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러시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러시아애호증'''(Russophilia) 혹은 '''친러'''(Pro-Russia)는 특정 국가의 국제 관계나 개인의 감정에 있어서 있어서 러시아와 우호...)
 
잔글 (국기 -> 나라)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친러'''(Pro-Russia)는 특정 국가의 국제 관계나 개인의 감정에 있어서 있어서 [[러시아]]와 우호적 성향을 띠는 경우를 의미한다.
'''러시아애호증'''(Russophilia) 혹은 '''친러'''(Pro-Russia)는 특정 국가의 국제 관계나 개인의 감정에 있어서 있어서 [[러시아]]와 우호적 성향을 띄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문서에서는 주로 전자를 서술한다.


== 포지션 ==
== 포지션 ==
=== 외교적 포지션 ===
보통 친미는 친서방과, 친중은 반서방과 일상맥통하는 경우가 많지만 친러는 이렇게 명확하게 나뉘지 않는다.
보통 친미는 친서방과, 친중은 반서방과 일상맥통하는 경우가 많지만 친러는 이렇게 명확하게 나뉘지 않는다.


보통 시리아, 북한 같은 제2 ~ 제3세계의 독재국가들의 친러는 반서방주의를 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중남미나 유럽 등 서양 국가들이나 민주주의가 정착한 나라에서의 강경[[우익]]~[[극우]] [[포퓰리즘]] 정치세력들의 친러의 경우는 {{ㅊ|본인들이 서방국가라서}} 반서방 성향을 띄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우익~극우성향 특성상 서양 정체성을 내세우기까지 한다.
보통 시리아, 북한 같은 제2 ~ 제3세계의 독재국가들의 친러는 반서방주의를 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중남미나 유럽 등 서양 국가들이나 민주주의가 정착한 나라에서의 강경[[우익]]~[[극우]] [[포퓰리즘]] 정치세력들의 친러의 경우는 {{ㅊ|본인들이 서방국가라서}} 반서방 성향을 띠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우익~극우성향 특성상 서양 정체성을 내세우기까지 한다.
 
=== 정치적 포지션 ===
반서방 국가들의 친러는 공식적으로 [[반제국주의]]에 기반한 반서방주의 때문에 친러를 하는 경우가 많아 [[문뱃]]인 경우도 많지만 서방 국가나 민주주의 국가 내에서의 친러 정치세력들은 러시아가 보수주의, 민족주의, 공동체주의의 이상이라고 생각해 빨아재끼는 [[윙넛]]극우의 경우가 적지 않다.


== 관련 인물/정당 ==
== 관련 인물/정당 ==
28번째 줄: 23번째 줄:
* [[우에사카 스미레]] - 일본 성우
* [[우에사카 스미레]] - 일본 성우
* [[짐 카]](Jim Carr) - 캐나다의 중도좌파 [[자유당 (캐나다)|자유당]] 소속 정치인
* [[짐 카]](Jim Carr) - 캐나다의 중도좌파 [[자유당 (캐나다)|자유당]] 소속 정치인
* [[손학규]]
=== 친러 정당 ===
=== 친러 정당 ===
유럽권의 친러 정당들의 경우 우파~극우 성향의 [[민족주의]], [[대중주의]] 정당들이 다수인 편이며 그리스의 황금새벽당이나 이탈리아의 CasaPound 같은 네오나치 정당도 상당 수 있다.
유럽권의 친러 정당들의 경우 우파~극우 성향의 [[민족주의]], [[대중주의]] 정당들이 다수인 편이며 그리스의 황금새벽당이나 이탈리아의 CasaPound 같은 네오나치 정당도 상당 수 있다.
* {{나라|그리스}} - [[황금새벽]], 그리스식 해법 (Greek Solution)
* {{나라|독일}} - [[독일을 위한 대안]]
* {{나라|라트비아}} - 라트비아 러시아계 연합 (Latvian Russian Union) 사회민주당 "조화" (Social Democratic Party "Harmony")
* {{나라|루마니아}} - 사회민주당
* {{나라|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폴리스의 선거인단활동 기독교가족연합 (Electoral Action of Poles in Lithuania – Christian Families Alliance), 노동당 (Labour Party), 질서와 정의 (Order and Justice)
* {{나라|몰도바}} - 몰도바 공화국 사회당 (Party of Socialists of the Republic of Moldova)
* {{나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독립사회민주연합 (Alliance of Independent Social Democrats)
* {{나라|불가리아}} - 불가리아 사회당 (Bulgarian Socialist Party)
* {{나라|세르비아}} - [[세르비아 급진당]],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사회당]]
* {{나라|슬로바키아}} - 코틀레바 인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Kotleba – People's Party Our Slovakia), 슬로바키아 공산당
* {{나라|아르메니아}} - 프로스페르 아르메니아 (Prosperous Armenia)
* {{나라|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자유당]] (Freedom Party of Austria)
* {{나라|우크라이나}} - 야권연대 (Opposition Bloc), 야권연단 (Opposition Platform — For Life),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지역당 (Party of Regions)
* {{나라|이탈리아}} - [[오성운동]], [[북부동맹]]
* {{나라|중국}} - [[중국 공산당]]
* {{나라|조지아}} - 조지아 애국동맹 (Alliance of Patriots of Georgia)
* {{나라|체코}}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Communist Party of Bohemia and Moravia)
* {{나라|프랑스}} - [[국민연합 (프랑스)|국민연합]]
* {{나라|시리아}} - 시리아 바트당


