 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 '독일' 대신 다른 용어 넣어 사용.
* 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독일' 대신 다른 용어 넣어 사용.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이상 무슨 말이 必要韓紙? - 후자는 비하조로 쓰이는 측면이 강하다.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이상 무슨 말이 [[必要韓紙]]? - 후자는 비하조로 쓰이는 측면이 강하다.
* [[망했어요]]
* [[망했어요]]
*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 믿으면 골룸(하다)
* 믿으면 골룸(하다)
* [[아 씨바 할 말을 잃었습니다]]
* [[아 씨바 할 말을 잃었습니다]]
* 여백이 부족하다([[페르마의 대정리]])
* 여백이 부족하다: [[페르마의 대정리]]
* 오오 ~~ 오오 - '~~'에 등장인물, 위인 등이 들어가며 그 인물을 찬양하는 상황에 사용
* 오오 OO 오오: OO에 등장인물, 위인 등이 들어가며 그 인물을 찬양하는 상황에 사용
* [[자쿠와는 다르다! 자쿠와는!]] - '자쿠' 대신 다른 용어를 넣어 드립을 친다.  
* [[자쿠와는 다르다! 자쿠와는!|OO와는 다르다! OO와는!]]: '자쿠' 대신 다른 용어를 넣어 드립을 친다.
* 이거 하나 적자고 만든 것이 아닌 항목
* [[장비를 정지합니다]]
* [[장비를 정지합니다]]
* [[카더라]]
* [[카더라]]
* [[콩드립]]
* [[콩드립]]
* [[크고 아름다운]]
* [[크고 아름다운]]
* [[천하의 개쌍놈]], 이 새끼는 절대 사람 새끼가 아니다. - 공격성이 강한 문장이라 사용을 자중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 [[천하의 개쌍놈]], 이 새끼는 절대 사람 새끼가 아니다.
*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 하지만 ~이 출동하면 어떨까?([[드라군 놀이]])
* 하지만 ~이 출동하면 어떨까?: [[드라군 놀이]]
* [[흠좀무]] - '흠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의 줄임말
* [[흠좀무]]: '흠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의 준말
*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쓰이는 특징적 표현 ====
* [[의문의 1승]]
*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


== 기능과 한계 ==
== 기능과 한계 ==
엔하계 위키 혹은 비 [[위키미디어 재단]] 계열의 위키는 백과사전과 [[위키백과]]로 해결되지 않는 영역에서 잡학사전과 위키의 기능을 수행할 있다. 위키백과는 등재 규정([[저명성]])에 따라 어느 정도 알려졌더라도 개별 문서로 등재가 불가능한 항목이 있고, 영상물의 캡처 자료나 [[애니메이션]]의 각 등장인물과 같은 사진은 위키백과의 [[공정 이용]] 규정상 추가 조건이 엄격하며 추천이나 [[게임]]의 공략과 같은 주관적 영역은 서술될 없다. 하지만 엔하계 위키의 대부분은 보다 폭넓은 개별 문서 등재와 공정 이용, 어느 정도의 비객관적 서술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해당 영역에서 위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엔하계 위키는 [[위키백과]]가 다룰 없는 영역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이 엄격하고, 외부 미디어를 [[공정 이용]] 조건 하에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있는 반면 엔하계 위키는 관련 규정이 관대한 편이며 어느 정도 비객관적인 서술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함께 주관적 관점의 표출을 허용하는 규정상 일방적인 관점에서의 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나무위키]] 등에서 정치적 의도를 담은 편집, 기타 호불호의 표출과 같은 서술과 분쟁이 대표적인 사례다. 더불어 [[토론]]이 이루어지더라도 객관적 서술을 규정으로 삼는 [[위키백과]]와 달리 주관을 두고 토론이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엔하계 위키가 위키백과로도 가능한 기능을 흡수하며 대중에게 단순히 풍부한 정보를 담은 사이트로 인식되기도 해, 서술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며 참고 및 활용되는 문제를 낳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엔하계 위키 혹은 위키 전반에 대한 인식의 악화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한편 풍부한 정보를 가졌더라도 [[위키백과]]와 [[위키데이터]]만큼의 폭넓은 활용과 도움이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 위키백과의 문서는 다국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위키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언어에 무관한 자료 활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Google]]이나 [[DuckDuckGo]], [[Yahoo!]]와 같은 검색 엔진의 정보 요약이나 [[Siri]]와 같은 인공지능 기능, [[OS]]나 [[앱]]의 사전 기능은 [[위키백과]]와 [[위키데이터]]를 정보 공급원의 하나로 사용한다. 비 [[위키미디어 재단]]의 위키를 아무리 편집한다 하더라도 [[macOS]]와 [[iOS]]의 [[사전]] 기능으로 편집한 정보를 빠르게 참고할 수는 없으며, 가수의 소셜 미디어 계정이나 웹사이트를 추가하더라도 구글 검색 화면의 [[지식 그래프]]나 Siri 음성인식 혹은 Spotlight 검색을 통한 SIRI 지식으로 언어에 무관하게 쉽게 접속할 수는 없다.
 
