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 :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분류 : 전라북도의 행정구역 <big>익산시(益山市, Iksan-si)</big> {{기초자치단체|익산시|대한민국|506.64|전...)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7명의 중간 판 4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마을 정보
[[분류 : 전라북도의 행정구역]]
|마을이름  = 익산
<big>익산시(益山市, Iksan-si)</big>
|원어이름  =
{{기초자치단체|익산시|대한민국|506.64|전라북도|KST|303,561명|603.88|1읍 14면 14동|[http://www.iksan.go.kr/ 홈페이지]
|그림      = [[파일:익산 미륵사지 석탑.jpg|300px]]
[https://www.facebook.com/iksanin 페이스북][https://twitter.com/hiksanin 트위터] [http://hiksanin.blog.me/ 블로그] }}
|그림설명  =
|깃발      =
|깃발설명  =
|휘장      =
|휘장설명  =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노래      =
|종류      = [[시 (행정구역)|시]]
|나라      = [[대한민국]]
|소속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수도      =
|단체장직책 = 시장
|단체장    = 정헌율 ([[더불어민주당]])
|입법부    =
|국회의원  = 갑: 김수흥<br />을: 한병도
|행정구역  = 1읍, 14면, 14행정동, 36법정동
|인구      = 270,036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2023년 기준
|면적      = 533.1
|설립일    = [[1995년]]
|해체일    =
|시간대    =
|ISO        =
|마스코트  =
|상징      = [[소나무]] (나무)<br />[[국화]] (꽃)<br />[[비둘기]] (새)
|웹사이트  = http://www.iksan.go.kr/
|비고      =
}}


'''익산시'''(益山市 / Iksan-si)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시 (행정구역)|시]]다. 인구 약 30만 명의 중소도시이며 [[호남선]]이 통과하고 [[전라선]]과 [[장항선]]의 기착지인 교통의 요지이다. [[1995년]] 이리시와 익산군이 도농복합도시 행정구역 개편과정에  통합되여 신설되었으며 시청 소재 지역은 남중동이다.


==개요==
북으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와 [[금강]]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고 동으로는 [[완주군]], 서로는 [[군산시]], 남으로는 [[만경강]]을 사이에 두고 [[김제시]]와 [[전주시]]와 접하고 있다.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인구 약 30만 명의 중소도시이며 [[호남선]]이 통과하고 [[전라선]][[장항선]]의 기착지인 교통의 요지이다. 1995년 이리시와 익산군이 도농복합도시 행정구역 개편 당시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시청 소재 지역은 남중동이다.  


북으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와 [[금강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고 동으로는 [[완주군]], 서로는 [[군산시]], 남으로는 [[김제시]][[전주시]]와 접하고 있다.
==역사==
본래 익산시의 중심은 역사적으로 현재와는 달랐다. 현재 여산면과 금마면 및 왕궁면 지역이 중심지였다. 전라도에서 충청도로 넘어가는 길목이었기에 그 지역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에는 용안에 덕성창이라는 [[조창]]이 설치되어 있었다.<ref>나중에 성당으로 옮겨 성당창이라 개칭하게 된다</ref>


본래 익산시의 중심은 역사적으로 현재와는 달랐다. 현재 여산면과 금마면 및 왕궁면 지역이 중심지였다. 전라도에서 충청도로 넘어가는 길목이었기에 그 지역이 발달할 수 밖에 없었다. [[조선]]시대에는 용안에 덕성창이라는 [[조창]]이 설치되어있었다.<ref>나중에 성당으로 옮겨 성당창이라 개칭하게 된다</ref>  
현재의 익산 시가지가 만들어지게 된 때는 [[일제 강점기]] 당시 [[호남선]]을 현재 익산 시가지가 위치한 지역을 지나가게 계획하고 [[전라선]][[군산선]]의 기착지 역할을 하게 되면서이다. 그때부터 익산 지역은 이리로 불리기 시작했는데, 이리는 익산의 옛 이름인 솜리를 한문으로 고친 것이다.<ref>뜻 : 지형적으로 움푹 패인 동네라서 안쪽 마을, 즉 속 마을이란 뜻에서 솜리라 불렸다. 솝리>솜리>이리(裡里)</ref>


현재의 익산 시가지가 만들어지게 된 때는 [[일제 강점기]] 당시 [[호남선]]을 현재 익산 시가지가 위치한 지역을 지나가게 계획하고 [[전라선]]과 [[군산선]] 및 [[장항선]]의 기착지 역할을 하게 되면서이다. 그 때부터 익산 지역은 이리로 불리기 시작했는데, 이리는 익산의 옛 이름인 솜리를 한문으로 고친 것이다.<ref>뜻 : 지형적으로 움푹 패인 동네라서 안쪽 마을, 즉 속 마을이란 뜻에서 솜리라 불렸다. 솝리>솜리>이리(裡里)</ref>
그때부터 이리는 성장하기 시작했고 광복 후 정부가 들어선 이래에는 [[1970년]] [[마산]]과 함께 처음으로 자유무역지역이 설치되었다.


