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영어 표기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수도권야경.jpg|250픽셀|섬네일|수도권 지역의 야경.]]
[[파일:수도권야경.jpg|250픽셀|섬네일|수도권 지역의 야경.]]
'''수도권'''(首都圈, Capital region)은 [[대한민국]]의 북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전 세계에서 [[일본]]의 [[도쿄]] 일대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권이다.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도권 전철]]이 [[아산시]], [[천안시]]([[충청남도]]), [[춘천시]]([[강원도]])까지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수도권이라 부를 수 있는 지역이 늘어났다.
'''수도권'''(首都圈, Capital region)은 나라의 [[수도]]를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권을 이른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발달한 지역으로, 대한민국 남한 영토의 북서쪽에 위치한 지역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전 세계에서 [[일본]]의 [[도쿄]] 일대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권이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수도권 용어 자체는 도시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지역 분류에 오히려 더 가까운 편이다.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몇몇 분류에 따라서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범위를 수도권으로 생각하기도 하는데, [[아산시]], [[천안시]]([[충청남도]]), [[춘천시]]([[강원도]])까지 연장되면서 이들을 수도권 취급하는 사람들도 늘어난 편이다.
=== 정의 ===
수도권이라는 용어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 전역을 이르는 단어로 정의되어 있다.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도시권]]의 정의와는 많이 다른 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국가에서의 '''도시권'''의 개념은 통근통학권, 즉 위성도시에서 중심도시로의 전체 인구 대비 통근 · 통학 인구 비율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많다. 많이 설정하는 경계점이 5% 내지는 10% 통근통학권을 의미하는데, 서울을 기준으로 한 5% 통근통학권에서는 인천의 경우 옹진이 제외되며 경기도에서도 평택, 오산, 이천, 안성, 포천, 여주 등이 제외된다. 다만, 옹진이나 오산 등은 각각 인천, 수원에 종속되어 있어 복합도시권으로 본다면 도시권으로의 수도권에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천, 여주 등의 경우 수도권 근교의 레저 수요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대한민국의 도시권 발달이 다른 나라들과 같은 전통적 의미의 도시권 발달과는 양상이 좀 달랐던 부분에 기인하는 요소가 크다. [[도시권]] 문서를 참고.
=== 인구 및 집중도 ===
수도권의 인구는 2,500만 명 내외므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0%가 대한민국 전체 국토의 12%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 1,000만 명은 [[서울특별시]]에, 250만 명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한다. 이렇게 인구가 고도로 밀집된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가 되고 있다.
수도권의 인구는 2,500만 명 내외므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0%가 대한민국 전체 국토의 12%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 1,000만 명은 [[서울특별시]]에, 250만 명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한다. 이렇게 인구가 고도로 밀집된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가 되고 있다.


== 지리 ==
국가통계포털의 2009년 ~ 2010년 통계에 따른 각 분야에서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이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 경제, 금융의 중심지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며, 동시에 수도권의 지나친 과밀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한강]] 주변으로 [[평야]] 및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비옥한 곡창지대였지만, 지금은 농사짓기에는 땅값이 워낙 비싸므로 농업은 많이 쇠퇴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가장 큰 곡창지대였던 [[김포평야]] 일대에는 현재 [[김포시]], [[부천시]], [[일산시]] 등의 도시가 들어서 있다. 다만 비교적 좁은 땅에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화훼]] 단지나 신선도가 중요한 [[채소]]의 생산은 이뤄지고 있다.
 
== 수도권의 집중도 ==
[[파일:수도권전철.png|섬네일|300픽셀|수도권 전철 노선도.]]
다음은 각 분야에서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이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 경제, 금융의 중심지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며, 동시에 수도권의 지나친 과밀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30번째 줄: 32번째 줄:
|}
|}


* 출처: 국가통계포털, 2009~2010
=== 지리 ===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한강]] 주변으로 [[평야]] 및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비옥한 곡창지대였지만, 지금은 농사짓기에는 땅값이 워낙 비싸므로 농업은 많이 쇠퇴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가장 큰 곡창지대였던 [[김포평야]] 일대에는 현재 [[김포시]], [[부천시]], [[일산시]] 등의 도시가 들어서 있다. 다만 비교적 좁은 땅에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화훼]] 단지나 신선도가 중요한 [[채소]]의 생산은 이뤄지고 있다.