정보의 안정적 유지도 상대적으로 불분명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세계적인 최대 규모의 위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키미디어 재단]]이 구글과 같은 대기업의 기부를 포함한 상당한 규모의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데 반해, 한국인들은 기부 자체에 대해 인색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나무위키가 신변 은폐를 위해 해외에 서버를 두고 개설 초기 기부금도 [[비트코인]]으로만 받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접속과 자료 보존의 안정성에 부족함이 있을 있다.
 
== 계보도 ==
<imagemap>
Image:엔하계위키_계보도.PNG|thumb|center|600px|alt=(계보도 그림입니다.) | [[하이퍼링크|위 그림에 있는 박스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넘어갑니다.'''
rect 0 0 280 75 [[파일:엔하계위키_계보도.PNG]]
rect 370 24 520 105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rect 637 7 789 105 [[리그베다 위키 무정부 사태]]
rect 2 126 177 213 [[엔하위키]]
rect 281 133 456 203 [[리그베다 위키]]
rect 281 237 456 293 [[엔하위키 미러]]
rect 281 327 456 379 [[미러 (웹 사이트)]]
rect 606 133 816 203 [[나무위키]]
rect 606 239 816 307 [[오리위키]]
rect 606 327 816 386 [[리브레 위키]]
rect 939 140 1165 188 [[무나키위]]
rect 939 195 1165 247 [[나무위키 미러]]
rect 939 257 1165 307 [[나무모에 미러]]
rect 939 328 1165 387 [[바다위키]]
rect 527 11 845 398 [[대위키시대]]
</imagemap>


* 엔하위키 미러: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의 영향으로 폐쇄되었고, [[미러 (웹 사이트)|미러]]로 후속된다.
하지만 문서에 주관적인 내용을 담을 수 있다는 점은 쪽의 이해만 담은 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나무위키]]에서 두드러진 [[미소지니]] 성향과 정치적 의도를 담은 편집, 기타 호불호의 표출과 같은 서술과 분쟁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무비판적으로 내용을 받아들이는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낳기도 한다.
* 미러: [[리브레 위키]], [[위키백과]] [[위키백과 한국어판|한국어판]], [[포켓몬 위키]]를 연결한 메타위키이다.
* 오리위키: [[오리위키]]는 엄밀히 말하자면 나무위키와 리그베다 위키 등 여러 데이터베이스(DB)를 함께 사용했다.
* [[바다위키]]: 나무위키를 [[포크 (소프트웨어 개발)|포크]]위키. 포크한 위키를 다시 포크한 셈이다.
* [[디시위키]][[대위키시대]]와 관련은 있으나, 디시위키 사용자들 자신은 엔하계 위키가 아니라 [[백괴사전]] 같은 유머계 위키로 분류하고 있다.


