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

수열(數列, sequence [of numbers])은 자연수 집합, 더 넓게는 가산 전순서 집합정의역으로 하는 함수를 말한다. 여기서의 자연수 집합은 보통 0을 포함하는데, 이는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에서 멱급수 [math]\displaystyle{ \sum a_i x^i }[/math]를 만들 때 변수의 지수(exponentiation)와 수열의 지수(index)를 i로 같게 하기 위해서이다.

정수론에서는 이와 완전히 같은 개념인 수론적 함수를 도입하는데, 이는 수열을 나열이 아닌 하나의 함수로 보겠다는 것이다.

수열의 일반적인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수열은 정의역이 자연수 집합일 뿐, 공역에는 상관하지 않는다. 즉 함수를 나열한 함수열도 수열이고, 행렬을 나열한 행렬렬도 수열이다. 즉 수열 {ai}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a_\cdot : \; \mathbb N \rightarrow Y. }[/math]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열이라 함은 공역이 복소수 범위, 좁게는 실수 범위에 대하여 다룬다. 이는 (덧셈과 곱셈에 대한) 교환, 결합법칙이 만족하는, 다루기 쉬운 가환군이기 때문이다.

수열은 순서쌍의 형태로도 나타낼 수 있으며, (정의역이 무한집합이기 때문에) [math]\displaystyle{ Y^\omega }[/math]의 원소로 표현한다. 즉

[math]\displaystyle{ \{a_n\} \in Y^\omega }[/math]

이다.

각각의 함숫값 aii-항(i-th term)이라고 하며, 이를 모든 정의역의 원소 n에 대하여 나타낸 것을 일반항(general term)이라고 한다. 보통 수열을 표기할 때는 중괄호 (또는 소괄호) 안에 일반항, 또는 원소를 나열하여 표기한다.

수열의 극한[편집 | 원본 편집]

공역이 실수인 실수열에서는 엡실론-N 논법을 사용하여 함수의 극한을 정의한다. 즉 [math]\displaystyle{ \{a_n\} }[/math]이 실수열일 때 모든 [math]\displaystyle{ \epsilon \gt 0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ge N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a_n -a|\lt \epsilon }[/math]이 성립하는 [math]\displaystyle{ a \in \mathbb{R}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a }[/math]는 수열 [math]\displaystyle{ \{a_n \} }[/math]의 극한이다.

이를 확장하면 복소수열, 더 나아가 거리공간에까지 확장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a_n -a| }[/math][math]\displaystyle{ a_n }[/math][math]\displaystyle{ a }[/math] 사이의 거리라고 생각하면,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a_n\} }[/math]거리함수(metric) [math]\displaystyle{ d }[/math]를 가지는 거리공간 [math]\displaystyle{ X }[/math]에서의 수열이라 하자. 모든 [math]\displaystyle{ \epsilon \gt 0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ge N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d(a_n,a) \lt \epsilon }[/math]이 성립하는 [math]\displaystyle{ a\in X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a }[/math]는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극한이다.

또한 거리함수를 근방(neighborhood)으로 바꾸면 위상공간에까지 확장 가능하다:

[math]\displaystyle{ \{a_n\} }[/math]이 위상공간 [math]\displaystyle{ X }[/math]에서의 수열이라 하자. 어떤 [math]\displaystyle{ a \in X }[/math]와 그 임의의 근방 [math]\displaystyle{ N_a }[/math]가 있고,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ge N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a_n\in N_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 }[/math]를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극한이라고 한다.

고만해, 미친놈들아!

유계[편집 | 원본 편집]

수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 \; \mathbb N \rightarrow \mathbb R }[/math]위로 유계(bounded above)라는 것은 모든[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le A }[/math][math]\displaystyle{ A \in \mathbb R }[/math]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때 [math]\displaystyle{ A }[/math]상계(upper bound)라고 한다. 가장 작은 상계를 최소 상계(least upper bound)라고 한다.

수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 \; \mathbb N \rightarrow \mathbb R }[/math]아래로 유계(bounded below)라는 것은 모든[math]\displaystyle{ n \in \mathbb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e A }[/math][math]\displaystyle{ A \in \mathbb R }[/math]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때 [math]\displaystyle{ A }[/math]하계(lower bound)라고 한다. 가장 큰 하계를 최대 하계(greatest lower bound)라고 한다.

수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 \; \mathbb N \rightarrow \mathbb R }[/math]가 위로 유계면서 아래로 유계일 때, 다시말해, 상계와 하계가 모두 존재하면, 수열은 유계(bounded)라고 하고, 유계가 아닌 수열을 비유계(unbounded)라고 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대표적인 수열 몇가지를 배우게 된다.

등차수열[편집 | 원본 편집]

인접한 항의 차가 항상 일정한 수열. 간단한 예로는 [math]\displaystyle{ \left(1,2,3,\cdots,\right) }[/math]같은 것이 있으며, 이 때 인접한 두 항의 차를 공차라고 부른다.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math]\displaystyle{ a_n }[/math], 공차를 [math]\displaystyle{ d }[/math], 초항을 [math]\displaystyle{ a }[/math]라고 하면 일반항은 [math]\displaystyle{ a_n=a+\left(n-1\right)d }[/math]로 표현할 수 있다.

