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잔글 (Do33(토론)의 편집을 SUD22360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네이버 (기업)|포털 사이트|이 사이트을 운영하는 회사}}
{{다른 뜻|네이버 (기업)|포털 사이트|이 사이트을 운영하는 회사}}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 색            = #03CF5D
|이름    = 네이버
| 이름          = 네이버
|원어이름 =  
| 패비콘       = naver_favicon.png
|패비콘   = naver_favicon.png
| 로고         = Naver Logotype.svg
|로고     = [[파일:Naver Logotype.svg|150px]]
| 로고 설명    = 네이버의 로고
|그림     = [[파일:Naver spot.jpg|150px]]
| 그림         = Naver spot.jpg
|그림설명 =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 그림 설명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br/>
|URL      = [https://www.naver.com/ NAVER]
| 그림 크기 =
|종류     = [[포털 사이트]]
| 표어          =
|운영    =
| 종류         = [[포털 사이트]]
|제작    =  
| 회원 가입 = 선택적
|언어     = [[한국어]]
| 언어 = [[한국어]]
|시작일   = 1998년 6월 1일
| 영리 여부 = 영리
|종료일   =  
| 시작일     =  
|회원가입 = 선택적
| 종료일     =
|라이선스 =  
| 소유자      =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
|영리여부 = 영리
| 제작자      =
|작성언어 =  
| 현재 상태 = 운영중
|비고    =  
| 주소          =  
}}
[http://www.naver.com/ NAVER]<br/>
[http://m.naver.com/ 모바일 네이버]<br/>
[http://demo.ad.naver.com/viewsample?sampleId=PMXryb8Rd5k$2$/ 2006년 당시 네이버 (작동하지 않음)]<br/>
[http://demo.ad.naver.com/viewsample?sampleId=qbTRAtQBEI4%3D/ 2008년 당시 네이버 (작동하지 않음)]}}
'''네이버'''(NAVER)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다.
'''네이버'''(NAVER)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다.


== 개요 ==
== 개요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3&docId=59852384&qb=64KY67Kg66W0&enc=utf8&section=kin&rank=1&sort=0&spq=0&pid=fGvJCsoi5T8ssaMv5uwsss--199625&sid=S4DTgRPMgEsAAHObL2Y]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383126 관련기사]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88%라는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약 34%)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InternetTrend™]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83126]에 시작되었다.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 (88%)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 (약 34%) 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ref>[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InternetTrend™]</ref>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 홈페이지는 검색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다른 서비스는 바로 안 보이게 해둔 데 반해,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다양하지만,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검색 기능에 몰빵을 한 반면에,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네이버 하나로 거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의 서비스 종류가 다양한데, 네이버가 발전하면서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 역사 ==
== 역사 ==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15668]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83126]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506359]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 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215668 관련기사]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06359 관련기사]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데는 성공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01249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214144]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001249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14144 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 서비스 ==
== 서비스 ==
*[[네이버 메일]]
{{참고|네이버/서비스}}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웹소설]]
== 기능 및 팁 ==
*[[네이버 웹툰]]
 
*[[네이버 지도]]
=== 검색옵션과 상세검색 ===
*[[네이버 지식인]]
검색옵션은 검색결과 창에서 …를 누르면 보이며, 검색결과 정렬 방식과 기간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정렬은 관련도순과 최신순으로 나뉜다. 기간 옵션은 기본적으로 전체, 1시간, 1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을 지원하고, 직접입력으로 들어가서 1990년 1월 1일부터 당일 날짜 사이 중 기간을 정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쇼핑]]
 