==역사==
== 역사 ==
{{참조|대위키시대}}
{{참고|대위키시대}}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날짜 !! 내용
! 날짜 !! 내용
|-
|-
|2007년 3월 1일
|2007년 3월 1일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 개막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 개설
|-
|2010년 5월 23일
|[[엔하위키 미러]] 개설
|-
|-
|2013년 1월 31일
|2013년 1월 31일
|엔하위키,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 변경
|엔하위키,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 변경
|-
|2013년 9월 30일
|제2대 엔하위키([http://ntxq.ehehe.net/gb4/narinwiki/ 설정위키]) 개설
|-
|-
|2015년 4월 8일
|2015년 4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발발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
|-
|rowspan="2"|2015년 4월 16일
|2015년 4월 16일
|[[리브레 위키]] 개설
|[[리브레 위키]] 개설
|-
|재지키 개설<ref>리그베다 위키의 대체재로서는 리브레 위키보다 먼저 출범하였으나, 모종의 사건으로 폐쇄되었다.</ref>
|-
|-
|rowspan="2"|2015년 4월 17일
|rowspan="2"|2015년 4월 17일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 발발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
|-
|-
|[[나무위키]] 개설
|[[나무위키]] 개설
125번째 줄: 75번째 줄:
|2015년 4월 18일
|2015년 4월 18일
|[[오리위키]] 개설
|[[오리위키]] 개설
|-
|2015년 4월 24일
|[[디시 위키 프로젝트 갤러리]] 개설
|-
|-
|rowspan="2"|2015년 4월 25일
|rowspan="2"|2015년 4월 25일
140번째 줄: 87번째 줄:
|[[리그베다 위키]] 운영 재개
|[[리그베다 위키]] 운영 재개
|-
|-
|rowspan=2|2015년 6월 8일
|2015년 6월 8일
|[[엔하위키 미러]] 폐쇄
|[[엔하위키 미러]] 폐쇄 엔하위키 미러를 잇는 새로운 메타위키 [[미러 (웹 사이트)|미러]] 개장
|-
|엔하위키 미러를 잇는 새로운 메타위키 [[미러 (웹 사이트)|미러]] 개장
|-
|-
|2015년 6월 26일
|2015년 6월 26일
150번째 줄: 95번째 줄:
|2016년 5월 13일
|2016년 5월 13일
|[[바다위키]] 개설. 개설 당일에는 십덕위키였으나 바로 이름을 바다위키로 변경.
|[[바다위키]] 개설. 개설 당일에는 십덕위키였으나 바로 이름을 바다위키로 변경.
|-
|2016년 11월 22일
|대형 게임 커뮤니티 [[루리웹]]에서 시범적으로 [[루리위키]]를 개장
|-
|-
|2017년 4월 29일
|2017년 4월 29일
159번째 줄: 101번째 줄:
|2017년 5월 18일
|2017년 5월 18일
|바다위키 폐쇄
|바다위키 폐쇄
|-
|2017년 6월 1일
|(구) 새문위키 개설
|-
|2017년 6월 21일
|TheWiki 개설
|-
|2017년 9월 24일
|알파위키 개설
|-
|2018년 6월 1일
|(구) 새문위키 폐쇄
|-
|2018년 9월 24일
|알파위키 1차 폐쇄<ref>이후 몇 차례 개장과 폐장을 반복했다가 2019년 5월에 위키 편집 권한이 개방되면서 완전히 정상화된다.</ref>
|-
|2019년 5월 16일<ref>편집 권한이 완전히 정상화된 시점 기준. </ref>
|알파위키 재개장
|-
|2019년 11월 8일
|새 바다위키 (現 [[크리어티]]) 개설
|}
|}


==종류==
== 목록 ==
=== 세대에 따른 분류===
* [[리그베다 위키]]
*최초
* [[나무위키]]
**[[리그베다 위키]](제1대 엔하위키)
* [[리브레 위키]]
 
* <del>[[바다위키]]</del>: 2017년 5월 폐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전부터 운영
* [[크리어티]]]
**<del>[[엔하위키 미러]]</del><ref>[[미러 (웹 사이트)|미러]]로 바뀜</ref>
* <del>[[새문위키]]</del>: 2018년 6월 폐쇄
**제2대 엔하위키([http://ntxq.ehehe.net/gb4/narinwiki/ 설정위키]) -> [[NTX 설정위키]]
* [[알파위키]]
 