(유한한) 등차수열의 합은 가우스가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간단하게 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즉, 첫 번째 줄엔 항들을 순서대로, 두 번째 줄엔 항들을 역순으로 배열한다.

[math]\displaystyle{ S=a+\left(a+d\right)+\cdots+l }[/math]
[math]\displaystyle{ S=l+\left(l-d\right)+\cdots+a }[/math]

그 후 두 식을 변끼리 더하는데, [math]\displaystyle{ a_i+a_{n-i+1} }[/math]의 값은 항상 일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math]\displaystyle{ a_i+a_{n-i+1}=a+l }[/math]이고, 따라서 [math]\displaystyle{ 2S=n\left(a+l\right) }[/math]이다. 곧, [math]\displaystyle{ S=\frac{n\left(a+l\right)}{2} }[/math]. 만약 마지막 항의 값을 모르고, 대신에 공차를 안다면 [math]\displaystyle{ l=a+\left(n-1\right)d }[/math]으로 바꿔서 쓸 수도 있다.

등차수열에는 등차중항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연속된 세 항의 가운데 항은 나머지 두 항의 합의 산술평균이라는 것. 즉, [math]\displaystyle{ a,b,c }[/math]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math]\displaystyle{ b=\frac{a+c}{2} }[/math]라는 소리.

등비수열[편집 | 원본 편집]

인접한 항의 비가 항상 일정한 수열. 간단한 예로는 [math]\displaystyle{ \left(1,2,4,8,\cdots\right) }[/math]같은 것이 있다. 인접한 두 항의 비를 공비라고 부르며, 공비를 [math]\displaystyle{ r }[/math]이라 했을 때 일반항은 [math]\displaystyle{ a_n=ar^{n-1} }[/math]이다.

(유한한) 등비수열의 합은 등차수열의 합과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구한다. 먼저 첫 번째 줄엔 그대로, 두 번째 줄엔 첫 번째 시에 등비를 곱한 값을 나열한다. 즉,

[math]\displaystyle{ S=a+ar+ar^2+\cdots+ar^{n-1} }[/math]
[math]\displaystyle{ rS=0+ar+ar^2+\cdots+ar^{n-1}+ar^n }[/math]

이 후 두 식을 변끼리 빼면, [math]\displaystyle{ S-rS=a-ar^n }[/math]이고, 간단히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S=\frac{a\left(r^n-1\right)}{r-1} }[/math]이다. 그런데 이 식은 [math]\displaystyle{ r=1 }[/math]일 때는 성립하지 않으며, [math]\displaystyle{ r=1 }[/math]일 때는 모든 항이 다 같으므로 [math]\displaystyle{ S=na }[/math]이다. 무한한 등차수열은 항상 발산하는 것과는 달리 무한한 등비수열은 등비의 값에 따라 수렴하기도 한다.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math]\displaystyle{ \left|r\right|\lt 1 }[/math]이며, 이 외에는 항상 발산한다. 무한 등비수열의 합은 [math]\displaystyle{ \frac{a}{1-r} }[/math]이다. [1] 등차수열과 마찬가지로 등비중항이라는 개념이 있다. 연속된 세 항이 등비수열을 이루면, 가운데 항은 나머지 두 항의 곱의 제곱근이다. 즉, [math]\displaystyle{ a,b,c }[/math]가 등비수열이라면 [math]\displaystyle{ b=\sqrt{ac} }[/math]가 성립한다는 소리.

조화수열[편집 | 원본 편집]

수열의 각 항의 역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는 수열. 자세히 배우지는 않고 이런 수열이 있다는 것만 배운다. 조화중항이라는 개념 역시 존재하는데, 연속된 세 항이 조화수열을 이루면 가운데 항은 나머지 두 항의 산술평균의 역수이다. 즉, 조화수열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b=\frac{2ac}{a+c} }[/math]가 성립한다.

계차수열[편집 | 원본 편집]

어떤 수열이 있을 때, 인접한 두 항의 차를 계차라고 부르며, 그 계차들을 나열한 수열을 계차수열이라 부른다. 원순열을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 계차수열을 [math]\displaystyle{ \left\{b_n\right\} }[/math]라 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 a_1 &= a \\ a_2 &=a+b_1 \\ a_3 &= a_2+b_2=a+b_1+b_2 \\ \vdots \end{align*} }[/math]

가 성립하므로 일반항 [math]\displaystyle{ a_n }[/math][math]\displaystyle{ a_n=a+\sum_{k=1}^{n-1}b_k }[/math]이다.

피보나치 수열[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유도과정

    [math]\displaystyle{ S_{n}=\frac{a\left ( {r}^{n}-1 \right )}{r-1} }[/math]에서 [math]\displaystyle{ \left | r \right |\lt 1 }[/math]이라면
    [math]\displaystyle{ \require{action} \lim_{n\rightarrow \infty}S_{n}=\lim_{n\rightarrow \infty}\frac{a\left ( {r}^{n}-1 \right )}{r-1}=\frac{a}{r-1}\mathtip{\lim_{n\rightarrow \infty}\left ( {r}^{n}-1 \right )}{\left | r \right |\lt 1\: \: 이면\: \: \lim_{n\rightarrow \infty}{r}^{n}=0이다.\: \: \: \: \: \: }=\frac{-a}{r-1}=\frac{a}{1-r}\\ }[/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