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공동승차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일본 지명 통일)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판매되어 [[2015년]] 6월 30일까지 '''판매될 예정일''' [[공동승차권]]이다.
[[파일:Korea japan union ticket 1.jpg|thumb|한일공동승차권 겉표지]]
[[분류:승차권]]<big>韓日共同乘車券 / 韓日共同きっぷ</big>


[http://www.letskorail.com/ebizprd/EbizPrdPassJapanJointW_htm15830.do 코레일 한일공동승차권 안내 페이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판매되어 [[2015년]] [[6월 30일]]까지 판매한 [[공동승차권]]이다. JR 니시니혼과 제휴해서 [http://www.westjr.co.jp/press/article/2015/04/page_7042.html 새로운 상품을 만든다]고 했는 데 별 소식이 없다. 대신 한국 부분만 살려놓은 KTX-부관훼리 패키지 상품만 판매한다.
[http://www.ohmyhotel.com/ohmyhotel/cs_center/event_view.aspx?e_no=4440&date_type=ing 오마이호텔 한일공동승차권 안내 페이지]
*[http://www.letskorail.com/ebizprd/EbizPrdPassJapanJointW_htm15830.do 코레일 한일공동승차권 안내 페이지]
*[http://www.ohmyhotel.com/ohmyhotel/cs_center/event_view.aspx?e_no=4440&date_type=ing 오마이호텔 한일공동승차권 안내 페이지]


== 역사 ==
== 역사 ==
한일공동승차권의 물밑작업은 JR 큐슈(당시 국철 큐슈총국)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한국 철도청장이 같은 사업을 국철에 제안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야기가 순식간에 진행되어 88년 7월 첫 발매를 시작했다.<ref><국철맨이 만든 한일항로> - 우리들의 프로젝트 <비틀> 이야기-, 시부야 테츠야, 일본경제신문, 2002. {{ISBN|453219136X}}</ref>
* [[1988년]] [[7월 12일]]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개시 (한국 측 발매사 홍익여행사, 일본 측 발매사 JR 니시니혼·JR 큐슈}
* [[1988년]] [[7월 12일]]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개시 (한국 측 발매사 홍익여행사, 일본 측 발매사 JR 니시니혼·JR 큐슈}
* [[1988년]] [[7월 22일]]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첫 이용
* [[1988년]] [[7월 22일]]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첫 이용
* [[1988년]] [[7월 26일]] 한국에서 일본으로의 첫 이용
* [[1988년]] [[7월 26일]] 한국에서 일본으로의 첫 이용
* [[1990년]] [[10월 1일]] 일본 측 발매사 JR 히가시니혼·JR 홋카이도로 확대
* [[1990년]] [[10월 1일]] 일본 측 발매사 JR 여객 全 6개사로 확대
* [[1991년]] [[7월 16일]] 한일공동승차권에 제트선 [[비틀 (선박)|비틀]], [[코비 (선박)|코비]] 포함
* [[1991년]] [[7월 16일]] 한일공동승차권 선박편에 제트선 [[비틀호|비틀]] 포함
* [[2002년]] 코비호 취항에 따라 한일공동승차권 선박편에 제트선 [[코비호|코비]] 포함
*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에 따라 한일공동승차권 KTX 취급 개시
* [[2006년]] [[3월 17일]] JR 홋카이도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중지
* [[2006년]] [[3월 31일]] JR 히가시니혼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중지
* [[2011년]] [[11월 3일]] 코레일관광개발, 한일공동승차권 취급 개시
* [[2011년]] [[11월 3일]] 코레일관광개발, 한일공동승차권 취급 개시
* <del>[[2015년]] [[6월 30일]]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중지</del>
* '''[[2015년]] [[6월 30일]]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중지


== 사용 방법 ==
== 사용 방법 ==
이건 한국에서 발권할때의 기준. 일본에서 발권했을때에는 [[추가바람]]
기본적인 조합은 [[코레일]]-선박-[[JR]] 승차권이며, 만약 선박편을 따로 타거나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 선박편은 뺀 티켓이 발급되게 된다. 이는 바우처가 아닌 자체 승차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무려 수기작성(...)이기 때문에 발매중단 당시까지 몇 안남은 수기승차권인 셈이었다. 발급은 [[코레일]]이 아닌 여행사 오마이호텔에서 진행중이다.
* 한국에서의 출발역이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이며 [[부산역]]까지 [[KTX]]를 승차하여야 함.
 
** 이때 KTX의 좌석은 자유석이 아닌 지정석이며, 실제로는 탑승할 수 있는 열차편이 지정되어 있는것으로 보인다.
의외로 잘 안알려진 사실이지만, 한국 - 일본을 오갈때 선박편을 이용하지 않아도 한일공동승차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대구역]]-[[부산역]]-[[김해국제공항]]-[[후쿠오카 공항]]-[[하카타역]]의 방식으로 이동해도 큰 문제가 없다.
 