* <del>[[오리위키]]</del>: 2017년 4월 폐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생성 ([[대위키시대]])
* [http://uman.tcatmon.com/ 우만위키]<ref name="우만">나무위키 DB를 포크한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로 사실상 개인 위키처럼 운영하고 있다. 한때는 CC-BY-4.0으로 라이선스를 지지 않았으나 이후 수정.</ref>
**[[리그베다 위키]]의 미러
* [[더위키]]
*** [[리그베다 미러]]
*** [http://wiki.7979.us/ 7979.us]
**[[리브레 위키]]
**[[나무위키]]
***[[나무위키 미러]]<ref>2016년 7월부터 데이터 갱신이 되지 않아 미러로써의 가치를 상실한 상태였으나 2018년 5월부터 다시 데이터 갱신이 되고 있다.</ref>
***<s>[[무나키위]]</s> 폐쇄됨.
***[[나무모에 미러]]
**<s>[[오리위키]]</s> 2017년 4월 폐쇄.
**[[NTX 위키]]


* 2016년 이후 생성
== 용어에 대한 반응 ==
**<s>[[바다위키]]</s> 2017년 5월 폐쇄.
** [http://uman.tcatmon.com/ 우만위키]<ref>나무위키 DB를 포크한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로 사실상 개인 위키처럼 운영하고 있다. 한때는 CC-BY-4.0으로 라이선스를 지지 않았으나 이후 수정. </ref>
** <s>[[새문위키]]</s> 2018년 6월 폐쇄.<ref>[[리브레 위키]]와 유사하게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했으나 나무위키와 라이선스와 문법이 호환되는 특성을 지고 있었다.</ref>
** [[The Wiki]]
** [[알파위키]]
 
=== 특성에 따른 분류 ===
*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를 기반으로 한 위키
** [[리그베다 위키]]
** [[나무위키]]
*** [[나무위키 미러]]
** [[오리위키]]
** [[바다위키]]. 정확히 말해서는 [[리그베다 위키]]가 아닌 [[나무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만든 위키.
** [http://uman.tcatmon.com/ 우만위키]
** [[The Wiki]] -[[나무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위키.
** [[알파위키]] -[[나무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위키.
 
*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를 기반으로 하지는 않으나 영향을 조금 받은 위키
** [[리브레 위키]]
** [[NTX 위키]]<ref>사실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때문에 예비용으로 만든 위키이다. 일단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한 위키이므로 이곳에 분류한다.</ref>
** <s>[[구스위키]]</s><ref>단, 이를 단순한 취소선 드립으로 보기는 힘든데, 실제로 구스위키의 여러 문서에는 취소선과 같이 엔하계 위키의 특징적인 표현들이 많이 보인다. 이는 [[구스위키]]의 정책상 아무리 아니꼬운 서술이라 할지라도 지우기 힘들기 때문이다.</ref>
** [[새문위키]]<ref>이쪽은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했으나 이용자층이 [[오리위키]], [[바다위키]]와 겹치는데다가 라이선스를 나무위키와 호환되는 CC-BY-NC-SA 4.0 기반으로 하고 나무마크를 설치하여 [[리그베다 위키]] 계열 위키들과 문서의 호환성을 높였다.</ref>
*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를 기반으로 하지도 않고, 영향도 받지 않은 사이트
** [[NTX 설정위키]]
 
==용어에 대한 반응==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고 불리는 데에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는다. "우리가 엔하계 위키지 무슨 위키냐?"하는 분위기. [https://bbs.librewiki.net/?_filter=search&act=&vid=&mid=anon&category=&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97%94%ED%95%98%EA%B3%84 익명방의 글]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고 불리는 데에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는다. "우리가 엔하계 위키지 무슨 위키냐?"하는 분위기. [https://bbs.librewiki.net/?_filter=search&act=&vid=&mid=anon&category=&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97%94%ED%95%98%EA%B3%84 익명방의 글]


초기 [[나무위키]]에서는 다음 대화내용에서 보듯 [[엔하계 위키]]로 분류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사용자도 있었다. [http://archive.is/4kSJ3 구 나무위키 게시판 '엔하계' 검색결과]
초기 [[나무위키]]에서는 다음 대화내용에서 보듯 [[엔하계 위키]]로 분류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사용자도 있었다.