*[[네이버 카페]]
상세검색은 검색 연산자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4가지 연산자를 지원한다.
*[[네이버 포스트]]
*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큰따옴표("")
*[[네이버 MYBOX]]
*:예시 <code>"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일치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큰따옴표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네이버 N스토어]]
*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 플러스(+)
*[[네이버 소프트웨어]]
*:예시 <code>+포함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포함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플러스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네이버 TV 캐스트]]
* 제외하는 단어: 마이너스(-)
* [[네이버페이]]
*:예시 <code>기본검색어 -제외검색어</code> 참고로 다른 단어 없이 <code>-검색어</code> 이런 식으로 쓰면 <code>검색어</code>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아예 결과를 내지 않는 구글과는 다른 점.
* 입력한 단어를 하나 이상 포함: 수직선 (|)
*:예시 <code>기본검색어 | 포함검색어1 | 포함검색어2</code> 포함할 단어 앞에 수직선 기호를 넣는데, 수직선 기호 앞뒤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사라진 서비스===
=== 다이렉트 검색 ===
* 마이홈 : [[2000년]]대 초반 홈페이지 만들기 붐이 일던 당시 있었던 서비스. 약 10MB정도의 홈페이지 용량을 제공하였었다. 당시 html코드를 어떻게든 익혀본 사람이 있는 사람들이 사용한 종착점. 해당 서비스는 블로그를 서비스하면서 문을 닫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기능을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ref>[[구글]]이나 [[덕덕고]] 등 다른 포털사이트에도 비슷한 기능이 존재한다.</ref> 네이버는 기존에도 편의성 증진을 위해 생활검색 기능을 두고 있었으며, 2005년 4월 14일에 기능을 추가, 개명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974540 관련기사] 네이버에서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엄밀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 네이버 백신 모바일 : 서비스 존속기간은 [[2012년#7월|2012년 7월]] ~ [[2014년#4월|2014년 4월]]이다. [[라인]]이 모바일 백신 사업을 물려받았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421&aid=0001247811</ref>
;도구 모음[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F%84%EA%B5%AC+%EB%AA%A8%EC%9D%8C 모바일]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 {{ㅊ|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도구 모음뿐 아니라 다른 도구들에서도 PC와 모바일 웹 및 공식 모바일 앱에서 UI가 약간씩 다르거나, 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한 도구가 존재한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


* 네이버 인조이재팬 : 네이버 재팬과 합작으로 만든 게시판 자동번역 서비스. 하루가 머다하고 키배가 이어졌지만 막상 종료일이 도래하자 갑자기 훈훈해지는 신비한 광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비스 당시에는 그다지 번역기 수준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수많은 일본식 번역어가 유입되는 계기를 마련한 서비스.
;계산기 목록
* 네이버 붐 : 현재 모바일모드에서만 지원하는 네이버 뿜의 프로토타입.
:계산기, 퍼센트 계산기, 이자 계산기, 학점 계산기, 각자내기 계산기, 관부가세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칼로리 계산기
* 네이버 키친: 요리 정보 및 음식 레시피 제공 서비스. [[2013년]] [[12월 18일]], '전문 컨텐츠 기업과의 상생, 중소기업과의 동반 성장 등'을 위해 서비스를 종료했다.
;달력/날짜계산 목록
* 네이버 앱스토어 : 네이버에서 운영하던 앱스토어, 2016년 12월 9일 [[원스토어]]와의 통합으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달력, 양음력 변환기, 날짜 계산기, 전역일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배란일 계산기
;단위변환/측정 목록
:단위 변환기(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 각도기
;생활정보 목록
:로또6/45, 연금복권720+
:우편번호, 지역번호, 영문주소 검색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택배 배송 조회
:네이버 시계
:기차 승차권 예매, 고속버스 시간표
;간단게임
:가위바위보 게임, 당첨자 추첨, 사다리게임, 원판돌리기,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화살표돌리기, 포춘쿠키, 난센스 퀴즈
;세계정보 목록
:세계시간, 국가번호, Papago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 색상 팔레트
* 증권정보


==여담==
==여담==
* 2016년 2월 21일 현재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ref>2016년 3월 현재,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2016년 2월 21일 기준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ref>2016년 3월 기준,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ref>[http://v.sports.media.daum.net/v/20171020103349359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ref>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ref>[http://v.sports.media.daum.net/v/20171020103349359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 제휴 종료로 인해 해당 링크로 기사를 볼 수 없다.</ref>
* 2023년 5월 17일 PC와 모바일의 UI를 통합하였다. [https://campaign.naver.com/naverdetails/newpc/?pcode=naver_pcanniversary PC답게, 때론 모바일처럼]. 모바일 위주로 통합하였기 때문에 PC를 기준으로 예전에 [[口]] 모양이었던 양쪽 공간이 중앙의 [[凸]] 자처럼 몰려 시선의 가독성이 나빠졌다. PC 사용자의 위와 좌우부터 먼저 본 다음 중앙과 아래를 향하는 습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점이 있다.<ref>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중앙으로 모이기 쉬워 시청 시 눈의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여 안압이 평상시보다 다소 강해져 무리가 간다. {{뉴스 인용|제목=잠자기 전 불 끄고 폰 본다?…"실명할 수 있다" 의사 경고 왜|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3377#home|뉴스=중앙일보|저자=권선미|인용문=|언어=|확인날짜=2023-05-17|날짜=2022-03-07}}</ref>
* 2023년 5월 30일 기준 이미지 검색의 제공 수의 편차가 생겼다. 이전에는 편차 없이 6페이지 정도, 당시 기준 1페이지부터 6페이지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제공 수가 줄어드는 검색 알고리즘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
{{각주}}
{{각주}}
[[분류:검색 엔진]]
[[분류:검색 엔진]]