한일공동승차권과 일한공동승차권은 기본적으로 발권측이 한국측이냐 일본측이냐의 차이같지만, 실제로는 사용가능한 선박의 차이가 존재한다. 한일공동승차권은 [[JR 큐슈]]의 비틀호 만을 이용할 수 있고, 일한공동승차권은 미래고속의 코비호 만을 이용할 수 있다.<s>뭔가 반대로 된 것 같은 데?</s> [[부관페리]] 이용은 양쪽 어디에서 발권하든지 가능하다.
 
=== 한국에서 출발할 때 ===
* 한국에서의 출발역이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이며 [[부산역]]까지 [[KTX]]를 승차하여야 함.
** 이때 KTX의 좌석은 자유석이 아닌 지정석이며, 실제로는 탑승할 수 있는 열차편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일공동승차권 폐지 이후의 [https://www.pukwan.co.kr/WEB/002007/webcommunity/ma007/detail/283 원패스 패키지]에서 대충 짐작할 수 있다.
* 일본으로 갈때 [[부관훼리]]를 이용할 경우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하카타역]]에서 출발한다.
* 일본으로 갈때 [[부관훼리]]를 이용할 경우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하카타역]]에서 출발한다.
** [[하카타역]]에서 출발할 경우 [[산요신칸센]]을 이용할 수 없고,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할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하다.
** [[하카타역]]에서 출발할 경우 [[산요 신칸센]]을 이용할 수 없고,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할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하다.
** 전 좌석 자유석이며, 지정석 발권은 불가능하다. '''고로 지정석만 있는 기차는 승차가 불가능하다'''<s>노조미라던가 미즈호라던가</s>
** 전 좌석 자유석이며, 지정석 발권은 불가능하다. '''고로 지정석만 있는 기차는 승차가 불가능하다'''<s>노조미라던가 미즈호라던가</s>
** 의외로 잘 안알려진 사실이지만, 꼭 [[코비(선박)]]/[[비틀(선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한일공동승차권을 이용할 있다. 예를 들어 [[동대구역]]-[[부산역]]-[[김해국제공항]]-[[후쿠오카 공항]]-[[하카타역]]의 방식으로 이동해도 큰 문제가 없다.
** 그냥 자유석인게 아니라, 목적지만 기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편을 가리지 않는다. '''탑승 불가능한 열차'''를 빼면.
** 유효기간은 왕편의 경우 KTX승차일로부터 7일, 복편의 경우 발권일로부터 2개월이다.
** 일본구간내에서는 2회에 한하여 [[도중하차]]를 할 있으며, 도중하차의 경우 도중하차 도장을 받아야 한다. <s>하지만 대부분 그 도장이 뭔지 모르기 때문에 도장을 찍지 않는다</s>


기본적인 조합은 [[코레일]]-선박-[[JR]] 승차권이며, 만약 선박편을 따로 타거나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 선박편은 뺀 티켓이 발급되게 된다. 이는 바우처가 아닌 자체 승차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무려 수기작성(...)이기 때문에 현존하는 몇 안남은 수기승차권인 셈. 발급은 [[코레일]]이 아닌 여행사 오마이호텔에서 진행중이다.
=== 일본에서 출발할 때 ===
[[2015년#5월|2015년 5월]] 기준으로 승차권을 취급하는 JR은 4개사로, 회사별로 정책이 조금씩 다르다.
*[[JR 도카이]]
**도쿄도 구내·[[나고야역]]에서 [[도카이도 신칸센|도카이도]]·[[산요 신칸센]](노조미 제외 지정석)을 이용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JR 니시니혼]]
**부관훼리 이용
***토쿠야마역·신시모노세키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비틀·코비 이용
***토쿠야마역·신시모노세키역 이외의 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하카타역에서 하차
***하카타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비틀·코비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JR 시코쿠]]
**다카마쓰역·마츠야마역·도쿠시마역·고치역에서 오카야마역으로 향하는 특급을 탄다.
**오카야마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JR 큐슈]]
**부관훼리 이용
***하카타역·사가역·나가사키역·사세보역·구마모토역·가고시마츄오역·오이타역·미야자키역에서 [[큐슈 신칸센]]/특급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비틀·코비 이용
***고쿠라역·사가역·나가사키역·사세보역·구마모토역·가고시마츄오역·오이타역·미야자키역에서 [[큐슈 신칸센]]/특급에 탑승해 하카타역에서 하차
***하카타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비틀·코비를 탑승한다.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s>하지만 없어지니 아마 안될거야.</s>
== 사진 ==
[http://wowstar.wowtv.co.kr/news/view.asp?newsid=59548 이를 대체할 새로운 상품]의 기본 뼈대는 한일공동승차권과 유사하나, 승차권대신 철도 패스를 발급해 준다. 일본 측 제휴사가 JR 니시니혼인데 노조미를 태워주겠다고 하는 거 보면 JR 패스 전국판은 아닐 듯. <s>도카이가 타사나 전국판 패스로 자기네 구간을 태워줄 리가 없다.</s>
<gallery mode="packed" widths=200px heights=200px>
파일:Korea japan union ticket 2.jpg|한일공동승차권 표지 안쪽 안내문
파일:Korea japan union ticket 3.jpg|한일공동승차권 영수증. 전체 여행경로와 가격이 적혀있다.
파일:Korea japan union ticket 4.jpg|한일공동승차권 코레일측 승차권
파일:Korea japan union ticket 5.jpg|한일공동승차권 JR큐슈측 승차권. 회수권은 제거되어 있다.
</gallery>