{{인용문2|A: 그래서 28만 개 문서는 다 어디서 갖고 온 건지요?<br/>B: 우리가 빼앗긴 것들을 탈환해 온 겁니다.<br/>A: 그래서 그 28만 개 문서가 어디서 작성되고 유포됐었냐구요. 말 돌리지 마시고.<br/>B: 우리 것인줄 알았던 위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br/>A: 진짜 끝까지 감정으로만 호소하지 말고 똑바로 말하세요. 왜 엔하라고 말을 못합니까.<br/>B: 네, 리그베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그리고 우리가 그곳의 항목을 가져왔다는 이유로 같은 취급을 하시려는겁니까?<br/>A: 계통으로 계보를 분류했다고 해서 '같은 취급'까지 가는 건 너무 멀리 가셨습니다.<br/>B: 먼저 우리와 저자들은 지향하는 게 다르니까요. 같은 계보에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http://archive.is/sVx8I 엔하계 위키 문서 복구하겠습니다], 나무위키 토론게시판, 2015.05.18.}}
{{인용문2|A: 그래서 28만 개 문서는 다 어디서 갖고 온 건지요?<br />B: 우리가 빼앗긴 것들을 탈환해 온 겁니다.<br />A: 그래서 그 28만 개 문서가 어디서 작성되고 유포됐었냐구요. 말 돌리지 마시고.<br />B: 우리 것인줄 알았던 위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br />A: 진짜 끝까지 감정으로만 호소하지 말고 똑바로 말하세요. 왜 엔하라고 말을 못합니까.<br />B: 네, 리그베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그리고 우리가 그곳의 항목을 가져왔다는 이유로 같은 취급을 하시려는겁니까?<br />A: 계통으로 계보를 분류했다고 해서 '같은 취급'까지 가는 건 너무 멀리 가셨습니다.<br />B: 먼저 우리와 저자들은 지향하는 게 다르니까요. 같은 계보에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http://archive.is/sVx8I 엔하계 위키 문서 복구하겠습니다], 나무위키 토론게시판, 2015.05.18.}}


똑같이 리그베다 위키의 스타일을 계승하는 위키들이지만, 이 스타일에 더불어 포크로 리그베다 위키의 '알맹이'도 가져 리그베다 위키와 여러모로 가장 밀접한 나무위키에서 정작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거부감을 보이는 의견도 보이는 반면, 스타일만 같을 뿐 알맹이가 하나도 없어 오히려 리그베다 위키와 거리가 가장 먼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별 거부감이 표출되지 않는 현상은 상당히 흥미롭게 관측되었다.  
똑같이 리그베다 위키의 스타일을 계승하는 위키들이지만, 이 스타일에 더불어 포크로 리그베다 위키의 '알맹이'도 가져 리그베다 위키와 여러모로 가장 밀접한 나무위키에서 정작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거부감을 보이는 의견도 보이는 반면, 스타일만 같을 뿐 알맹이가 하나도 없어 오히려 리그베다 위키와 거리가 가장 먼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별 거부감이 표출되지 않는 현상은 상당히 흥미롭게 관측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있다.  
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대체적으로 리브레 위키가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는 것에는 이용자들이 이미 한 차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을 포기해 <del>해탈의 경지에 도달했기 때문</del>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멀어졌고 그런 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희석된 반면, 나무위키에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는 것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들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아직도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진하게 남아 그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진하게 남은 것이라는 해석.
*대체적으로 리브레 위키가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는 것에는 이용자들이 이미 한 차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을 포기해 <del>해탈의 경지에 도달했기 때문</del>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멀어졌고 그런 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희석된 반면, 나무위키에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는 것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들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아직도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진하게 남아 그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진하게 남은 것이라는 해석.
*단순하게, 리그베다 위키 사용자 층의 많은 수가 나무위키로 옮겨갔고 일단 머릿수가 더 많으니 엔하계 위키라는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많은 반면, 리브레 위키로 옮겨온 이용자들은 그 수가 적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적은 것으로 추산하는 의견.
*단순하게, 리그베다 위키 사용자 층의 많은 수가 나무위키로 옮겨갔고 일단 머릿수가 더 많으니 엔하계 위키라는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많은 반면, 리브레 위키로 옮겨온 이용자들은 그 수가 적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적은 것으로 추산하는 의견.
*나무위키의 경우 '스스로 일어선 것이 아니라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 (소프트웨어 개발)|포크]]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이 일종의 [[콤플렉스]]로 작용해 오히려 정체성을 찾고자 더욱 리그베다 위키를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리브레 위키의 경우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하지 않고 스스로 일어선 것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 리그베다 위키를 덜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는 분석.
*나무위키의 경우 '스스로 일어선 것이 아니라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 (소프트웨어 개발)|포크]]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이 일종의 [[콤플렉스]]로 작용해 오히려 정체성을 찾고자 더욱 리그베다 위키를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리브레 위키의 경우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하지 않고 스스로 일어선 것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 리그베다 위키를 덜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는 분석.
여기까지 봤다면 알겠지만, 대체로 포크 여부가 이런 반응 차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다.
[[File:스크린샷 2015-11-19 오전 1.34.02.png|섬네일|{{나무위키|틀:문서가 개설된 한국어 위키}} 스크린샷]]
그러나 이 표에서 보듯, 나무위키를 엔하계 위키로 분류하는 것이 다시 표를 얻고 있다. [[:나무위키:위키/목록#s-5.1|나무위키의 위키/목록]]에서 보듯, [[리그베다 위키]]의 이용자가 대량으로 유입된 점과 그로 인해 리그베다 위키와 비슷한 편집 스타일을 같게 된 점을 인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 외 [[오리위키]]에서는 별다른 반응이 없다. 이들 위키는 아예 관련 [[토론]]이나 [[문서]] 자체가 없다.


