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중앙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새 철도역 정보\n\|이름 *=(.*)\n\|원어이름 *=(.*)\n\|배경색 *=(.*)\n\|글자색 *=(.*)\n\|그림 *=(.*)\n\|그림크기 *=.*\n +{{새 철도역 정보\n|이름 =\1\n|원어이름 =\2\n|배경색 =\3\n|글자색 =\4\n|그림 =\5\n))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e90014
|이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Frankfurt (Main) Hauptbahnhof
|상단 = Frankfurt(M) Hbf
|배경색  = #e90014
|역명 = DB 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Frankfurt (Main) Hauptbahnhof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FrankfurtM_Hauptbahnhof.jpg|thumb|center|역사 전면]]
|그림     = FrankfurtM Hauptbahnhof.jpg
|역번호 =
|그림설명 = 역사 전면
|역코드 = FF (지상)<br />FFT (지하 S반)
|그림alt  =  
|주소 =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반호프스피어텔 구 <ruby>Am Hauptbahnhof<rt>중앙역앞</rt></ruby> 1
|주소     =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반호프스피어텔 구 <ruby>Am Hauptbahnhof<rt>중앙역앞</rt></ruby> 1
|개업일 = [[1888년]] [[8월 18일]]
|번호    =  
|폐지일 =
|노선     = [[마인선]] <small>37.5 km</small><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선]] <small>0.0 km</small><br />[[타우누스 철도선]] <small>0.0 km</small><br />마인-네카어 철도선 <small>0.0 km</small><br />마인-란 선 <small>0.0 km</small><br />마인-베저 선 <small>199.8 km</small><br />홈부르크 선 <small>0.0 km</small><br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small>50.0 km</small>
|관할 = DB Netz
|관할    = DB Netz
|승강장 = 25면 24선 (지상, 실제 사용은 13면)<br />2면 4선 (지하)
|개업일  = [[1888년]] [[8월 18일]]
|운임구역 = RMV 5000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FF (지상)<br />FFT (지하 S반)
|노선 = [[마인 선]] <small>37.5 km</small><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small>0.0 km</small><br />[[타우누스 철도선]] <small>0.0 km</small><br />마인-네카어 철도선 <small>0.0 km</small><br />마인-란 선 <small>0.0 km</small><br />마인-베저 선 <small>199.8 km</small><br />홈부르크 선 <small>0.0 km</small><br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small>50.0 km</small>
|승강장  = 25면 24선 (지상, 실제 사용은 13면)<br />2면 4선 (지하)
|관련역  =
|참고    = RMV 5000
|비고    =
|하위 틀  =
}}
}}


{{+1|Frankfurt (Main) Hauptbahnhof}}<br />프랑크푸르트 (마인) 중앙역<br />'''독일 철도교통의 중심지'''
== 개요 ==
[[독일]]의 주요 도시이자 [[유럽]] 경제의 중심지라고 부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프랑크푸르트]]의 중앙역. 도시 자체가 인구에 비해 규모가 크고 각종 기관과 회사들의 중심지로서 기능하며, 독일의 사실상 가장 큰 관문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이 지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독일 내에서는 가장 이용객이 많은 철도역이다. 이용객의 규모 뿐만 아니라 역사 자체도 거대해서 지상에만 24선이 있고, 지하에 광역철도(S반)용 4선과 지하철(U반)용 4선이 추가로 있다.
[[독일]]의 주요 도시이자 [[유럽]] 경제의 중심지라고 부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프랑크푸르트]]의 중앙역. 도시 자체가 인구에 비해 규모가 크고 각종 기관과 회사들의 중심지로서 기능하며, 독일의 사실상 가장 큰 관문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이 지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독일 내에서는 가장 이용객이 많은 철도역이다. 이용객의 규모 뿐만 아니라 역사 자체도 거대해서 지상에만 24선이 있고, 지하에 광역철도(S반)용 4선과 지하철(U반)용 4선이 추가로 있다.


중앙역이 생기게 된 배경은 원래 철도 개발 역사를 되짚어 보면 된다. 처음에 프랑크푸르트에 들어오던 철도는 3개 노선이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마인 강 북쪽으로 강을 건너지 않고 [[비스바덴]]까지 연결되는 타우누스 철도의 타우누스 역이었고,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라인 강 동쪽 내륙 쪽을 지나며 [[다름슈타트]], [[하이델베르크]], [[만하임]]까지를 잇는 마인-네카어 철도선의 마인-네카어 역, 마지막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프리트베르크(닛다 강), 기센(란 강)을 경유 [[카셀]]까지 이어지는 마인-베저 선의 마인-베저 역<ref>마인-베저 역은 개통 후에 홈부르크 철도도 들어오게 되면서 공동 사용역이 되었다.</ref>이 있었다. 하지만 역이 너무 따로 떨어져 있어<ref>대충 역의 위치는 현재의 빌리 브란트 광장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거의 도심 한복판.</ref> 증가하는 이용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고, 또 도시 미관이나 도시 교통망 정비 차원에서도 역을 외곽에 위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맞물려, [[1866년]]에 역을 하나로 통합 이설하려는 계획이 세워지게 된다. 처음 계획은 34개 승강장을 가진 초대형 역이었다고 하나, 너무 낭비가 심하다는 의견이 많아 반 정도인 18개로 줄어들었다. 새로 세워지는 역 위치는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 km 정도 떨어진 마인 강변이었다. 당시만해도 시가지에서 꽤 떨어진 것으로 보이나, 지금 기준으로는 사실상 중앙역도 시가지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1924년]]에 지상 6개선을 추가했고, [[1978년]]에는 U반과 S반역이 생기게 되며 현재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중앙역이 생기게 된 배경은 원래 철도 개발 역사를 되짚어 보면 된다. 처음에 프랑크푸르트에 들어오던 철도는 3개 노선이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마인 강 북쪽으로 강을 건너지 않고 [[비스바덴]]까지 연결되는 타우누스 철도의 타우누스 역이었고,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라인 강 동쪽 내륙 쪽을 지나며 [[다름슈타트]], [[하이델베르크]], [[만하임]]까지를 잇는 마인-네카어 철도선의 마인-네카어 역, 마지막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프리트베르크(닛다 강), 기센(란 강)을 경유 [[카셀]]까지 이어지는 마인-베저 선의 마인-베저 역<ref>마인-베저 역은 개통 후에 홈부르크 철도도 들어오게 되면서 공동 사용역이 되었다.</ref>이 있었다. 하지만 역이 너무 따로 떨어져 있어<ref>대충 역의 위치는 현재의 빌리 브란트 광장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거의 도심 한복판.</ref> 증가하는 이용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고, 또 도시 미관이나 도시 교통망 정비 차원에서도 역을 외곽에 위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맞물려, [[1866년]]에 역을 하나로 통합 이설하려는 계획이 세워지게 된다. 처음 계획은 34개 승강장을 가진 초대형 역이었다고 하나, 너무 낭비가 심하다는 의견이 많아 반 정도인 18개로 줄어들었다. 새로 세워지는 역 위치는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 km 정도 떨어진 마인 강변이었다. 당시만해도 시가지에서 꽤 떨어진 것으로 보이나, 지금 기준으로는 사실상 중앙역도 시가지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1924년]]에 지상 6개선을 추가했고, [[1978년]]에는 U반과 S반역이 생기게 되며 현재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 역 구조 ==
== 시설 ==
지상 입구로 들어가면 메인 홀이 있고,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두단식 승강장 끝단이 쭉 뻗으며 승강장 홀이 나온다. 원래는 각 선마다 하나씩 승강장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효율성이 안 좋은 관계로 몇몇 승강장들은 고상화하지 않은 채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작업자 전용)으로 두고 있으며, 실제로 승하차가 가능한 승강장은 약 반 정도다. 몇몇 승강장은 꾸준히 개장 공사 중(특히 [[유로스타]] 관련으로)이니 승강장을 잘 찾아보고 가야 한다. 지상 승강장은 일단 방향별로 열차가 나가긴 하지만 완벽한 규칙성은 없다. 그때 그 때마다 시각표와 전광판을 확인하고 찾아가야 한다.
지상 입구로 들어가면 메인 홀이 있고,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두단식 승강장 끝단이 쭉 뻗으며 승강장 홀이 나온다. 원래는 각 선마다 하나씩 승강장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효율성이 안 좋은 관계로 몇몇 승강장들은 고상화하지 않은 채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작업자 전용)으로 두고 있으며, 실제로 승하차가 가능한 승강장은 약 반 정도다. 몇몇 승강장은 꾸준히 개장 공사 중(특히 [[유로스타]] 관련으로)이니 승강장을 잘 찾아보고 가야 한다. 지상 승강장은 일단 방향별로 열차가 나가긴 하지만 완벽한 규칙성은 없다. 그때 그 때마다 시각표와 전광판을 확인하고 찾아가야 한다.