2021년 9월 28일 (화) 18:39 기준 최신판

한일공동승차권 겉표지

韓日共同乘車券 / 韓日共同きっぷ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판매되어 2015년 6월 30일까지 판매한 공동승차권이다. JR 니시니혼과 제휴해서 새로운 상품을 만든다고 했는 데 별 소식이 없다. 대신 한국 부분만 살려놓은 KTX-부관훼리 패키지 상품만 판매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한일공동승차권의 물밑작업은 JR 큐슈(당시 국철 큐슈총국)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한국 철도청장이 같은 사업을 국철에 제안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야기가 순식간에 진행되어 88년 7월 첫 발매를 시작했다.[1]

사용 방법[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인 조합은 코레일-선박-JR 승차권이며, 만약 선박편을 따로 타거나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 선박편은 뺀 티켓이 발급되게 된다. 이는 바우처가 아닌 자체 승차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무려 수기작성(...)이기 때문에 발매중단 당시까지 몇 안남은 수기승차권인 셈이었다. 발급은 코레일이 아닌 여행사 오마이호텔에서 진행중이다.

의외로 잘 안알려진 사실이지만, 한국 - 일본을 오갈때 선박편을 이용하지 않아도 한일공동승차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대구역-부산역-김해국제공항-후쿠오카 공항-하카타역의 방식으로 이동해도 큰 문제가 없다.

한일공동승차권과 일한공동승차권은 기본적으로 발권측이 한국측이냐 일본측이냐의 차이같지만, 실제로는 사용가능한 선박의 차이가 존재한다. 한일공동승차권은 JR 큐슈의 비틀호 만을 이용할 수 있고, 일한공동승차권은 미래고속의 코비호 만을 이용할 수 있다.뭔가 반대로 된 것 같은 데? 부관페리 이용은 양쪽 어디에서 발권하든지 가능하다.

한국에서 출발할 때[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에서의 출발역이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이며 부산역까지 KTX를 승차하여야 함.
    • 이때 KTX의 좌석은 자유석이 아닌 지정석이며, 실제로는 탑승할 수 있는 열차편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일공동승차권 폐지 이후의 원패스 패키지에서 대충 짐작할 수 있다.
  • 일본으로 갈때 부관훼리를 이용할 경우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하카타역에서 출발한다.
    • 하카타역에서 출발할 경우 산요 신칸센을 이용할 수 없고, 시모노세키역에서 출발할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하다.
    • 전 좌석 자유석이며, 지정석 발권은 불가능하다. 고로 지정석만 있는 기차는 승차가 불가능하다노조미라던가 미즈호라던가
    • 그냥 자유석인게 아니라, 목적지만 기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편을 가리지 않는다. 탑승 불가능한 열차를 빼면.
    • 유효기간은 왕편의 경우 KTX승차일로부터 7일, 복편의 경우 발권일로부터 2개월이다.
    • 일본구간내에서는 2회에 한하여 도중하차를 할 수 있으며, 도중하차의 경우 도중하차 도장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그 도장이 뭔지 모르기 때문에 도장을 찍지 않는다

일본에서 출발할 때[편집 | 원본 편집]

2015년 5월 기준으로 승차권을 취급하는 JR은 4개사로, 회사별로 정책이 조금씩 다르다.

  • JR 도카이
    • 도쿄도 구내·나고야역에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노조미 제외 지정석)을 이용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 JR 니시니혼
    • 부관훼리 이용
      • 토쿠야마역·신시모노세키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 비틀·코비 이용
      • 토쿠야마역·신시모노세키역 이외의 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하카타역에서 하차
      • 하카타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비틀·코비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 JR 시코쿠
    • 다카마쓰역·마츠야마역·도쿠시마역·고치역에서 오카야마역으로 향하는 특급을 탄다.
    • 오카야마역에서 산요 신칸센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 JR 큐슈
    • 부관훼리 이용
      • 하카타역·사가역·나가사키역·사세보역·구마모토역·가고시마츄오역·오이타역·미야자키역에서 큐슈 신칸센/특급에 탑승해 코쿠라역에서 하차, 코쿠라역에서 시모노세키역까지 재래선 이용
      • 시모노세키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훼리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 비틀·코비 이용
      • 고쿠라역·사가역·나가사키역·사세보역·구마모토역·가고시마츄오역·오이타역·미야자키역에서 큐슈 신칸센/특급에 탑승해 하카타역에서 하차
      • 하카타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비틀·코비를 탑승한다.
      • 부산역에서 새마을호, KTX를 탑승한다.

사진[편집 | 원본 편집]

  1. <국철맨이 만든 한일항로> - 우리들의 프로젝트 <비틀> 이야기-, 시부야 테츠야, 일본경제신문, 2002. ISBN 4532191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