{{각주}}
{{각주}}
{{위키}}
{{문서 가져옴|나무위키}}
{{문서 가져옴|나무위키}}
[[분류:위키위키]]
[[분류:위키]]

2022년 5월 25일 (수) 19:17 기준 최신판

엔하계 위키2007년 3월에 개장한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 영향을 받은 한국어 위키 사이트의 통칭이다. 2015년 5월 16일 나무위키엔하계 위키 문서가 만들어지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엔하계 위키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용어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 문화 및 위키 기여층의 변화로, 현재는 엔하위키의 색체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엔하위키는 리그베다 위키로 이름을 바꾸었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엔하위키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당시 많은 이용자들이 리그베다 위키를 엔하위키로 일컬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1. 문서 등재 기준(일명 저명성)이 위키백과보다 널널하다.
  2. 내용에 중립적 시각과 문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 문서에 자신의 의견을 담을 수 있다.
    • 재미를 위해 각종 유행어인터넷 밈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서술된 내용의 사실성을 입증할 객관적인 자료를 빡빡하게 요구하지 않는다. 있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 하는 식.
  4. 주요 이용자층의 환경적 특수성을 인정한다. (예: 대한민국을 우리나라로 표기할 수 있음)
  5. 취소선, 각주, 굵은 글씨를 통해 유머나 사견을 표현한다. 이렇게
  6. '이전 서술에서는 이러하나, 실제는 그러하다'와 같은 서술로 토론을 문서 내에서 진행하기도 한다.

자주 사용되던 표현[편집 | 원본 편집]

유머를 위해 리그베다 위키에서 자주 사용하던 표현들이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해당 표현의 사용량이 줄었는데, 이는 해당 유행어들의 수명이 다했기 때문이다. 남길임 경북대학교 교수가 2005~2006년에 만들어진 신조어의 10년 이후에 63%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조사가 이를 뒷받침한다.[1]

기능과 한계[편집 | 원본 편집]

엔하계 위키는 위키백과가 다룰 수 없는 영역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이 엄격하고, 외부 미디어를 공정 이용 조건 하에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엔하계 위키는 관련 규정이 관대한 편이며 어느 정도 비객관적인 서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서에 주관적인 내용을 담을 수 있다는 점은 한 쪽의 이해만 담은 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나무위키에서 두드러진 미소지니 성향과 정치적 의도를 담은 편집, 기타 호불호의 표출과 같은 서술과 분쟁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무비판적으로 내용을 받아들이는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낳기도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날짜 내용
2007년 3월 1일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 개설
2013년 1월 31일 엔하위키,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 변경
2015년 4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2015년 4월 16일 리브레 위키 개설
2015년 4월 17일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
나무위키 개설
2015년 4월 18일 오리위키 개설
2015년 4월 25일 리그베다 위키 일시적 운영 중단
나무위키 미러 개설
2015년 5월 14일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이 내려짐으로써 엔하위키 미러의 존속이 위태로워짐
2015년 5월 17일 리그베다 위키 운영 재개
2015년 6월 8일 엔하위키 미러 폐쇄 및 엔하위키 미러를 잇는 새로운 메타위키 미러 개장
2015년 6월 26일 리그베다 위키에서 사전 허가제로 편집 개방
2016년 5월 13일 바다위키 개설. 개설 당일에는 십덕위키였으나 바로 이름을 바다위키로 변경.
2017년 4월 29일 오리위키 폐쇄
2017년 5월 18일 바다위키 폐쇄
2017년 6월 1일 (구) 새문위키 개설
2017년 6월 21일 TheWiki 개설
2017년 9월 24일 알파위키 개설
2018년 6월 1일 (구) 새문위키 폐쇄
2018년 9월 24일 알파위키 1차 폐쇄[4]
2019년 5월 16일[5] 알파위키 재개장
2019년 11월 8일 새 바다위키 (現 크리어티) 개설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용어에 대한 반응[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고 불리는 데에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는다. "우리가 엔하계 위키지 무슨 위키냐?"하는 분위기. 익명방의 글