31번째 줄: 32번째 줄:
지하 S반 역의 경우 [[프랑크푸르트 S7|<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을 제외한 모든 [[프랑크푸르트 S반]]이 이용하고 있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은 최근에 생겨난 계통이고, RB 열차를 전환한 계통이다보니 현재는 지상역 발착이다. 하지만 프랑크푸르트와 하나우 등이 추진하고 있는 북부 마인 선 S반화 계획으로 노르트마인 선이 2016~[[2017년]]경까지 성공적으로 전철화, S반화되면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도 지하역을 이용하게 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주말이 되면 S반 편수가 많이 줄어드는데,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은 공항으로의 연결 열차기 때문에 주말이나 출퇴근 시간 등 편수가 부족하기 쉬운 시간대에는 편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상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배정된다. 이외에도 몇몇 S반이 주박역으로서 지상역을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지하 S반 역의 경우 [[프랑크푸르트 S7|<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을 제외한 모든 [[프랑크푸르트 S반]]이 이용하고 있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은 최근에 생겨난 계통이고, RB 열차를 전환한 계통이다보니 현재는 지상역 발착이다. 하지만 프랑크푸르트와 하나우 등이 추진하고 있는 북부 마인 선 S반화 계획으로 노르트마인 선이 2016~[[2017년]]경까지 성공적으로 전철화, S반화되면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도 지하역을 이용하게 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주말이 되면 S반 편수가 많이 줄어드는데,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은 공항으로의 연결 열차기 때문에 주말이나 출퇴근 시간 등 편수가 부족하기 쉬운 시간대에는 편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상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배정된다. 이외에도 몇몇 S반이 주박역으로서 지상역을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 승강장 ===
=== 시설 ===
지상역은 기본적으로 약간의 규칙성은 있으나 확실히 정해진 방향성은 없다. 각 열차의 시각표와 전광판, 안내방송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지상역은 기본적으로 약간의 규칙성은 있으나 확실히 정해진 방향성은 없다. 각 열차의 시각표와 전광판, 안내방송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장거리 열차는 기본적으로 3, 6 ~ 9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국제 열차의 경우에는 18, 19번 승강장도 자주 쓰인다. 이 외에도 10 ~ 13번 승강장에도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 장거리 열차는 기본적으로 3, 6 ~ 9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국제 열차의 경우에는 18, 19번 승강장도 자주 쓰인다. 이 외에도 10 ~ 13번 승강장에도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 [[림부르크 (란) 역|림부르크]] 방면의 '''[[마인-란 선]]''' 방면 열차는 1, 2번 승강장과 14 ~ 16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림부르크 (란)역|림부르크]] 방면의 '''[[마인-란선]]''' 방면 열차는 1, 2번 승강장과 14 ~ 16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방면의 '''[[리트 선]]''' 방면 열차는 1 ~ 3번 승강장과 17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방면의 '''[[리트선]]''' 방면 열차는 1 ~ 3번 승강장과 17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의 '''[[마인 남안선]]''' 방면 열차는 6 ~ 9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의 '''[[마인 남안선]]''' 방면 열차는 6 ~ 9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방면의 '''[[마인-네카어 철도선]]''' 방면 열차는 10 ~ 12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방면의 '''[[마인-네카어 철도선]]''' 방면 열차는 10 ~ 12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카셀 중앙역|카셀]] 방면의 '''[[홈부르크 철도선]]''', '''[[마인-베저 선]]''' 방면 열차는 14 ~ 16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카셀 중앙역|카셀]] 방면의 '''[[홈부르크 철도선]]''', '''[[마인-베저선]]''' 방면 열차는 14 ~ 16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방면의 '''[[마인 선]]''', '''[[라인 좌안선]]''' 방면 열차는 20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방면의 '''[[마인선]]''', '''[[라인 좌안선]]''' 방면 열차는 20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의 '''[[타우누스 철도선]]''', '''[[라인 우안선]]''' 방면 열차는 21 ~ 24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의 '''[[타우누스 철도선]]''', '''[[라인 우안선]]''' 방면 열차는 21 ~ 24번 승강장에 주로 정차한다.