2023년 10월 8일 (일) 03:32 기준 최신판

Naver favicon.png네이버
Naver Logotype.svg
Naver spot.jpg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웹사이트 정보
URL NAVER
종류 포털 사이트
언어 한국어
시작일 1998년 6월 1일
회원가입 선택적
영리여부 영리

네이버(NAVER)는 대한민국포털 사이트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관련기사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88%라는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약 34%)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InternetTrend™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 홈페이지는 검색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다른 서비스는 바로 안 보이게 해둔 데 반해,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참 다양하지만,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 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관련기사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관련기사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기능 및 팁[편집 | 원본 편집]

검색옵션과 상세검색[편집 | 원본 편집]

검색옵션은 검색결과 창에서 …를 누르면 보이며, 검색결과 정렬 방식과 기간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정렬은 관련도순과 최신순으로 나뉜다. 기간 옵션은 기본적으로 전체, 1시간, 1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을 지원하고, 직접입력으로 들어가서 1990년 1월 1일부터 당일 날짜 사이 중 기간을 정할 수 있다.

상세검색은 검색 연산자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4가지 연산자를 지원한다.

  •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큰따옴표("")
    예시 "검색어", 기본검색어 "일치검색어"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큰따옴표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 플러스(+)
    예시 +포함검색어, 기본검색어 +포함검색어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플러스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제외하는 단어: 마이너스(-)
    예시 기본검색어 -제외검색어 참고로 다른 단어 없이 -검색어 이런 식으로 쓰면 검색어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아예 결과를 내지 않는 구글과는 다른 점.
  • 입력한 단어를 하나 이상 포함: 수직선 (|)
    예시 기본검색어 | 포함검색어1 | 포함검색어2 포함할 단어 앞에 수직선 기호를 넣는데, 수직선 기호 앞뒤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다이렉트 검색[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기능을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1] 네이버는 기존에도 편의성 증진을 위해 생활검색 기능을 두고 있었으며, 2005년 4월 14일에 기능을 추가, 개명하였다.관련기사 네이버에서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엄밀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도구 모음모바일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 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도구 모음뿐 아니라 다른 도구들에서도 PC와 모바일 웹 및 공식 모바일 앱에서 UI가 약간씩 다르거나, 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한 도구가 존재한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

계산기 목록
계산기, 퍼센트 계산기, 이자 계산기, 학점 계산기, 각자내기 계산기, 관부가세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칼로리 계산기
달력/날짜계산 목록
달력, 양음력 변환기, 날짜 계산기, 전역일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배란일 계산기
단위변환/측정 목록
단위 변환기(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 각도기
생활정보 목록
로또6/45, 연금복권720+
우편번호, 지역번호, 영문주소 검색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택배 배송 조회
네이버 시계
기차 승차권 예매, 고속버스 시간표
간단게임
가위바위보 게임, 당첨자 추첨, 사다리게임, 원판돌리기,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화살표돌리기, 포춘쿠키, 난센스 퀴즈
세계정보 목록
세계시간, 국가번호, Papago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 색상 팔레트
  • 증권정보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2016년 2월 21일 기준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2],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3]
  • 2023년 5월 17일 PC와 모바일의 UI를 통합하였다. PC답게, 때론 모바일처럼. 모바일 위주로 통합하였기 때문에 PC를 기준으로 예전에 모양이었던 양쪽 공간이 중앙의 자처럼 몰려 시선의 가독성이 나빠졌다. PC 사용자의 위와 좌우부터 먼저 본 다음 중앙과 아래를 향하는 습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점이 있다.[4]
  • 2023년 5월 30일 기준 이미지 검색의 제공 수의 편차가 생겼다. 이전에는 편차 없이 6페이지 정도, 당시 기준 1페이지부터 6페이지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제공 수가 줄어드는 검색 알고리즘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

각주

  1. 구글이나 덕덕고 등 다른 포털사이트에도 비슷한 기능이 존재한다.
  2. 2016년 3월 기준,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 제휴 종료로 인해 해당 링크로 기사를 볼 수 없다.
  4. 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중앙으로 모이기 쉬워 시청 시 눈의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여 안압이 평상시보다 다소 강해져 무리가 간다. 권선미. “잠자기 전 불 끄고 폰 본다?…"실명할 수 있다" 의사 경고 왜”, 《중앙일보》, 2022년 3월 7일 작성. 2023년 5월 17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