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섬 정보' 표준화 v1.0)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ig>'''신비의 섬 울릉도'''</big>
{{등대
{{사용자:Pika/대체용 틀
|명칭=영도등대
|섬이름      = 울릉도
|그림=영도등대.jpg
|원어이름    =  
|그림설명=
|그림        = [[파일:울릉도지도.jpg|150px]]
|번호=2004 / M4356
|그림설명    = 울릉도 지도
|위치=[[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위치        =  
|경위도=35°3'8"N<br />129°5'31"E
|군도        =  
|인접항구=[[부산항]]
|국가        = {{나라|대한민국}}
|등고=87m
|행정구역    = [[경상북도]] [[울릉군]]
|높이=34m
|영유권      =  
|점등일자=[[1906년]] [[12월 1일]]
|면적        = 72.86 km
|광파표지/광달거리=18초 3백섬광 / 24해리(43.8km)
|인구        = 8,490명
|명호 = 205~045
|시간대      = [[한국 표준시|KST]] ([[UTC]]+9)
|음파표지/음달거리=Horn 45초 1회(취명 5초, 정명 40초) / (No.4351)
|비고        =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DGPS국 / (No.4205)
|하위 틀      =
|관할기관=[[부산지방해양수산청]]
}}
}}
==개요==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태종대공원 남동쪽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오륙도등대]]와 함께 [[부산항]]의 출입구 표지를 하고 있는 등대이다. [[부산항]]은 상시 각종 선박들의 출입이 빈번한 곳으로 남쪽에서 부산항으로 접근하는 선박들은 이 등대를 좌현방향으로 끼고돌아 부산항으로 들어서게 되며, 이 등대와 [[오륙도등대]] 모두를 좌현에 끼고 항해하면 바로 동해항로로 진출하게 된다.


'''울릉도'''(鬱陵島)는 [[대한민국]] [[동해]]에 위치한 [[섬]]으로 대한민국의 도서 중 9번째로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며 울릉군의 거의 대부분 육지면적을 차지하는 본섬이라 할 수 있다. 울릉도는 화산섬으로, 약 140만 년 전부터 형성되어 불과 5천에서 6천 년 전까지도 화산 활동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약 87.4km 떨어져 있어, 맑은 날이면 울릉도에서 독도를 볼 수 있다.
== 등대 연혁 ==
*1962. 7. 19 기계고장으로 무신호 운휴<ref>교통부 공고 제331호</ref>
*1962. 7. 24. 무신호 복구<ref>교통부 공고 제336호</ref>
*1962. 8. 17. 기계고장으로 무신호 운휴<ref>교통부 공고 제362호</ref>


==생성==
==기타사항==
해저 약2000m깊이에서 분화한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생성시기는 [[신생대]] 제3기와 4기 사이로 추정된다.
*부산이라는 대도시에 자리하고 있는데다 영도 자체가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섬이라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이 등대를 찾아온다. 이 등대에는 자연사전시실, 해양도서실, 해양도서관 등의 전시실이 있으며, 등탑의 전망대는 한번에 40명까지 올라가서 주변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다. 카페도 같이 자리를 잡고 있으니 데이트 코스로 쓰기 딱 좋다.
*날씨가 좋을 경우 이 등대에서 [[일본]]의 [[대마도]]까지 조망이 가능하다.
*이 등대 입구에 해당하는 태종대 입구 부근에서 아래쪽 길로 내려가면 태종대 유람선의 탑승이 가능하다.


==지리==
==갤러리==
===지형===
<gallery>
울릉도는 동해상에 높이 솟은 화산체의 해수면 윗부분이 현재의 울릉도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 울릉도 화산체는 나리분지라 불리는 [[칼데라]] 내부에 알봉이라 불리는 중앙화구구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 둘레를 외륜산에 해당하는 산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을 가진 이중화산체이다. 울릉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성인봉(984m)을 비롯하여 미륵산, 초봉, 형제봉, 관모봉 등이 나리분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륜산에 해당한다.
영도항로표지관리소.JPG|영도등대 모습
영도등대 100주년 기념판.JPG|영도등대 100주년 기념 동판
</gallery>