때부터 이리는 성장하기 시작했고 광복 정부가 들어선 이래에는 1970년 [[마산]]과 함께 처음으로 자유무역지역이 설치되었다.  
그 후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로 인해 시가지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고 재건에 들어감으로써 현재의 중앙동, 창인동, 남중동 일대의 거리 및 건물이 조성되었다.


그 후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로 인해 시가지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고 재건에 들어감으로써 현재의 중앙동, 창인동, 남중동 일대의 거리 건물이 조성되었다.
[[1990년]]대 영등동, 어양동, 부송동 일대의 신 시가지 조성이 완료되었고 성공적으로 성장하여 현재 익산시의 상업, 교육 주거의 중심이 기능을 하고 있다.


1990년대 영등동, 어양동, 부송동 일대의 신 시가지 조성이 완료되었고 성공적으로 성장하여 현재 익산시의 상업, 교육 및 주거의 중심이 기능을 하고 있다.
[[2010년]]대에는 모현동 및 송학동 신 시가지 개발이 시작되어 [[2015년]] 현재 대부분의 택지는 조성이 완료되었고 상업지구는 계속 입주 중이다.


2010년대에는 모현동 및 송학동 신 시가지 개발이 시작되어 2015년 현재 대부분의 택지는 조성이 완료되었고 상업지구는 계속 입주 중이다.
==역사==
==자연==
==자연==
{{빈 문단}}
==교통==
==교통==
===철도===
'''호남권 최대의 철도 요충지'''
[[일본제국]]은 호남평야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되는 쌀을 수탈하기 위해 철도를 부설하였다. 그 결과물은 [[호남선]], [[전라선]], 그리고 [[군산항]] 으로 운반을 위해 부설한 [[군산선]]이다. 그리고 이 세 갈레 철길이 모이는 곳을 이리로 정했다. 당시 호남의 대표적 도시였던 [[전주시|전주]]에는 유생들이 많아 철도 부설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그 대안으로 선정된 곳이 이리<ref>이는 [[경부선]] 부설 당시 충청권 중심도시였던 [[공주시|공주]] 지역 유생들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노선을 청주쪽으로 돌렸던 사례를 겪었던 것을 감안한 측면이 있다.</ref>였던 것이다. 분기역이라는 입지로 인해 이리역 주변은 번창하였고, 현재의 익산시 역시 이 당시 이리역의 역세권으로 발달하여 현재의 기틀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익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모이는 곳으로, 영남권 철도 중심지인 [[동대구역]]과 비슷한 역할을 담당한다. [[장항선]]의 시종착역이며, 전라선의 기점이다. 익산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는 모두 정차하며, [[광양항]] 및 여수국가산업단지 등의 개발로 인해 상당한 규모의 물류처리를 담당한다.
[[호남고속선]]이 완공된 이후, [[서울특별시|서울]]까지 소요시간이 1시간 20분대로 대폭 줄어들면서 더더욱 철도 강세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김제시]]<ref>호남고속선 완공 이전에는 호남선 KTX 선택정차역있으나, 고속선이 김제역을 거치지 않는 관계로 정차역에서 제외되었다.</ref>, [[군산시]]<ref>[[장항선]]이 지나가긴 하지만 [[군산역]] 위치가 시내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외딴곳에 위치한다. 또한 장항선의 운행편수도 적고, 소요시간도 길기 때문에 익산으로 이동해 KTX를 타는 것이 오히려 시간절약이 된다.</ref>, [[전주시]]<ref>[[전라선]]에 KTX가 투입되긴 하지만 [[금천구청역]] 이북의 고질적인 선로용량 문제, 익산역에서 분기하는 구조로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운행횟수로 인해 원하는 시간에 KTX를 이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운행편수가 훨씬 많은 익산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꾸준하다.</ref> 등 인접지역의 시민들도 [[KTX]]를 이용할 목적으로 익산역을 방문한다.
===도로===
[[호남고속도로]] [[익산 나들목]]이 존재하나 정작 소재지는 [[완주군]] [[봉동읍]]. 물론 익산시 왕궁면과 봉동읍의 경계지역에 위치하긴 하지만 워낙 철도 강세지역인 익산의 성향상 고속도로의 수요는 저조한 편이다.  호남고속도로와 [[익산포항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익산 분기점]]도 왕궁면에 위치하지만 익산 나들목과 삼례 나들목이 근거리에 위치한 관계로 일반 차량의 진출입 기능이 없다. 호남고속도로 [[전주 나들목]]을 통해 군산과 이어지는 고속화도로를 통해 익산시 남부로 진입이 가능하며, [[서해안고속도로]] [[동군산 나들목]]을 통해서도 익산시 서부로 진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고속도로 진입을 위해서는 시내에서 적어도 20~30분을 이동해야 한다는 것.
호남고속선 공사와 동시에 익산역을 재건축하면서 역광장 한쪽에 시외버스 환승터미널을 만들었다. 따라서 익산역에서 군산이나 전주로 이동하는 승객들은 환승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비교적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행정구역==
==행정구역==
1읍 14면 14동을 두고 있다.
* 1읍 : [[함열읍]]
* 14면 : [[금마면]], [[낭산면]], [[망성면]], [[삼기면]], [[성당면]], [[여산면]], [[오산면]], [[왕궁면]], [[용동면]], [[용안면]], [[웅포면]], [[춘포면]], [[함라면]], [[황등면]]
* 14동(행정동) : 남중동, 동산동, 마동, 모현동, 삼성동, 송학동, 신동, 어양동, 영등1동, 영등2동, 인화동, 중앙동, 팔봉동, 평화동
==경제==
==경제==
==사회==
==사회==
==문화==
==문화==
===축제===
===축제===
* 익산 서동축제
*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
* 익산 보석대축제
===음식===
===음식===
===언어===
===언어===
지역적으로는 [[서남 방언|전북 방언]]를 사용하는 지역이나 [[충청 방언|충남 방언]]의 영향을 짙게 받은 어휘를 사용한다. 젊은 세대들은 [[표준어]]를 상당수 구사하나 [[사투리]]임에도 불구하고 사투리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교===
===종교===
[[원불교]]의 총 본산이다. 원불교 총본부와 이들 관련시설이 많이 위치한다.
==산업==
==산업==
시 외곽의 공단에는 중소기업의 공장이 많이 분포해 있다. 대표적으로 [[쌍방울]], [[OCI]], [[넥솔론]], [[하림 (기업)]], [[LG화학]], [[LG생명과학]]의 공장이 위치한다. 또한 왕궁면에는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조성 중에 있다.
==관광==
==관광==
{{빈 문단}}
==교육==
==교육==
{{빈 문단}}
==주거==
==주거==
{{빈 문단}}
==군사==
==군사==
{{빈 문단}}
==인물==
==인물==
{{빈 문단}}
==기타==
==기타==
==주석==
{{빈 문단}}
<references/>
 
