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역사==
==역사==
 
1971년 12월 27일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국가보위법)이 통과되었다. 국가보위법에서는 비상대권을 대통령에게 주었는데 이는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는 권한이었다. 1972년 5월부터 개헌작업이 시작되엇다. 1972년 10월 17일에 유신체제 수립이 선언되며 기존 헌정체제가 중단되었다.
==정치==
==정치==



2016년 6월 17일 (금) 20:35 판

1972년 10월 17일 ~ 1981년 3월 2일까지의 8년 4개월 14일간 존속하였던 한국의 4번째 공화국.

겨울공화국, 긴급조치시대, 약칭 긴조시대라 불릴만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최대 흑역사.

개요

3선 개헌을 통과시킨 이후, 3선 연임에 성공한 박정희1971년, 다시는 대통령 선거에 나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국민들과 정치권을 안심시키는 제스쳐를 취했지만 결국 1972년 들어 10월 유신을 전격적으로 추진하면서 대통령의 권한을 악용하여 계염령을 선포하고 헌법의 효력 정지, 국회 해산, 정치활동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한다. 또한 해산한 국회를 대신하여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국가의 중대사를 의결토록 하였고, 나아가 그간 국민들의 직접선거로 이뤄지던 대통령 선거마저도 통일주체국민회의의 투표를 거치도록 간접선거로 바꿈으로서, 본격적인 독재체제를 굳혔다. 제4공화국 시기는 수많은 정치탄압, 반정부 시위, 민주화 투쟁 등 그야말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시련이 닥친 시기다.

역사

1971년 12월 27일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국가보위법)이 통과되었다. 국가보위법에서는 비상대권을 대통령에게 주었는데 이는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는 권한이었다. 1972년 5월부터 개헌작업이 시작되엇다. 1972년 10월 17일에 유신체제 수립이 선언되며 기존 헌정체제가 중단되었다.

정치

사회

경제

외교

남북 관계

한미 관계

한중 관계

한일 관계

기타

평가

긍정적

부정적

사건/사고

이 시기를 다룬 대중매체

1995년 10월 18일부터 1996년 1월 15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하였던 드라마이다.
2005년 4월 23일부터 2005년 9월 11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하였던 드라마이다. 주로 다뤄지는 이야기는 제5공화국 시기이나, 전반기 전두환의 대두시기는 제4공화국 말미의 10.26 사건부터 12.12 군사반란, 5.18 광주민주화운동 등이 매우 심도있게 다뤄졌다.

각주

  1. 약칭 정의구현사제단
  2. 이들은 대법원에서 상고를 기각하며 사형이 확정되고 불과 하루만에 형이 집행된 사례이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법학자회는 사형이 집행된 1975년 4월 9일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선포했다.
  3. 이리역은 익산역의 옛 이름이다.
  4. 이 선거 역시 유신헌법이 개헌되기 이전 시기이므로 박정희와 동일하게 통일주체국민회의간접선거로 치뤄졌다.

틀:대한민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