51번째 줄: 51번째 줄:
! 101
! 101
| style="text-align: center;" |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 style="text-align: center;" |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 [[라인-마인 S3|<span style="background-color: #019377; color: white;">'''&nbsp;S3&nbsp;'''</span>]] · [[라인-마인 S4|<span style="background-color: #ffcc00; color: black;">'''&nbsp;S4&nbsp;'''</span>]] · [[라인-마인 S5|<span style="background-color: #7f3107; color: white;">'''&nbsp;S5&nbsp;'''</span>]] · [[라인-마인 S6|<span style="background-color: #f47922; color: white;">'''&nbsp;S6&nbsp;'''</span>]] 도심 · [[프랑크푸르트 남역|남역]] · [[랑겐 (헤센) 역|랑겐]] · [[다름슈타트 중앙역|다름슈타트]] 방면
| [[라인-마인 S3|<span style="background-color: #019377; color: white;">'''&nbsp;S3&nbsp;'''</span>]] · [[라인-마인 S4|<span style="background-color: #ffcc00; color: black;">'''&nbsp;S4&nbsp;'''</span>]] · [[라인-마인 S5|<span style="background-color: #7f3107; color: white;">'''&nbsp;S5&nbsp;'''</span>]] · [[라인-마인 S6|<span style="background-color: #f47922; color: white;">'''&nbsp;S6&nbsp;'''</span>]] 도심 · [[프랑크푸르트 남역|남역]] · [[랑겐 (헤센)역|랑겐]] · [[다름슈타트 중앙역|다름슈타트]] 방면
|-
|-
! 102
! 102
| style="text-align: center;" |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 style="text-align: center;" |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 [[라인-마인 S1|<span style="background-color: #0480b7; color: white;">'''&nbsp;S1&nbsp;'''</span>]] · [[라인-마인 S2|<span style="background-color: #ff0000; color: white;">'''&nbsp;S2&nbsp;'''</span>]] · [[라인-마인 S8|<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 [[라인-마인 S9|<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뢰더마르크-오버로덴 역|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첸바흐 역|디첸바흐]] · [[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
| [[라인-마인 S1|<span style="background-color: #0480b7; color: white;">'''&nbsp;S1&nbsp;'''</span>]] · [[라인-마인 S2|<span style="background-color: #ff0000; color: white;">'''&nbsp;S2&nbsp;'''</span>]] · [[라인-마인 S8|<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 [[라인-마인 S9|<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뢰더마르크-오버로덴역|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첸바흐역|디첸바흐]] · [[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
|-
|-
! rowspan="2" | 103
! rowspan="2" | 103
| style="text-align: center;" | 3520 [[마인 선]] 서행
| style="text-align: center;" | 3520 [[마인선]] 서행
|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프랑크푸르트 공항역|공항 근거리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마인츠-카스텔 역|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
|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프랑크푸르트 공항역|공항 근거리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마인츠-카스텔역|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
|-
|-
| style="text-align: center;" | 3610 [[마인-란 선]] 북행
| style="text-align: center;" | 3610 [[마인-란선]] 북행
| <span style="background-color: #0480b7; color: white;">'''&nbsp;S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0000; color: white;">'''&nbsp;S2&nbsp;'''</span> [[프랑크푸르트-회히스트 역|회히스트]] · 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 역|니데른하우젠]] 방면
| <span style="background-color: #0480b7; color: white;">'''&nbsp;S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0000; color: white;">'''&nbsp;S2&nbsp;'''</span> [[프랑크푸르트-회히스트역|회히스트]] · 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역|니데른하우젠]] 방면
|-
|-
! 104
! 104
| style="text-align: center;" | 3611 [[홈부르크 선]] 북행<br />3900 [[마인-베저 선]] 북행
| style="text-align: center;" | 3611 [[홈부르크선]] 북행<br />3900 [[마인-베저선]] 북행
|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019377; color: white;">'''&nbsp;S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c00; color: black;">'''&nbsp;S4&nbsp;'''</span> [[프랑크푸르트 서역|서역]] · [[에쉬보른 역|에쉬보른]] · [[바트 조덴 역|바트 조덴]] · [[크론베르크 역|크론베르크]] 방면<br />
|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019377; color: white;">'''&nbsp;S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c00; color: black;">'''&nbsp;S4&nbsp;'''</span> [[프랑크푸르트 서역|서역]] · [[에쉬보른역|에쉬보른]] · [[바트 조덴역|바트 조덴]] · [[크론베르크역|크론베르크]] 방면<br />
<span style="background-color: #7f3107; color: white;">'''&nbsp;S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47922; color: white;">'''&nbsp;S6&nbsp;'''</span> 서역 · [[바트 홈부르크 역|바트 홈부르크]] · [[바트 필벨|바트 필벨]] · [[프리트베르크 역|프리트베르크]] 방면</div>
<span style="background-color: #7f3107; color: white;">'''&nbsp;S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47922; color: white;">'''&nbsp;S6&nbsp;'''</span> 서역 · [[바트 홈부르크역|바트 홈부르크]] · [[바트 필벨|바트 필벨]] · [[프리트베르크역|프리트베르크]] 방면</div>
|-
|-
|}
|}
73번째 줄: 73번째 줄:
== 지하철 ==
== 지하철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00aaac
|이름    = 중앙역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HAUPTBAHNHOF
|상단 =  
|배경색  = #00aaac
|역명 = VGF 중앙역<br />HAUPTBAHNHOF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그림설명 =  
|역코드 = HB
|그림alt  =  
|주소 =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반호프스피어텔 구 <ruby>Am Hauptbahnhof<rt>중앙역앞</rt></ruby> 1
|주소     =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반호프스피어텔 구 <ruby>Am Hauptbahnhof<rt>중앙역앞</rt></ruby> 1
|개업일 = [[1978년]] [[5월 28일]]
|번호    =
|폐지일 =  
|노선    = 지하철 B선 <small>7.75 km</small><br />지하철 D선 <small>10.00 km</small>
|관할 = VGF
|관할    = VGF
|승강장 = 섬식 승강장 2면 4선
|개업일   = [[1978년]] [[5월 28일]]
|운임구역 = RMV 5000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HB
|노선 = 지하철 B선 <small>7.75 km</small><br />지하철 D선 <small>10.00 km</small>
|승강장   = 섬식 승강장 2면 4선
|관련역  =
|참고    = RMV 5000
|비고    =  
|하위 틀  =  
}}
}}


