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한 일만 알아도 쉽게 알 수 있는 한자

한자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21일 (수) 09:44 판 (새 문서: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한자능력검정시험에 곧 합격할 수 있습니다.}} <big>'''이 문서는 리브레 한자사전이 아니라, 한자에 대해 배우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이 문서에는 독자적으로 연구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무례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고, 의견 충돌 시 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세요.

이 문서는 리브레 한자사전이 아니라, 한자에 대해 배우는 문서입니다. 한자사전은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개요(槪要)

이 문서는 쉽게 한자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만든 문서입니다. 부정확한 정보도 많으니 맹신하시지는 마시고[1],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시작(始作): 한자(漢字) 학습(學習)의 동기(動機)

한자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많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일상생활 속 복잡한 한자 용어에 대한 이해를 더하기 위해 관심을 가지게 되거나, 혹은 고사성어와 그 역사적 맥락을 보고 비유적인 의미를 언어 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 아니면 중국어나 일본어에 사용되는 한자[2]를 배우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두는 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 자격증이 '스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관련 기사) 한자 병기에서도 논란이 벌어지는 만큼(관련 기사) 한자를 실용성보다는 외국어 학습의 준비 및 취미/교양을 위해 배우는 경우도 꽤 있을 것이다.

한자의 기초(基礎)

리브레 위키의 한자 문서의 3번에서 5번 문단을 참고하면 좋다.(육서, 필순, 부수 등)

한자능력검정시험(漢字能力檢定試驗) 설명

각주

  1. 이 문서가 말하는 바가 곧 정답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벼운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2. 단, 한문중국어는 문법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유의해야 한다.(한문 = 중국어는 아니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모양은 다르다. 중국에서는 간체자, 일본에서는 신자체라는 한국과 다른 형태의 간략화된 한자(예: 巖(한국), 岩(중국/일본)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