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KT

분류:
  • KT
  • 1981년 설립
주식회사 케이티
KT Corporation
KoreaTelecom logo.png
형태 주식회사
창립 1981년 12월 10일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전 회사 한국통신
시장 정보 코스피 030200
상장일 1998년 12월 23일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본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사업 지역 대한민국
사업 내용 통신 서비스의 제공
제품 Olleh TV(IPTV), Olleh 인터넷
자본금 1조 5,644억 원
매출액 17조 288억 원
영업이익 1조 595억 원
순이익 8,093억 원
자산 총액 24조 7,003억 원
주요 주주 국민연금 (10.34%)
NTT 도코모 (5.46%)
자회사 지니뮤직, 비씨카드, 브이피, 스마트로 외
종업원 23,575 명
웹사이트 http://www.kt.com/
사업보고서 (제35기) (2017년 3월 31일)

KT(케이티)는 대한민국의 통신 회사이다.

SK텔레콤이 한국이동통신을 인수해 설립되었다면, 이 곳은 한국이동통신의 모기업이었던 공기업 한국전기통신공사가 민영화되면서 사명을 변경한 것이다. 이런 역사 때문에 이동통신 시장은 SK가, 유선통신 시장은 KT가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다.

2대 주주가 일본의 NTT 도코모라는 특징이 있다. NTT 도모코에서 KTF 지분 10%를 사들였던 것이 KT로 승계된 것이다. 이 영향인지 KT의 일본 로밍 파트너는 NTT 도코모이다. 일본 로밍이 한국보다 더 잘 잡힌다더라 SKT-소프트뱅크 지못미

목차

  • 1 사업
    • 1.1 유선
    • 1.2 무선
  • 2 브랜드 변천사
  • 3 사건·사고
  • 4 각주

1 사업[편집]

SKT나 LG U+와 달리 각 지역에 명확한 거점(주로 옛 전화국)이 있으며 여기에 가면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대리점 등에서는 돈이 안 된다고 잘 안해주는 업무는 옛 전화국에 가면 거의 해준다.

1.1 유선[편집]

체신부에서 시작된 국가기간통신사업을 맡고 있기 때문에 기초 백본망이 튼튼하고, 해외망 대역폭도 넉넉해 품질 문제로 골머리 썩는 일이 없다. 한국에서 취급할 수 있는 유선통신사업은 거의 다 하고있다. 공중전화는 국내 유일 사업자(KT링커스).

  • 일반전화
    체신부 시절부터 내려온 사업으로 사양세이지만 물리적인 회선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쓰이고 있다. SKB(구 하나로통신)이나 LG U+(구 데이콤)에서도 일반전화 사업을 하고 있지만 KT의 일반전화가 보편적이다.
  • 부가통신사업자
    일반전화에 1588 대표번호, 080 무료번호, 컬러링, 국제전화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부가통신사업자는 여럿 있지만 KT에서 일괄 가입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잘 쓰인다.
  • 인터넷서비스제공자
    KT인터넷을 사용하면 WHOIS에서 IP주소를 조회할 경우 지역이 노출될 수 있다.덕분에 검사관에겐 다중계정을 확인하기가 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이유인 즉, KT는 IP주소를 관리하는 주체가 각 지사(전화국)이다 보니, IP를 후이즈에서 검색할 경우 해당 지역의 지사로 찍히는데, 후이즈에서 검색되는 주소가 해당 지사의 주소이다. 다만 최근에 확충된 회선이거나 무선 회선은 KT본사로 나온다.

1.2 무선[편집]

  • 이동통신
    PCS 사업으로 시작한 이동통신 업무는 가열찬 경쟁시장 속에서 2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때 3G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SKT를 잠깐 앞섰던 적도 있었다. 4세대 LTE 개통 과정에서 주파수 대역 확보에 실패하자 기존 2G를 종료시켰는 데, 그 과정에서 2G 가입자들을 내치면서 잡음이 많았다.
  • 위성통신
    KT sat으로 분사한 위성통신은 무궁화 위성의 소유 및 운영을 국가로부터 불하받아 영위하고 있다. 독자적인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말새트 지구국 등의 글로벌 서비스 연동도 하고 있다.
  • TRS
    KT 파워텔로 분사한 주파수공용통신은 국내 유일의 전국 사업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 사업자에도 지분을 확보해 독점과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일반적인 무전기 외에 모기업의 LTE망을 빌려 IP기반의 TRS 서비스를 한다.

2 브랜드 변천사[편집]

유선 통신 무선 통신
Let's KT
Megapass
KTF 016/018
magicN
fimm
▼
QOOK&SHOW
▼
olleh
▼
kt

3 사건·사고[편집]

  • 2018년 아현전화국 화재사고
    더 많은 정보는 공동구#공동구 사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8년 11월 24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아현동 KT플라자 화재로 통신 공동구가 망실되어 경기도 고양시 일부, 서울특별시 중구, 용산구,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의 KT 유무선 통신이 모두 마비되었다.
보기 • 편집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방송 관련 문서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 KBS
    • 1TV
    • 2TV
  • EBS
  • MBC
  • SBS
  • TBC (서울)
지역민방
  • OBS 경인TV
  • iFM 경인방송
  • 경기방송
  • G1 강원민방
  • TJB 대전방송
  • CJB 청주방송
  • JTV 전주방송
  • kbc 광주방송
  • TBC (대구)
  • ubc 울산방송
  • KNN
  • JIBS
유료방송
채널 사업자
종합편성채널
  • JTBC
  • MBN
  • 채널A
  • TV조선
복수채널사업자
  • CJ ENM
  • 티캐스트
  • iHQ (CU미디어)
  • 현대미디어
일반채널사업자
  • 국회방송
  • KTV 국민방송
  • YTN
  • 연합뉴스TV
  • FTV
송출 사업자
복수유선방송사
  • CJ헬로
  • 티브로드
  • 딜라이브
  • CMB
  • 현대HCN
일반유선방송사
  • 아름방송 (성남)
  • 남인천방송 (인천 미추홀구, 연수구)
  • gcs 푸른방송 (대구)
  • JCN 울산중앙방송 (울산)
  • 서경방송 (경남)
  • CCS 충북방송 (충북)
  • 금강방송 (익산, 군산)
  • KCTV 광주방송 (광주)
  • KCTV 제주방송 (제주)
IPTV
  • SK브로드밴드
  • KT
  • LG유플러스
위성방송
  • 스카이라이프
관련 분류
  •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라디오
보기 • 편집
대한민국의 통신 사업자
유선
  • SK브로드밴드
  • KT
  • LG U+
이동전화
MVO
  • SK텔레콤
  • KT
  • LG U+
MVNO
SK텔레콤 계열
  • SK텔링크
  • 한국케이블텔레콤
  • 에코모바일
  • 아이즈비전
  • 티브로드
  • 모빙
  • 이마트 모바일
  • 에스원
  • 메리큐
KT 계열
  • 헬로모바일
  • 홈플러스모바일
  • 에버그린모바일
  • 온세텔레콤
  • 에넥스텔레콤
  • Well
  • 더블v
  • WMVNO
  • 앤텔레콤
  • flash모바일
  • KT IS M MOBILE
  • 착한통신
LG U+ 계열
  • 스페이스네트
  • 마이월드
  • U-mobi
TRS
  • KT파워텔
  • 티온텔레콤
  • 케이비텔레콤
무선호출
  • 서울이동통신
위성통신
  • KT sat

4 각주

  • 이 문서는 2019년 11월 25일 (월) 19: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