* {{국기나라|그리스}} - [[황금새벽]], 그리스식 해법 (Greek Solution)
* {{국기나라|독일}} - [[독일을 위한 대안]]
* {{국기나라|라트비아}} - 라트비아 러시아계 연합 (Latvian Russian Union) 사회민주당 "조화" (Social Democratic Party "Harmony")
* {{국기나라|루마니아}} - 사회민주당
* {{국기나라|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폴리스의 선거인단활동 기독교가족연합 (Electoral Action of Poles in Lithuania – Christian Families Alliance), 노동당 (Labour Party), 질서와 정의 (Order and Justice)
* {{국기나라|몰도바}} - 몰도바 공화국 사회당 (Party of Socialists of the Republic of Moldova)
* {{국기나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독립사회민주연합 (Alliance of Independent Social Democrats)
* {{국기나라|불가리아}} - 불가리아 사회당 (Bulgarian Socialist Party)
* {{국기나라|세르비아}} - [[세르비아 급진당]],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사회당]]
* {{국기나라|슬로바키아}} - 코틀레바 인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Kotleba – People's Party Our Slovakia), 슬로바키아 공산당
* {{국기나라|아르메니아}} - 프로스페르 아르메니아 (Prosperous Armenia)
* {{국기나라|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자유당]] (Freedom Party of Austria)
* {{국기나라|우크라이나}} - 야권연대 (Opposition Bloc), 야권연단 (Opposition Platform — For Life),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지역당 (Party of Regions)
* {{국기나라|이탈리아}} - [[오성운동]], [[북부동맹]]
* {{국기나라|중국}} - [[중국 공산당]]
* {{국기나라|조지아}} - 조지아 애국동맹 (Alliance of Patriots of Georgia)
* {{국기나라|체코}}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Communist Party of Bohemia and Moravia)
* {{국기나라|프랑스}} - [[국민연합 (프랑스)|국민연합]]
== 여담 ==
* 리브레위키에 친미나 친중 문서는 없지만 친러 문서가 개별적으로 작성된 이유는 해외에서 Americanophilia나 Chinaphila같은 단어는 잘 쓰이지 않고 친서방/반서방으로 퉁치는데 비해 Russophilia는 개별 문서가 만들어질 정도로 각국의 친러파들은 정치적으로 친서방, 반서방으로 단순하게 나뉘지 않으며 정치적으로 독특한 색채를 띄기 때문이다.
* 친러 국가의 경우 나무위키에서도 잘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https://namu.wiki/w/%EC%B9%9C%EB%9F%AC#s-3 #]) 리브레위키에선 따로 서술하지 않았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민족주의]]
* [[민족주의]]
* [[극우]]
* [[극우]]
{{각주}}
[[분류:외교]]
[[분류:외교]]
[[분류:러시아]]

2022년 3월 8일 (화) 19:38 기준 최신판

친러(Pro-Russia)는 특정 국가의 국제 관계나 개인의 감정에 있어서 있어서 러시아와 우호적 성향을 띠는 경우를 의미한다.

포지션[편집 | 원본 편집]

보통 친미는 친서방과, 친중은 반서방과 일상맥통하는 경우가 많지만 친러는 이렇게 명확하게 나뉘지 않는다.

보통 시리아, 북한 같은 제2 ~ 제3세계의 독재국가들의 친러는 반서방주의를 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중남미나 유럽 등 서양 국가들이나 민주주의가 정착한 나라에서의 강경우익~극우 포퓰리즘 정치세력들의 친러의 경우는 본인들이 서방국가라서 반서방 성향을 띠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우익~극우성향 특성상 서양 정체성을 내세우기까지 한다.

관련 인물/정당[편집 | 원본 편집]

친러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친러 정당[편집 | 원본 편집]

유럽권의 친러 정당들의 경우 우파~극우 성향의 민족주의, 대중주의 정당들이 다수인 편이며 그리스의 황금새벽당이나 이탈리아의 CasaPound 같은 네오나치 정당도 상당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