초기 나무위키에서는 다음 대화내용에서 보듯 엔하계 위키로 분류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사용자도 있었다.

A: 그래서 28만 개 문서는 다 어디서 갖고 온 건지요?
B: 우리가 빼앗긴 것들을 탈환해 온 겁니다.
A: 그래서 그 28만 개 문서가 어디서 작성되고 유포됐었냐구요. 말 돌리지 마시고.
B: 우리 것인줄 알았던 위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A: 진짜 끝까지 감정으로만 호소하지 말고 똑바로 말하세요. 왜 엔하라고 말을 못합니까.
B: 네, 리그베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그리고 우리가 그곳의 항목을 가져왔다는 이유로 같은 취급을 하시려는겁니까?
A: 계통으로 계보를 분류했다고 해서 '같은 취급'까지 가는 건 너무 멀리 가셨습니다.
B: 먼저 우리와 저자들은 지향하는 게 다르니까요. 같은 계보에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엔하계 위키 문서 복구하겠습니다, 나무위키 토론게시판, 2015.05.18.

똑같이 리그베다 위키의 스타일을 계승하는 위키들이지만, 이 스타일에 더불어 포크로 리그베다 위키의 '알맹이'도 가져 리그베다 위키와 여러모로 가장 밀접한 나무위키에서 정작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거부감을 보이는 의견도 보이는 반면, 스타일만 같을 뿐 알맹이가 하나도 없어 오히려 리그베다 위키와 거리가 가장 먼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별 거부감이 표출되지 않는 현상은 상당히 흥미롭게 관측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 대체적으로 리브레 위키가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는 것에는 이용자들이 이미 한 차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을 포기해 해탈의 경지에 도달했기 때문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멀어졌고 그런 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희석된 반면, 나무위키에 엔하계 위키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는 것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것들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아직도 리그베다 위키와의 연관성이 진하게 남아 그만큼 리그베다 위키를 향한 적개심도 진하게 남은 것이라는 해석.
  • 단순하게, 리그베다 위키 사용자 층의 많은 수가 나무위키로 옮겨갔고 일단 머릿수가 더 많으니 엔하계 위키라는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많은 반면, 리브레 위키로 옮겨온 이용자들은 그 수가 적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례하여 더 적은 것으로 추산하는 의견.
  • 나무위키의 경우 '스스로 일어선 것이 아니라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이 일종의 콤플렉스로 작용해 오히려 정체성을 찾고자 더욱 리그베다 위키를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리브레 위키의 경우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하지 않고 스스로 일어선 것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 리그베다 위키를 덜 부정하게 되는 것'으로 보는 분석.

각주

  1. 떨녀? 당게낭인?…"신조어 73%는 10년 지나면 안 쓰여", 연합뉴스, 2017.01.14
  2. 개소리 집어쳐! 무슨 님을 만난다는 거야! 등
  3. 안 되겠소, 쏩시다! 등
  4. 이후 몇 차례 개장과 폐장을 반복했다가 2019년 5월에 위키 편집 권한이 개방되면서 완전히 정상화된다.
  5. 편집 권한이 완전히 정상화된 시점 기준.
  6. 나무위키 DB를 포크한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로 사실상 개인 위키처럼 운영하고 있다. 한때는 CC-BY-4.0으로 라이선스를 지지 않았으나 이후 수정.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