117번째 줄: 121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60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관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관할=독일철도 (DB)|링크=독일철도}}
{{경유 노선/관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관할=[[독일철도|독일철도 (DB)]]}}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폭=16em|노선명=3520 마인 선|노선링크=마인 선|노선거리=37.5 km
|노선명=[[마인선]]|노선거리=37.5 km
|전역폭=14em|전방면=[[마인츠 중앙역|마인츠]]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전방면=[[마인츠 중앙역|마인츠]]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당역폭=14em|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역폭=14em|후역=(시 · 종착역)}}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00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노선링크=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하나우-프랑크푸르트선]]|노선거리=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남역]]|후거리=4.4 km}}
|후방면=[[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남역]]|후거리=4.4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01 마인-네카어 선|노선링크=마인-네카어 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마인-네카어선]]|노선거리=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루이자 역|루이자]]|후거리=3.7 km}}
|후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루이자역|루이자]]|후거리=3.7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03 타우누스 철도선|노선링크=타우누스 철도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타우누스 철도선]]|노선거리=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회흐스트 역|회흐스트]]|후거리=9.3 km}}
|후방면=[[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회흐스트역|회흐스트]]|후거리=9.3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10 마인-란 선|노선링크=마인-란 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마인-란선]]|노선거리=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림부르크 (란) 역|림부르크 (란)]]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그리스하임 역|그리스하임]]|후거리=4.5 km}}
|후방면=[[림부르크 (란)역|림부르크 (란)]]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그리스하임역|그리스하임]]|후거리=4.5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11/3612 홈부르크 선|노선링크=홈부르크 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홈부르크선]]|노선거리=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프리트리히도르프 (타우누스) 역|프리트리히스도르프]]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 역|갈루스바르테]]|후거리=1.6 km}}
|후방면=[[프리트리히도르프 (타우누스)역|프리트리히스도르프]]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역|갈루스바르테]]|후거리=1.6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681/3682<br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노선링크=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노선거리=50.0 km
|노선명=[[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노선거리=50.0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방면=[[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타우누스안라게 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후방면=[[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타우누스안라게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e90014|글자색=white
|노선명=3900 마인-베저 선|노선링크=마인-베저 선|노선거리=199.0 km
|노선명=[[마인-베저선]]|노선거리=199.0 km
|전방면=[[카셀 중앙역|카셀]]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 역|갈루스바르테]]|전거리=1.6 km
|전방면=[[카셀 중앙역|카셀]]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역|갈루스바르테]]|전거리=1.6 km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small>Frankfurt (Main) Hauptbahnhof</small>
|후역=(시 · 종착역)}}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관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관할=VGF}}
{{경유 노선/관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관할=[[VGF]]}}
{{경유 노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
|노선명=B선|노선거리=7.75 km
|노선명=[[B선]]|노선거리=7.75 km
|전역=(시 · 종착역)
|전방면=|전역=
|당역='''중앙역'''<br /><small>HAUPTBAHNHOF</small>
|당역='''중앙역'''<br /><small>HAUPTBAHNHOF</small>
|후방면=[[프랑크푸르트 콘스타블러바헤 역|콘스타블러바헤]]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후방면=[[프랑크푸르트 콘스타블러바헤역|콘스타블러바헤]]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경유 노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00aaac|글자색=white
|노선명=D선|노선거리=10.00 km
|노선명=[[D선]]|노선거리=10.00 km
|전방면=[[보켄하이머바르테역|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전역=[[페스트할레 전시장역|페스트할레/전시장]]|전거리=0.70 km
|전방면=[[보켄하이머바르테역|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전역=[[페스트할레 전시장역|페스트할레/전시장]]|전거리=0.70 km
|당역='''중앙역'''<br /><small>HAUPTBAHNHOF</small>
|당역='''중앙역'''<br /><small>HAUPTBAHNHOF</small>
|후역=(시 · 종착역)}}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 100%; font-size: 90%;"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 100%; font-size: 90%;"
|-
|-
184번째 줄: 188번째 줄:
! rowspan="12" style="width: 4em;" | DB<br />Fern-<br />verkehr 등
! rowspan="12" style="width: 4em;" | DB<br />Fern-<br />verkehr 등
! style="width: 5em;" | <span style="color: #e90014;">ICE 3</span>
! style="width: 5em;" | <span style="color: #e90014;">ICE 3</span>
| <div>''ICE-Sprinter''<br />오전: [[다름슈타트 중앙역|다름슈타트]]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베를린-슈판다우 역|슈판다우]] - [[베를린 중앙역|중앙역]] - [[베를린 동역|동역]])<br />오후: '''프랑크푸르트''' - [[하노버 중앙역|하노버]] - 베를린(슈판다우 - 중앙역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쥐트크로이츠]])</div>
| <div>''ICE-Sprinter''<br />오전: [[다름슈타트 중앙역|다름슈타트]]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베를린-슈판다우역|슈판다우]] - [[베를린 중앙역|중앙역]] - [[베를린 동역|동역]])<br />오후: '''프랑크푸르트''' - [[하노버 중앙역|하노버]] - 베를린(슈판다우 - 중앙역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역|쥐트크로이츠]])</div>
| 1일 2회
| 1일 2회
| rowspan="20" | -
| rowspan="20" | -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4</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4</span>
| <div>''ICE-Sprinter''<br />함부르크([[함부르크-알토나 역|알토나]] - [[함부르크 담토어 역|담토어]] - [[함부르크 중앙역|중앙역]]) - 하노버 -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div>
| <div>''ICE-Sprinter''<br />함부르크([[함부르크-알토나역|알토나]] - [[함부르크 담토어역|담토어]] - [[함부르크 중앙역|중앙역]]) - 하노버 -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div>
| 1일 1회
| 1일 1회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11</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11</span>
|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 역|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 역|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슈투트가르트]] - [[아우쿠스부르크 중앙역|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중앙역|뮌헨]]
|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역|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역|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슈투트가르트]] - [[아우쿠스부르크 중앙역|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중앙역|뮌헨]]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12</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12</span>
|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중앙역|프라이부르크]] - [[바젤 SBB 역|바젤]] (- [[인터라켄 동역]])
|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중앙역|프라이부르크]] - [[바젤 SBB역|바젤]] (- [[인터라켄 동역]])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217번째 줄: 221번째 줄: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41</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41</span>
| (도르트문트 - ) [[에센 중앙역|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메세 도이츠 역|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아샤펜부르크 중앙역|아샤펜부르크]]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뮌헨
| (도르트문트 - ) [[에센 중앙역|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메세 도이츠역|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아샤펜부르크 중앙역|아샤펜부르크]]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뮌헨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49</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49</span>
| 쾰른 - [[지크부르크 본 역|지크부르크/본]] - [[몬타바우어 역|몬타바우어]] - [[림부르크 남역]]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쾰른 - [[지크부르크 본역|지크부르크/본]] - [[몬타바우어역|몬타바우어]] - [[림부르크 남역]]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부정기 운행
| 부정기 운행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50</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50</span>
| [[드레스덴 중앙역|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중앙역|라이프치히]] - 에어푸르트 - [[아이제나흐 역|아이제나흐]] - [[풀다 역|풀다]]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드레스덴 중앙역|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중앙역|라이프치히]] - 에어푸르트 - [[아이제나흐역|아이제나흐]] - [[풀다역|풀다]]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 <span style="color: #e90014;">IC 26</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 26</span>
| [[슈트랄준트 역|슈트랄준트]] - 함부르크 - 카셀-빌헬름스회에 - [[기센 역|기센]] - '''프랑크푸르트''' - [[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 [[슈트랄준트역|슈트랄준트]] - 함부르크 - 카셀-빌헬름스회에 - [[기센역|기센]] - '''프랑크푸르트''' - [[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238번째 줄: 242번째 줄:
|-
|-
! <span style="color: #e90014;">ICE 79</span>
! <span style="color: #e90014;">ICE 79</span>