{{각주}}
{{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전북특별자치도의 행정구역]]
[[분류:익산시| ]]
 
{{리브레 맵스 마커|35.94834645120733|126.9574499130249|10|익산시}}

2024년 1월 19일 (금) 00:14 기준 최신판

익산
익산 미륵사지 석탑.jpg
지역 정보
종류
나라 대한민국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시장 정헌율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갑: 김수흥
을: 한병도
행정구역 1읍, 14면, 14행정동, 36법정동
인구 270,036 명 (2023년 기준)
면적 533.1 km2
설립일 1995년
기타 정보
상징 소나무 (나무)
국화 (꽃)
비둘기 (새)
웹사이트 http://www.iksan.go.kr/

익산시(益山市 / Iksan-si)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다. 인구 약 30만 명의 중소도시이며 호남선이 통과하고 전라선장항선의 기착지인 교통의 요지이다. 1995년 이리시와 익산군이 도농복합도시 행정구역 개편과정에 통합되여 신설되었으며 시청 소재 지역은 남중동이다.

북으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금강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고 동으로는 완주군, 서로는 군산시, 남으로는 만경강을 사이에 두고 김제시전주시와 접하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본래 익산시의 중심은 역사적으로 현재와는 달랐다. 현재 여산면과 금마면 및 왕궁면 지역이 중심지였다. 전라도에서 충청도로 넘어가는 길목이었기에 그 지역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에는 용안에 덕성창이라는 조창이 설치되어 있었다.[1]

현재의 익산 시가지가 만들어지게 된 때는 일제 강점기 당시 호남선을 현재 익산 시가지가 위치한 지역을 지나가게 계획하고 전라선군산선의 기착지 역할을 하게 되면서이다. 그때부터 익산 지역은 이리로 불리기 시작했는데, 이리는 익산의 옛 이름인 솜리를 한문으로 고친 것이다.[2]

그때부터 이리는 성장하기 시작했고 광복 후 정부가 들어선 이래에는 1970년 마산과 함께 처음으로 자유무역지역이 설치되었다.

그 후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로 인해 시가지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고 재건에 들어감으로써 현재의 중앙동, 창인동, 남중동 일대의 거리 및 건물이 조성되었다.

1990년대 영등동, 어양동, 부송동 일대의 신 시가지 조성이 완료되었고 성공적으로 성장하여 현재 익산시의 상업, 교육 및 주거의 중심이 기능을 하고 있다.

