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R 그룹 철도 운영 계열사 | ||||||
---|---|---|---|---|---|---|
JR 홋카이도 | JR 동일본 | JR 도카이 | JR 서일본 | JR 시코쿠 | JR 큐슈 | JR 화물 |
![]() |
![]() |
![]() |
![]() |
![]() |
![]() |
![]() |
도카이 여객철도 東海旅客鉄道 |
|
---|---|
![]() |
|
법인 정보 |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87년 |
본사 |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메이에키 1초메 1번 4호(JR 센트럴 타워즈) |
웹사이트 | JR 도카이 웹사이트 |
JR 東海 / JR 도카이 / JR Central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일본국유철도를 전신으로 한 JR 홋카이도, JR 히가시니혼, JR 니시니혼, JR 시코쿠, JR 규슈, JR 화물과 함께 JR 그룹을 구성하는 철도 회사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돈’카이도 신칸센[편집 | 원본 편집]
JR 그룹 내에서도 굴지의 이용객수 및 수익률을 자랑하는 도카이도 신칸센을 소유하는 기업으로, 그 위상은 JR 그룹 내의 최고위 엘리트로 대우받는 수준이다. 도카이도 신칸센 하나로 매출 대비 순수익 비율도 JR 히가시니혼의 2배인 30%에 달하며(매출은 JR 히가시니혼이 1위), 자비를 쏟아부어 자기부상열차로 굴러가는 주오 신칸센을 2014년에 착공해 현재 공사중이다.
일본 경제의 양대 중심권이라 할 수 있는 도쿄와 오사카를 연결할뿐더러, 양대 중심권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나고야 및 도요타 자동차가 본거지를 틀고 있는 아이치현, 문화 및 역사의 중심지인 교토 등을 연결하는 일본 경제의 대동맥이자 알짜 노선을 운영하는 것만으로도 이 기업이 일본의 철도 회사 내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카이도 신칸센 및 산요 신칸센 예약에 필수인 JR 도카이 익스프레스 카드를 제휴 발급한다. 도쿄나 오사카, 교토, 고베 등 이른바 삼도에 본사를 두는 대기업은 거의 반드시 사용하는 수준으로, 다른 JR의 제휴 카드보다 월등히 잘나간다.
처음부터 이러진 않았다. 본디 일본국유철도 분할민영화 당시에는 어떻게 쪼개야 적자 노선과 흑자 노선의 비율을 맞춰 각 회사가 적당히 자생할 수 있는지가 주요 쟁점이었는데, 얼추 균형을 맞춰놔도 도카이도 신칸센만 얹으면 그 회사에 수익이 몰리는 것으로 계산돼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신칸센만은 상하분리를 채택하여 국가(신칸센보유기구)가 시설을 인수 후 30년간 혼슈 3사가 임대료를 내는 방식으로 책정했고, 당연히 수익이 많은 도카이도 신칸센의 임대료는 높게 책정되어 신칸센에 사람이 많이 타도 JR 도카이가 임대료로 다 뱉어내는 구조였다.
하지만 분할민영화 이후 혼슈 3사의 영업실적이 예상보다 빠르게 호전되면서 과거 국철의 채무를 벌충하고 각 회사의 자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1991년 시설을 각 회사에 매각하였고, 임대료를 낼 필요가 없어진 JR 도카이는 신칸센의 수익을 독차지하게 돼 지금의 JR ‘돈’카이가 된다. 물론 유지보수 비용의 부담도 자부담으로 넘어왔지만 수익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
이런 연유로 재래선을 박하게 대한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사람 안 타는 로컬선에도 보통 수준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경쟁 구간에서는 사철을 압도하는 정도의 투자는 하고 있다. 재해 복구도 꼬박꼬박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것(외국인 대응 등)에 관심이 없어서 그렇게 비치는 것 뿐이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이웃하는 JR 히가시니혼과 JR 니시니혼의 관계는 '마지못해 손잡는다' 수준. 일례로 1997년 도카이도 신칸센 회수권을 내놓은 적이 있는데, 관련 민원을 JR 도카이 창구에서만 처리할 수 있었고, 특정도구시내구간의 특례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회수권을 가지고 JR 히가시니혼·JR 니시니혼의 재래선을 이용하려는 승객의 항의가 빗발쳐 JR 히가시니혼과 JR 니시니혼이 항의했지만 JR 도카이가 한 말은 "그쪽 사정이니 알아서 처리하시길."(...)
JR 패스를 이용하는 외국인 여행자들의 주적이다. 국내 수요만으로도 엄청나게 돈다발을 쓸어담는 노조미에 패스값을 제외한 추가금을 안내는 관광객을 태우기 싫어서인지는 모르겠으나 JR 패스 전국판으로는 노조미급 열차를 탈 수 없다. 이는 도카이 관할구간뿐 아니라 도카이도 신칸센과 직결된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과 직결된 큐슈 신칸센에도 적용되고 있다. [1] 그래서 JR 패스 전국판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을 이용할 땐 히카리 시각에 잘 맞춰야 된다. 또 JR 여객 6개사 중 유일하게 외국어 홈페이지가 영어 버전만 있다.(...) 관광객이 몰리는 동/서일본, 규슈, 홋카이도야 그렇다고 쳐도 그나마 외국인 관광객이 덜 가고 돈도 없는 JR 시코쿠마저 4개국어(영어, 한국어, 중국어 번체와 간체)로 외국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의지 자체가 없는 듯하다.
노선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신칸센[편집 | 원본 편집]
재래선[편집 | 원본 편집]
운행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신칸센[편집 | 원본 편집]
재래선[편집 | 원본 편집]
전동차[편집 | 원본 편집]
근교형[편집 | 원본 편집]
특급형[편집 | 원본 편집]
디젤 동차[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지역판(JR 서일본/큐슈 발행 패스) 패스의 경우 구간에 따라 노조미나 미즈호를 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