| [[브뤼셀 남역]] - [[리에쥬-기유망 역|리에쥬-기유망]] - [[아헨 중앙역|아헨]] - 쾰른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브뤼셀 남역]] - [[리에쥬-기유망역|리에쥬-기유망]] - [[아헨 중앙역|아헨]] - 쾰른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4시간 간격
| 4시간 간격
|-
|-
246번째 줄: 250번째 줄:
|-
|-
! <span style="color: #747678;">TGV ''84''</span>
! <span style="color: #747678;">TGV ''84''</span>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바덴-바덴 역|바덴-바덴]] - [[스트라스부르-빌 역|스트라스부르]] - [[벨포르-몽벨리아르 TGV 역|벨포르-몽벨리아르]] - [[베상송 프랑셰콩테 TGV 역|베상송 프랑셰콩테]] - [[샬론쉬르사온 역|샬론쉬르사온]] - [[리옹 파르듀 역|리옹 파르듀]] - [[아비뇽 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샤를 역|마르세유 생샤를]]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바덴-바덴역|바덴-바덴]] - [[스트라스부르 시내역|스트라스부르]] - [[벨포르-몽벨리아르 TGV역|벨포르-몽벨리아르]] - [[베상송-프랑셰콩테 TGV역|베상송-프랑셰콩테]] - [[샬론쉬르사온역|샬론쉬르사온]] - [[리옹-파르디외역|리옹-파르디외]] - [[아비뇽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생샤를역|마르세유-생샤를]]
| 부정기 운행
| 부정기 운행
|-
|-
263번째 줄: 267번째 줄:
! ÖBB
! ÖBB
! <span style="color: #cc082a;">Railjet</span>
! <span style="color: #cc082a;">Railjet</span>
| RJ 63/66: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뮌헨 - 잘츠부르크 - 린츠 - 빈 - [[죄르 역|죄르]] - [[부다페스트 동역]]
| RJ 63/66: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뮌헨 - 잘츠부르크 - 린츠 - 빈 - [[죄르역|죄르]] - [[부다페스트 동역]]
| 주말 운행<ref>'''RJ 66'''이 금, 토 운행, '''RJ 63'''이 토, 일 운행이다. 주말 직전에 열차를 연장해 주말에 되돌려 보내는 형태로, 한국에서는 부산 - 강릉 영동선 주말 열차에서 비슷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ref>
| 주말 운행<ref>'''RJ 66'''이 금, 토 운행, '''RJ 63'''이 토, 일 운행이다. 주말 직전에 열차를 연장해 주말에 되돌려 보내는 형태로, 한국에서는 부산 - 강릉 영동선 주말 열차에서 비슷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ref>
|-
|-
! rowspan="12" | DB Regio Hessen
! rowspan="12" | DB Regio Hesse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0&nbsp;</span>
| '''마인-베저 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헤센) 역|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란) 역|마부르크]] - [[키르히하인 (카셀 현) 역|키르히하인]] - [[노이슈타트 (헤센) 역|노이슈타트]] - [[트레이자 역|트레이자]] - [[바베른 (카셀 현) 역|바베른]] - [[카셀 중앙역|카셀]]
| '''마인-베저 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헤센)역|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란)역|마부르크]] - [[키르히하인 (카셀현)역|키르히하인]] - [[노이슈타트 (헤센)역|노이슈타트]] - [[트레이자역|트레이자]] - [[바베른 (카셀현)역|바베른]] - [[카셀 중앙역|카셀]]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rowspan="2" | 630<br />620
| rowspan="2" | 630<br />620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3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30&nbsp;</span>
|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마부르크 - [[쾰베 역|쾰베]] - 키르히하인 - [[슈타트알렌도르프 역|슈타트알렌도르프]] - 노이슈타트 - 트레이자
|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마부르크 - [[쾰베역|쾰베]] - 키르히하인 - [[슈타트알렌도르프역|슈타트알렌도르프]] - 노이슈타트 - 트레이자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34&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34&nbsp;</span>
| '''니더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필벨 - [[니더라우 역|니더라우]] - [[글라우부르크-슈토크하임 역|글라우부르크-슈토크하임]]
| '''니더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필벨 - [[니더라우역|니더라우]] - [[글라우부르크-슈토크하임역|글라우부르크-슈토크하임]]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634
| 634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4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40&nbsp;</span>
|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베츨라어 역|베츨라어]] - [[헤어보른 (딜크라이스) 역|헤어보른]] - [[딜렌부르크 역|딜렌부르크]]
|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베츨라어역|베츨라어]] - [[헤어보른 (딜크라이스)역|헤어보른]] - [[딜렌부르크역|딜렌부르크]]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630<br />445
| 630<br />445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50&nbsp;</span>
|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중앙역|오펜바흐]] - 하나우 - [[겔른하우젠 역|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 역|배히터스바흐]] - [[슐뤼히테른 역|슐뤼히테른]] - [[플리덴 역|플리덴]] - 풀다
|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중앙역|오펜바흐]] - 하나우 - [[겔른하우젠역|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역|배히터스바흐]] - [[슐뤼히테른역|슐뤼히테른]] - [[플리덴역|플리덴]] - 풀다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rowspan="2" | 615
| rowspan="2" | 615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50&nbsp;</span>
|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랑겐젤볼트 역|랑겐젤볼트]] - 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
|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랑겐젤볼트역|랑겐젤볼트]] - 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5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55&nbsp;</span>
|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동역|동역]]) - 하나우 - [[칼 (마인) 역|칼]] - 아샤펜부르크 - [[게뮌덴 (마인) 역]] - 뷔르츠부르크
|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동역|동역]]) - 하나우 - [[칼 (마인)역|칼]] - 아샤펜부르크 - [[게뮌덴 (마인)역]] - 뷔르츠부르크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rowspan="2" | 640
| rowspan="2" | 640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664ab; color: white;">&nbsp;RB 5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664ab; color: white;">&nbsp;RB 55&nbsp;</span>
|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동역) - [[마인탈 동역]] - 하나우 - [[그로스크로첸부르크 역|그로스크로첸부르크]] - 칼 - 아샤펜부르크
|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동역) - [[마인탈 동역]] - 하나우 - [[그로스크로첸부르크역|그로스크로첸부르크]] - 칼 - 아샤펜부르크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6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60&nbsp;</span>
| '''마인-네카어 철도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벤스하임 역|벤스하임]] - [[헤펜하임 (베르크슈트라세) 역|헤펜하임]] - [[바인하임 (베르크슈트라세) 역|바인하임]] - 만하임
| '''마인-네카어 철도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벤스하임역|벤스하임]] - [[헤펜하임 (베르크슈트라세)역|헤펜하임]] - [[바인하임 (베르크슈트라세)역|바인하임]] - 만하임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rowspan="2" | 650
| rowspan="2" | 650
314번째 줄: 318번째 줄: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6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61&nbsp;</span>
| '''드라이아이히 선''': '''프랑크푸르트''' - [[드라이아이히-부흐슐라크 역|드라이아이히-부흐슐라크]] - [[뢰더마르크-오버로덴 역|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부르크 역|디부르크]]
| '''드라이아이히 선''': '''프랑크푸르트''' - [[드라이아이히-부흐슐라크역|드라이아이히-부흐슐라크]] - [[뢰더마르크-오버로덴역|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부르크역|디부르크]]
| 30분 간격
| 30분 간격
| 647
| 647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7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70&nbsp;</span>
| '''리트 선''': '''프랑크푸르트''' - [[리트슈타트-고델라우 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 [[게른스하임 역|게른스하임]] - [[비블리스 역|비블리스]] - 만하임
| '''리트 선''': '''프랑크푸르트''' - [[리트슈타트-고델라우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 [[게른스하임역|게른스하임]] - [[비블리스역|비블리스]] - 만하임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655
| 655
325번째 줄: 329번째 줄:
! rowspan="3" | DB Regio Hessen<br />HLB
! rowspan="3" | DB Regio Hessen<br />HLB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2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20&nbsp;</span>
| rowspan="2" | '''마인-란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프랑크푸르트-회흐스트 역|회흐스트]]) - [[니데른하우젠 역|니데른하우젠]] - [[림부르크 (란) 역|림부르크]]
| rowspan="2" | '''마인-란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프랑크푸르트-회흐스트역|회흐스트]]) - [[니데른하우젠역|니데른하우젠]] - [[림부르크 (란)역|림부르크]]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rowspan="2" | 627
| rowspan="2" | 627
333번째 줄: 337번째 줄: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2&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2&nbsp;</span>
| '''호를로프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바이엔하임 역|바이엔하임]] - [[니다 역|니다]]
| '''호를로프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바이엔하임역|바이엔하임]] - [[니다역|니다]]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632
| 632
339번째 줄: 343번째 줄:
! rowspan="3" | HLB
! rowspan="3" | HLB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2&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2&nbsp;</span>
| '''쾨니히슈타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리더바흐 역|리더바흐]] - [[켈크하임 역|켈크하임]] - [[쾨니히슈타인 (타우누스) 역|쾨니히슈타인]]
| '''쾨니히슈타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리더바흐역|리더바흐]] - [[켈크하임역|켈크하임]] - [[쾨니히슈타인 (타우누스)역|쾨니히슈타인]]
| 30분 간격
| 30분 간격
| 646
| 646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5&nbsp;</span>
| '''상부 타우누스 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홈부르크 - 프리트리히스도르프 - [[우징겐 역|우징겐]] - [[그래펜비스바흐 역|그래펜비스바흐]] - [[브란트오베른도르프 역|브란트오베른도르프]]
| '''상부 타우누스 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홈부르크 - 프리트리히스도르프 - [[우징겐역|우징겐]] - [[그래펜비스바흐역|그래펜비스바흐]] - [[브란트오베른도르프역|브란트오베른도르프]]
| 30분 간격
| 30분 간격
| 637
| 637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4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40&nbsp;</span>
| <div>'''마인-지크 급행''' / ''RMV'' '''RE 40''' = VRS '''RE 98''', '''RE 99'''<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98&nbsp;</span>''':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 트레이자 - 바베른 - 카셀<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99&nbsp;</span>''':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베츨라어 - 헤어브론 - 딜렌부르크 - [[하이거 역|하이거]] - [[지겐 역|지겐]]</div>