2010년대에는 모현동 및 송학동 신 시가지 개발이 시작되어 2015년 현재 대부분의 택지는 조성이 완료되었고 상업지구는 계속 입주 중이다.

자연[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철도[편집 | 원본 편집]

호남권 최대의 철도 요충지

일본제국은 호남평야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되는 쌀을 수탈하기 위해 철도를 부설하였다. 그 결과물은 호남선, 전라선, 그리고 군산항 으로 운반을 위해 부설한 군산선이다. 그리고 이 세 갈레 철길이 모이는 곳을 이리로 정했다. 당시 호남의 대표적 도시였던 전주에는 유생들이 많아 철도 부설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그 대안으로 선정된 곳이 이리[3]였던 것이다. 분기역이라는 입지로 인해 이리역 주변은 번창하였고, 현재의 익산시 역시 이 당시 이리역의 역세권으로 발달하여 현재의 기틀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익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모이는 곳으로, 영남권 철도 중심지인 동대구역과 비슷한 역할을 담당한다. 장항선의 시종착역이며, 전라선의 기점이다. 익산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는 모두 정차하며, 광양항 및 여수국가산업단지 등의 개발로 인해 상당한 규모의 물류처리를 담당한다.

호남고속선이 완공된 이후, 서울까지 소요시간이 1시간 20분대로 대폭 줄어들면서 더더욱 철도 강세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김제시[4], 군산시[5], 전주시[6] 등 인접지역의 시민들도 KTX를 이용할 목적으로 익산역을 방문한다.

도로[편집 | 원본 편집]

호남고속도로 익산 나들목이 존재하나 정작 소재지는 완주군 봉동읍. 물론 익산시 왕궁면과 봉동읍의 경계지역에 위치하긴 하지만 워낙 철도 강세지역인 익산의 성향상 고속도로의 수요는 저조한 편이다. 호남고속도로와 익산포항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익산 분기점도 왕궁면에 위치하지만 익산 나들목과 삼례 나들목이 근거리에 위치한 관계로 일반 차량의 진출입 기능이 없다. 호남고속도로 전주 나들목을 통해 군산과 이어지는 고속화도로를 통해 익산시 남부로 진입이 가능하며, 서해안고속도로 동군산 나들목을 통해서도 익산시 서부로 진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고속도로 진입을 위해서는 시내에서 적어도 20~30분을 이동해야 한다는 것.

호남고속선 공사와 동시에 익산역을 재건축하면서 역광장 한쪽에 시외버스 환승터미널을 만들었다. 따라서 익산역에서 군산이나 전주로 이동하는 승객들은 환승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비교적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1읍 14면 14동을 두고 있다.

경제[편집 | 원본 편집]

사회[편집 | 원본 편집]

문화[편집 | 원본 편집]

축제[편집 | 원본 편집]

  • 익산 서동축제
  •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
  • 익산 보석대축제

음식[편집 | 원본 편집]

언어[편집 | 원본 편집]

지역적으로는 전북 방언를 사용하는 지역이나 충남 방언의 영향을 짙게 받은 어휘를 사용한다. 젊은 세대들은 표준어를 상당수 구사하나 사투리임에도 불구하고 사투리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교[편집 | 원본 편집]

원불교의 총 본산이다. 원불교 총본부와 이들 관련시설이 많이 위치한다.

산업[편집 | 원본 편집]

시 외곽의 공단에는 중소기업의 공장이 많이 분포해 있다. 대표적으로 쌍방울, OCI, 넥솔론, 하림 (기업), LG화학, LG생명과학의 공장이 위치한다. 또한 왕궁면에는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조성 중에 있다.

관광[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교육[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거[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군사[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

  1. 나중에 성당으로 옮겨 성당창이라 개칭하게 된다
  2. 뜻 : 지형적으로 움푹 패인 동네라서 안쪽 마을, 즉 속 마을이란 뜻에서 솜리라 불렸다. 솝리>솜리>이리(裡里)
  3. 이는 경부선 부설 당시 충청권 중심도시였던 공주 지역 유생들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노선을 청주쪽으로 돌렸던 사례를 겪었던 것을 감안한 측면이 있다.
  4. 호남고속선 완공 이전에는 호남선 KTX 선택정차역있으나, 고속선이 김제역을 거치지 않는 관계로 정차역에서 제외되었다.
  5. 장항선이 지나가긴 하지만 군산역 위치가 시내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외딴곳에 위치한다. 또한 장항선의 운행편수도 적고, 소요시간도 길기 때문에 익산으로 이동해 KTX를 타는 것이 오히려 시간절약이 된다.
  6. 전라선에 KTX가 투입되긴 하지만 금천구청역 이북의 고질적인 선로용량 문제, 익산역에서 분기하는 구조로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운행횟수로 인해 원하는 시간에 KTX를 이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운행편수가 훨씬 많은 익산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꾸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