해안선 일대는 단애가 형성되어 거의 평지가 없으며 천연적인 항구의 발달이 매우 어려운 모습이다. 섬 내에 평지는 나리분지와 알봉분지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칼데라의 지질이 전형적인 현무암질에 해당하는지라 울릉도 일대가 비가 자주 내리는 다우지임에도 불구하고 나리분지를 비롯한 섬 전역에 물이 고이는 곳 없이 바로 지하로 스며든 뒤 해안가 곳곳에서 용출한다. 전체적인 용출량이 풍부한 편이며 이 중 용출량이 가장 많은 북쪽 [[추산수력발전소|추산 지역]]에 2개의 [[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섬 내 전기의 상당량을 생산하고 있을 정도이다.
{{주석}}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기후===
{{리브레 맵스 마커|35.05222222222220|129.09194444444400|11|영도등대}}
동해라는 꽤 큰 바다 한가운데 자리한 섬인지라 대한민국 본토에서는 보기 드문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연중 안개일수가 160일 이상, 강우일수도 150일 이상 되는 다우지인 습윤한 기후에 해당하며 연평균 기온은 12.4℃, 최난월 평균 기온은 24℃ 이하(23.6), 최한월 평균기온이 1℃(1.4)정도인 온난한 편에 해당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380mm정도이며 연중 고른 강수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겨울철에 눈이 상당히 많이 오는 다설지에 해당한다.
 
대양 한가운데 있는 섬이라 바람이 잦은 편이며 서풍과 남풍계열의 풍향이 우세하며 연평균 풍속은 4.3m/s 정도이다.
 
대체로 한반도 남부지방으로 상륙한 [[태풍]]의 최종 경유지(?)이기도 하며 이런 이유로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이 지나갈 경우 거의 십중팔구 울릉도 인근을 거쳐가면서 한국에 대한 영향을 마무리짓는 지역이다. 남쪽의 [[제주도]]가 가장 먼저 태풍을 맞이하는 지역이라면 이쪽 울릉도는 가장 나중에 태풍을 보내주는 출구와 같은 지역이다.
 
==식생==
 
==부속도서==
울릉도 주변에는 총 44개의 부속도서가 있다. 이 중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섬은 다음의 3개 섬이며 나머지 도서는 [[암초]] 수준의 바위섬이다.
*[[독도]]
*[[관음도]]
*[[죽도 (울릉)|죽도]]
 
{{각주}}
[[분류:동해의 섬]]
[[분류:경상북도의 섬]]
[[분류:울릉군]]
 
{{리브레 맵스 마커|37.49134616099328|130.85057573533973|6|울릉도}}

2022년 4월 10일 (일) 17:15 판

틀:등대

개요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태종대공원 남동쪽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오륙도등대와 함께 부산항의 출입구 표지를 하고 있는 등대이다. 부산항은 상시 각종 선박들의 출입이 빈번한 곳으로 남쪽에서 부산항으로 접근하는 선박들은 이 등대를 좌현방향으로 끼고돌아 부산항으로 들어서게 되며, 이 등대와 오륙도등대 모두를 좌현에 끼고 항해하면 바로 동해항로로 진출하게 된다.

등대 연혁

  • 1962. 7. 19 기계고장으로 무신호 운휴[1]
  • 1962. 7. 24. 무신호 복구[2]
  • 1962. 8. 17. 기계고장으로 무신호 운휴[3]

기타사항

  • 부산이라는 대도시에 자리하고 있는데다 영도 자체가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섬이라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이 등대를 찾아온다. 이 등대에는 자연사전시실, 해양도서실, 해양도서관 등의 전시실이 있으며, 등탑의 전망대는 한번에 40명까지 올라가서 주변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다. 카페도 같이 자리를 잡고 있으니 데이트 코스로 쓰기 딱 좋다.
  • 날씨가 좋을 경우 이 등대에서 일본대마도까지 조망이 가능하다.
  • 이 등대 입구에 해당하는 태종대 입구 부근에서 아래쪽 길로 내려가면 태종대 유람선의 탑승이 가능하다.

갤러리

각주

  1. 교통부 공고 제331호
  2. 교통부 공고 제336호
  3. 교통부 공고 제36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