| <div>'''마인-지크 급행''' / ''RMV'' '''RE 40''' = VRS '''RE 98''', '''RE 99'''<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98&nbsp;</span>''':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 트레이자 - 바베른 - 카셀<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99&nbsp;</span>''':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베츨라어 - 헤어브론 - 딜렌부르크 - [[하이거역|하이거]] - [[지겐역|지겐]]</div>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630<br />445<br />620
| 630<br />445<br />620
355번째 줄: 359번째 줄:
! rowspan="3" | VIAS
! rowspan="3" | VIAS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10&nbsp;</span>
| '''타우누스 철도선 · 라인 우안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마인츠-카스텔 역|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엘트필레 역|엘트필레]] - [[뤼데스하임 (라인) 역|뤼데스하임]] - [[로어흐 역|로어흐]] - [[로어흐하우젠 역|로어흐하우젠]] - [[카우프 역|카우프]] - 코블렌츠 - [[노이비트 역|노이비트]]
| '''타우누스 철도선 · 라인 우안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마인츠-카스텔역|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엘트필레역|엘트필레]] - [[뤼데스하임 (라인)역|뤼데스하임]] - [[로어흐역|로어흐]] - [[로어흐하우젠역|로어흐하우젠]] - [[카우프역|카우프]] - 코블렌츠 - [[노이비트역|노이비트]]
| 1시간 간격
| 1시간 간격
| 466
| 466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64&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64&nbsp;</span>
|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바벤하우젠 역|바벤하우젠]]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역|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오덴발트) 역|에어바흐]])
|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바벤하우젠역|바벤하우젠]]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역|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오덴발트)역|에어바흐]])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rowspan="2" | 641
| rowspan="2" | 641
|-
|-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65&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006f35; color: white;">&nbsp;SE 65&nbsp;</span>
|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북역]] - [[라인하임 (오덴발트) 역|라인하임]]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북역]] - [[라인하임 (오덴발트)역|라인하임]]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
! DB Regio Südwest<br />Vlexx
! DB Regio Südwest<br />Vlexx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8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80&nbsp;</span>
| <div>'''마인-나헤 급행''' / ''RMV'' '''RE 80''' = ZSPNV Süd '''RE 2''', '''RE 3'''<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2&nbsp;</span>''':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빙겐 중앙역|빙겐]] - [[보파르트 중앙역|보파르트]] - 코블렌츠 (- 자르브뤼켄)<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nbsp;</span>''':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 [[바트 크로이츠나흐 역|바트 크로이츠나흐]] - [[키른 역|키른]] - [[이다어-오버슈타인 역|이다어-오버슈타인]] - [[튀르키스뮐레 역|튀르키스뮐레]] - 자르브뤼켄</div>
| <div>'''마인-나헤 급행''' / ''RMV'' '''RE 80''' = ZSPNV Süd '''RE 2''', '''RE 3'''<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2&nbsp;</span>''':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빙겐 중앙역|빙겐]] - [[보파르트 중앙역|보파르트]] - 코블렌츠 (- 자르브뤼켄)<br />'''<span style="background-color: #e90014; color: white;">&nbsp;RE 3&nbsp;</span>''':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 [[바트 크로이츠나흐역|바트 크로이츠나흐]] - [[키른역|키른]] - [[이다어-오버슈타인역|이다어-오버슈타인]] - [[튀르키스뮐레역|튀르키스뮐레]] - 자르브뤼켄</div>
| 2시간 간격
| 2시간 간격
| 471<br />620
| 471<br />620
379번째 줄: 383번째 줄: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0480b7 0%, #0480b7 50%, #ff0000 50%, #ff0000 1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1|<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1 (KBS 645.1)</span>]] · [[라인-마인 S2|<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2 (KBS 645.2)</span>]]}}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0480b7 0%, #0480b7 50%, #ff0000 50%, #ff0000 1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1|<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1 (KBS 645.1)</span>]] · [[라인-마인 S2|<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2 (KBS 645.2)</span>]]}}
{{경유 계통|전역폭=18em|전방면=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 역|니데른하우젠]]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그리스하임 역|그리스하임]]|전거리=4.5 km
{{경유 계통|전방면=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역|니데른하우젠]]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그리스하임역|그리스하임]]|전거리=4.5 km
|당역폭=18em|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후역폭=18em|후방면=[[뢰더마르크-오버로덴 역|뢰더마르크]] · [[디첸바흐 역|디첸바흐]]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타우누스안라게 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후방면=[[뢰더마르크-오버로덴역|뢰더마르크]] · [[디첸바흐역|디첸바흐]] 방면|후역=[[프랑크푸르트 타우누스안라게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019377 0%, #019377 25%, #ffcc00 25%, #ffcc00 50%, #7f3107 50%, #7f3107 75%, #f47922 75%, #f47922 100%)|style=text-shadow: 2px 0 0 #000, -2px 0 0 #000, 0 2px 0 #000, 0 -2px 0 #000, 1px 1px #000, -1px -1px 0 #000, 1px -1px 0 #000, -1px 1px 0 #0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라인-마인 S3|<span style="color: white;">S3</span>]] · [[라인-마인 S4|<span style="color: white;">S4</span>]] · [[라인-마인 S5|<span style="color: white;">S5</span>]] · [[라인-마인 S6|<span style="color: white;">S6</span>]] (KBS 645.3-6)}}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019377 0%, #019377 25%, #ffcc00 25%, #ffcc00 50%, #7f3107 50%, #7f3107 75%, #f47922 75%, #f47922 100%)|style=text-shadow: 2px 0 0 #000, -2px 0 0 #000, 0 2px 0 #000, 0 -2px 0 #000, 1px 1px #000, -1px -1px 0 #000, 1px -1px 0 #000, -1px 1px 0 #0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3|<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3</span>]] · [[라인-마인 S4|<span style="color: white;">S4</span>]] · [[라인-마인 S5|<span style="color: white;">S5</span>]] · [[라인-마인 S6|<span style="color: white;">S6</span>]] (KBS 645.3-6)}}
{{경유 계통|전방면=[[프랑크푸르트 서역|서역]]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 역|갈루스바르테]]|전거리=1.6 km
{{경유 계통|전방면=[[프랑크푸르트 서역|서역]]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 갈루스바르테역|갈루스바르테]]|전거리=1.6 km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후방면=[[프랑크푸르트 남역|남역]] 방면|후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후방면=[[프랑크푸르트 남역|남역]] 방면|후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01220e|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7 (KBS 645.7)</span>|링크=라인-마인 S7}}
{{경유 계통/계통|배경색=#01220e|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7|라인-마인 S7 (KBS 645.7)</span>]]}}
{{경유 계통|전방면=[[리트슈타트-고델라우 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경유 계통|전방면=[[리트슈타트-고델라우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방면|전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후역=(시 · 종착역)}}
|후방면=|후역=}}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7fc31c 0%, #7fc31c 50%, #81017e 50%, #81017e 1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8|<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8 (KBS 645.8)</span>]] · [[라인-마인 S9|<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9 (KBS 645.9)</span>]]}}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7fc31c 0%, #7fc31c 50%, #81017e 50%, #81017e 100%)|글자색=white|계통=[[라인-마인 S8|<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8 (KBS 645.8)</span>]] · [[라인-마인 S9|<span style="color: white;">라인-마인 S9 (KBS 645.9)</span>]]}}
{{경유 계통|전방면=비스바덴 방면|전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경유 계통|전방면=비스바덴 방면|전역=니더라트|전거리=4.3 km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당역='''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후방면=[[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후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후방면=[[하나우 중앙역|하나우]] 방면|후역=타우누스안라게|후거리=0.8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e03181|글자색=white|계통=프랑크푸르트 U4|링크=프랑크푸르트 U4}}
{{경유 계통/계통|배경색=#e03181|글자색=white|계통=[[프랑크푸르트 U4]]}}
{{경유 계통|전방면=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전역=페스트할레/전시장|전거리=0.70 km
{{경유 계통|전방면=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전역=페스트할레/전시장|전거리=0.70 km
|당역='''중앙역'''
|당역='''중앙역'''
|후방면=엥크하임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후방면=엥크하임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005f24|글자색=white|계통=프랑크푸르트 U5|링크=프랑크푸르트 U5}}
{{경유 계통/계통|배경색=#005f24|글자색=white|계통=[[프랑크푸르트 U5]]}}
{{경유 계통|전역=(시 · 종착역)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당역='''중앙역'''
|당역='''중앙역'''
|후방면=프로잉게스하임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후방면=프로잉게스하임 방면|후역=빌리-브란트 광장|후거리=0.95 km}}
406번째 줄: 410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독일의 철도역]]
[[분류:독일의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50.106944|8.6625|10|프랑크푸르트 중앙역}}