== 교통 ==
=== 교통 ===
[[파일:수도권전철.png|섬네일|300픽셀|수도권 전철 노선도.]]
수도권의 도시들은 거미줄처럼 얽힌 [[고속도로]] 및 [[철도]]망으로 탄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주위를 원형으로 한 바퀴 도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 지역의 교통난 해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수도권의 도시들은 거미줄처럼 얽힌 [[고속도로]] 및 [[철도]]망으로 탄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주위를 원형으로 한 바퀴 도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 지역의 교통난 해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2016년 8월 25일 (목) 00:31 판

수도권 지역의 야경.

수도권(首都圈, Capital region)은 나라의 수도를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권을 이른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발달한 지역으로, 대한민국 남한 영토의 북서쪽에 위치한 지역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전 세계에서 일본도쿄 일대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권이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수도권 용어 자체는 도시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지역 분류에 오히려 더 가까운 편이다.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수도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몇몇 분류에 따라서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범위를 수도권으로 생각하기도 하는데, 아산시, 천안시(충청남도), 춘천시(강원도)까지 연장되면서 이들을 수도권 취급하는 사람들도 늘어난 편이다.

정의

수도권이라는 용어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 전역을 이르는 단어로 정의되어 있다.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도시권의 정의와는 많이 다른 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국가에서의 도시권의 개념은 통근통학권, 즉 위성도시에서 중심도시로의 전체 인구 대비 통근 · 통학 인구 비율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많다. 많이 설정하는 경계점이 5% 내지는 10% 통근통학권을 의미하는데, 서울을 기준으로 한 5% 통근통학권에서는 인천의 경우 옹진이 제외되며 경기도에서도 평택, 오산, 이천, 안성, 포천, 여주 등이 제외된다. 다만, 옹진이나 오산 등은 각각 인천, 수원에 종속되어 있어 복합도시권으로 본다면 도시권으로의 수도권에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천, 여주 등의 경우 수도권 근교의 레저 수요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대한민국의 도시권 발달이 다른 나라들과 같은 전통적 의미의 도시권 발달과는 양상이 좀 달랐던 부분에 기인하는 요소가 크다. 도시권 문서를 참고.

인구 및 집중도

수도권의 인구는 2,500만 명 내외므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0%가 대한민국 전체 국토의 12%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 1,000만 명은 서울특별시에, 250만 명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한다. 이렇게 인구가 고도로 밀집된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가 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의 2009년 ~ 2010년 통계에 따른 각 분야에서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이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 경제, 금융의 중심지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며, 동시에 수도권의 지나친 과밀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분야 집중도 그래프
면적 11.8%
인구 49%
요양기관 수 50.0%
서비스업 종사자 수 53.6%
외국인 65.1%
백화점 판매액 68.1%
예금은행 대출금액 72.3%

지리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한강 주변으로 평야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비옥한 곡창지대였지만, 지금은 농사짓기에는 땅값이 워낙 비싸므로 농업은 많이 쇠퇴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가장 큰 곡창지대였던 김포평야 일대에는 현재 김포시, 부천시, 일산시 등의 도시가 들어서 있다. 다만 비교적 좁은 땅에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화훼 단지나 신선도가 중요한 채소의 생산은 이뤄지고 있다.

교통

파일:수도권전철.png
수도권 전철 노선도.

수도권의 도시들은 거미줄처럼 얽힌 고속도로철도망으로 탄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주위를 원형으로 한 바퀴 도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 지역의 교통난 해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김포공항이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항구로는 인천항이 위치해 있어 각각 항공교통 및 해상교통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