2023년 9월 14일 (목) 12:24 기준 최신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역사 전면
주소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반호프스피어텔 구 Am Hauptbahnhof중앙역앞 1
노선 마인선 37.5 km
하나우-프랑크푸르트선 0.0 km
타우누스 철도선 0.0 km
마인-네카어 철도선 0.0 km
마인-란 선 0.0 km
마인-베저 선 199.8 km
홈부르크 선 0.0 km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50.0 km
관할 DB Netz
개업일 1888년 8월 18일
코드 FF (지상)
FFT (지하 S반)
승강장 25면 24선 (지상, 실제 사용은 13면)
2면 4선 (지하)
참고 RMV 5000

독일의 주요 도시이자 유럽 경제의 중심지라고 부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의 중앙역. 도시 자체가 인구에 비해 규모가 크고 각종 기관과 회사들의 중심지로서 기능하며, 독일의 사실상 가장 큰 관문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이 지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독일 내에서는 가장 이용객이 많은 철도역이다. 이용객의 규모 뿐만 아니라 역사 자체도 거대해서 지상에만 24선이 있고, 지하에 광역철도(S반)용 4선과 지하철(U반)용 4선이 추가로 있다.

중앙역이 생기게 된 배경은 원래 철도 개발 역사를 되짚어 보면 된다. 처음에 프랑크푸르트에 들어오던 철도는 3개 노선이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마인 강 북쪽으로 강을 건너지 않고 비스바덴까지 연결되는 타우누스 철도의 타우누스 역이었고,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라인 강 동쪽 내륙 쪽을 지나며 다름슈타트, 하이델베르크, 만하임까지를 잇는 마인-네카어 철도선의 마인-네카어 역, 마지막 다른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에서 프리트베르크(닛다 강), 기센(란 강)을 경유 카셀까지 이어지는 마인-베저 선의 마인-베저 역[1]이 있었다. 하지만 역이 너무 따로 떨어져 있어[2] 증가하는 이용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고, 또 도시 미관이나 도시 교통망 정비 차원에서도 역을 외곽에 위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맞물려, 1866년에 역을 하나로 통합 이설하려는 계획이 세워지게 된다. 처음 계획은 34개 승강장을 가진 초대형 역이었다고 하나, 너무 낭비가 심하다는 의견이 많아 반 정도인 18개로 줄어들었다. 새로 세워지는 역 위치는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 km 정도 떨어진 마인 강변이었다. 당시만해도 시가지에서 꽤 떨어진 것으로 보이나, 지금 기준으로는 사실상 중앙역도 시가지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1924년에 지상 6개선을 추가했고, 1978년에는 U반과 S반역이 생기게 되며 현재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지상 입구로 들어가면 메인 홀이 있고,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두단식 승강장 끝단이 쭉 뻗으며 승강장 홀이 나온다. 원래는 각 선마다 하나씩 승강장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효율성이 안 좋은 관계로 몇몇 승강장들은 고상화하지 않은 채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작업자 전용)으로 두고 있으며, 실제로 승하차가 가능한 승강장은 약 반 정도다. 몇몇 승강장은 꾸준히 개장 공사 중(특히 유로스타 관련으로)이니 승강장을 잘 찾아보고 가야 한다. 지상 승강장은 일단 방향별로 열차가 나가긴 하지만 완벽한 규칙성은 없다. 그때 그 때마다 시각표와 전광판을 확인하고 찾아가야 한다.

지상의 두단식 승강장과는 별개로, 승강장 홀과 메인 홀에서 각각 지하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다. 그쪽으로 들어가면 지하 S반역이 나오는데 생각보다 꽤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은 지상역에서 나와서 보이는 노면전차 승강장이 위치한 도로(Am Hauptbahnhof 거리)의 지하에 있으며, 지하로도 연결되어 있다.

지하 S반 역의 경우  S7 을 제외한 모든 프랑크푸르트 S반이 이용하고 있다.  S7 은 최근에 생겨난 계통이고, RB 열차를 전환한 계통이다보니 현재는 지상역 발착이다. 하지만 프랑크푸르트와 하나우 등이 추진하고 있는 북부 마인 선 S반화 계획으로 노르트마인 선이 2016~2017년경까지 성공적으로 전철화, S반화되면  S7 도 지하역을 이용하게 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주말이 되면 S반 편수가 많이 줄어드는데,  S8 ,  S9 은 공항으로의 연결 열차기 때문에 주말이나 출퇴근 시간 등 편수가 부족하기 쉬운 시간대에는 편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상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배정된다. 이외에도 몇몇 S반이 주박역으로서 지상역을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지상역은 기본적으로 약간의 규칙성은 있으나 확실히 정해진 방향성은 없다. 각 열차의 시각표와 전광판, 안내방송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지하역 발착 S반의 경우는 배선상 방향이 고정되어 있다.

지하 S반 승강장 (북쪽부터)
101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S3  ·  S4  ·  S5  ·  S6  도심 · 남역 · 랑겐 · 다름슈타트 방면
102 3681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동행  S1  ·  S2  ·  S8  ·  S9  오펜바흐 · 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첸바흐 · 하나우 방면
103 3520 마인선 서행  S8  ·  S9  공항 근거리역 · 마인츠 · 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방면
3610 마인-란선 북행  S1  ·  S2  회히스트 · 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 방면
104 3611 홈부르크선 북행
3900 마인-베저선 북행
 S3  ·  S4  서역 · 에쉬보른 · 바트 조덴 · 크론베르크 방면
 S5  ·  S6  서역 · 바트 홈부르크 · 바트 필벨 · 프리트베르크 방면

지하철[편집 | 원본 편집]

중앙역
HAUPTBAHNHOF
주소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반호프스피어텔 구 Am Hauptbahnhof중앙역앞 1
노선 지하철 B선 7.75 km
지하철 D선 10.00 km
관할 VGF
개업일 1978년 5월 28일
코드 HB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
참고 RMV 5000

지하철 승강장은 쌍섬식 2면 4선식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분기선이 아직 완성되지 않아, 실제로 사용하는 상강장은 2면 3선뿐이다. 향후  U5 가 연장되면 2면 4선을 온전히 사용하게 될 예정.

지하역의 기면은 다소 높은 편으로, 역사 전후로는 가파른 경사가 져있다. 경사 상에  U5 의 회차선이 위치하고 있긴 한데, 큰 문제는 없는 듯하다.


지하 U반 승강장 (번호 없음, 서쪽부터)
  지하철 B선 동행 (예정: D선 남행)  U4  돔/뢰머 ・ 콘스타블러바헤 ・ 엥크하임 방면
  지하철 B선 동행  U5  돔/뢰머 ・ 콘스타블러바헤 ・ 프로잉게스하임 방면
  지하철 D선 북행 (예정: B선 서행)  U4  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
 U5  당역 종착
  (예정: D선 북행)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독일철도 (DB)
마인츠 방면
니더라트 4.3 km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종점)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하나우 방면
프랑크푸르트 남역 4.4 km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하이델베르크 방면
루이자 3.7 km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비스바덴 방면
회흐스트 9.3 km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림부르크 (란) 방면
그리스하임 4.5 km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프리트리히스도르프 방면
갈루스바르테 1.6 km
(기점)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타우누스안라게 0.8 km
카셀 방면
갈루스바르테 1.6 km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Main) Hauptbahnhof
(종점)
VGF
(기점) 중앙역
HAUPTBAHNHOF
콘스타블러바헤 방면
빌리-브란트 광장 0.95 km
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
페스트할레/전시장 0.70 km
중앙역
HAUPTBAHNHOF
(종점)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경유 열차 목록
종별 경유지 운행 편수 시각표 번호(KBS)
DB
Fern-
verkehr 등
ICE 3
ICE-Sprinter
오전: 다름슈타트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슈판다우 - 중앙역 - 동역)
오후: 프랑크푸르트 - 하노버 - 베를린(슈판다우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1일 2회 -
ICE 4
ICE-Sprinter
함부르크(알토나 - 담토어 - 중앙역) - 하노버 -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1일 1회
ICE 11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2시간 간격
ICE 12 베를린 동역 - 힐데스하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 인터라켄 동역) 2시간 간격
ICE 15
ICE-Sprinter
프랑크푸르트 - 에어푸르트 - 할레 - 베를린(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1일 6회
ICE 20 ( - ) 함부르크 - 하노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 취리히) 2시간 간격
ICE 22 (킬 - ) 함부르크 - 하노버 - 카셀-빌헬름스회에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2시간 간격
ICE 31
IC 31
(킬 - ) 함부르크 - 오스나브뤼크 - 도르트문트 - 뒤스부르크 - 쾰른 - 코블렌츠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프라이부르크 - 바젤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 뮌헨
2시간 간격
ICE 41 (도르트문트 -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 아샤펜부르크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뮌헨 1시간 간격
ICE 49 쾰른 - 지크부르크/본 - 몬타바우어 - 림부르크 남역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부정기 운행
ICE 50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에어푸르트 - 아이제나흐 - 풀다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비스바덴 2시간 간격
IC 26 슈트랄준트 - 함부르크 - 카셀-빌헬름스회에 - 기센 - 프랑크푸르트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2시간 간격
DB
SNCF
NS
SBB
ÖBB 등
ICE 78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아른험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2시간 간격
ICE 79 브뤼셀 남역 - 리에쥬-기유망 - 아헨 - 쾰른 - 프랑크푸르트(공항 - 중앙역) 4시간 간격
ICE 82
TGV 82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이저스라우테른 - 자르브뤼켄 - 파리 동역 4시간 간격
TGV 84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바덴-바덴 - 스트라스부르 - 벨포르-몽벨리아르 - 베상송-프랑셰콩테 - 샬론쉬르사온 - 리옹-파르디외 - 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생샤를 부정기 운행
ICE 91 (도르트문트 - 쾰른 - 코블렌츠 - ) 프랑크푸르트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레겐스부르크 - 파사우 - 린츠 - 2시간 간격
IC 62
EC 62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하이델베르크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 잘츠부르크 - (린츠 · 그라츠 · 필라흐 - 클라겐푸르트) 2시간 간격
IC 87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취리히 부정기 운행
ÖBB Railjet RJ 63/66: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뮌헨 - 잘츠부르크 - 린츠 - 빈 - 죄르 - 부다페스트 동역 주말 운행[3]
DB Regio Hessen  RE 30  마인-베저 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 키르히하인 - 노이슈타트 - 트레이자 - 바베른 - 카셀 2시간 간격 630
620
 SE 30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마부르크 - 쾰베 - 키르히하인 - 슈타트알렌도르프 - 노이슈타트 - 트레이자 1시간 간격
 SE 34  니더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필벨 - 니더라우 - 글라우부르크-슈토크하임 1시간 간격 634
 SE 40  중앙 헤센 급행: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부츠바흐 - 기센 - 베츨라어 - 헤어보른 - 딜렌부르크 1시간 간격 630
445
 RE 50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 - 슐뤼히테른 - 플리덴 - 풀다 1시간 간격 615
 SE 50  킨치히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랑겐젤볼트 - 겔른하우젠 - 배히터스바흐 1시간 간격
 RE 55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동역) - 하나우 - - 아샤펜부르크 - 게뮌덴 (마인)역 - 뷔르츠부르크 1시간 간격 640
 RB 55  마인 북안선 · 마인-슈페사르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동역) - 마인탈 동역 - 하나우 - 그로스크로첸부르크 - 칼 - 아샤펜부르크 2시간 간격
 RE 60  마인-네카어 철도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벤스하임 - 헤펜하임 - 바인하임 - 만하임 2시간 간격 650
 SE 60  마인-네카어 철도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벤스하임 - 헤펜하임 - 바인하임 - 하이델베르크 1시간 간격
 SE 61  드라이아이히 선: 프랑크푸르트 - 드라이아이히-부흐슐라크 - 뢰더마르크-오버로덴 - 디부르크 30분 간격 647
 RE 70  리트 선: 프랑크푸르트 - 리트슈타트-고델라우 - 게른스하임 - 비블리스 - 만하임 1시간 간격 655
DB Regio Hessen
HLB
 RE 20  마인-란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니데른하우젠 - 림부르크 2시간 간격 627
 SE 20  1시간 간격
 RE 32  호를로프 계곡선: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바이엔하임 - 니다 1시간 간격 632
HLB  SE 12  쾨니히슈타인 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리더바흐 - 켈크하임 - 쾨니히슈타인 30분 간격 646
 SE 15  상부 타우누스 선: 프랑크푸르트 - 바트 홈부르크 - 프리트리히스도르프 - 우징겐 - 그래펜비스바흐 - 브란트오베른도르프 30분 간격 637
 RE 40 
마인-지크 급행 / RMV RE 40 = VRS RE 98, RE 99
 RE 98 :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마부르크 - 트레이자 - 바베른 - 카셀
 RE 99 : 프랑크푸르트 - 프리트베르크 - 기센 - 베츨라어 - 헤어브론 - 딜렌부르크 - 하이거 - 지겐
2시간 간격 630
445
620
VIAS  SE 10  타우누스 철도선 · 라인 우안선: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회흐스트) - 마인츠-카스텔 - 비스바덴 - 엘트필레 - 뤼데스하임 - 로어흐 - 로어흐하우젠 - 카우프 - 코블렌츠 - 노이비트 1시간 간격 466
 RE 64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하나우 - 바벤하우젠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2시간 간격 641
 SE 65  오덴발트 선: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북역 - 라인하임 -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 - 에어바흐 2시간 간격
DB Regio Südwest
Vlexx
 RE 80 
마인-나헤 급행 / RMV RE 80 = ZSPNV Süd RE 2, RE 3
 RE 2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 빙겐 - 보파르트 - 코블렌츠 (- 자르브뤼켄)
 RE 3 : 프랑크푸르트(중앙역 - 공항) - 마인츠 - 바트 크로이츠나흐 - 키른 - 이다어-오버슈타인 - 튀르키스뮐레 - 자르브뤼켄
2시간 간격 471
620

근교 계통[편집 | 원본 편집]

라인-마인 S1 (KBS 645.1) · 라인-마인 S2 (KBS 645.2)
비스바덴 · 니데른하우젠 방면
그리스하임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뢰더마르크 · 디첸바흐 방면
타우누스안라게
라인-마인 S3 · S4 · S5 · S6 (KBS 645.3-6)
서역 방면
갈루스바르테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남역 방면
타우누스안라게
라인-마인 S7 (KBS 645.7)
리트슈타트-고델라우 방면
니더라트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시·종착)
라인-마인 S8 (KBS 645.8) · 라인-마인 S9 (KBS 645.9)
비스바덴 방면
니더라트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하나우 방면
타우누스안라게
프랑크푸르트 U4
보켄하이머바르테 방면
페스트할레/전시장
중앙역 엥크하임 방면
빌리-브란트 광장
프랑크푸르트 U5
(시·종착) 중앙역 프로잉게스하임 방면
빌리-브란트 광장

각주

  1. 마인-베저 역은 개통 후에 홈부르크 철도도 들어오게 되면서 공동 사용역이 되었다.
  2. 대충 역의 위치는 현재의 빌리 브란트 광장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거의 도심 한복판.
  3. RJ 66이 금, 토 운행, RJ 63이 토, 일 운행이다. 주말 직전에 열차를 연장해 주말에 되돌려 보내는 형태로, 한국에서는 부산 - 강릉 영동선 주말 열차에서 비슷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