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정체자'''(正體字, {{llang-영어|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는 간략화를 거치지 않고 전통적으로 써오던 [[한자]] 자체(字體)를 가리키는 말이다. '''전통 한자'''(傳統漢字)라고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제외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및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화교 커뮤니티들은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하고 있다.
'''정체자'''(正體字, {{영어|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는 간략화를 거치지 않고 전통적으로 써오던 [[한자]] 자체(字體)를 가리키는 말이다. '''전통 한자'''(傳統漢字)라고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제외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및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화교 커뮤니티들은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하고 있다.


== 여러 나라에서의 명칭 ==
== 여러 나라에서의 명칭 ==
[[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llang-중국어-tw|正體字|Zhèngtǐzì|주음=ㄓㄥˋㄊㄧˇㄗˋ}})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에선 전통적 한자 자체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높여 [[간화자]]를 만들고 기존 자체들은 상대적으로 번거롭다 하여 '''번체자'''({{llang-중국어|s=繁体字|t=繁體字|p=Fántǐzì}})라고 부른다.
[[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중국어|t=正體字|t2=Zhèngtǐzì}})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에선 전통적 한자 자체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높여 [[간화자]]를 만들고 기존 자체들은 상대적으로 번거롭다 하여 '''번체자'''({{중국어|繁体字|Fántǐzì}})라고 부른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llang-일본어|h=當用漢字|当用漢字}}/도요칸지) 또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llang-일본어|h=舊字體|旧字体}}/규지타이)라고 부른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일본어|当用漢字|h=當用漢字|도요칸지}}) 또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일본어|旧字体|h=舊字體|규지타이}}라고 부른다.


한자 문화권이 아닌 나라에서는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라고 한다.
한자 문화권이 아닌 나라에서는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라고 한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font-size:2em;"
|- style="font-size:2em;"
| {{lang-중국어|絲}} || 絲
| {{중국어=|絲}} || 絲
|-
|-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style="font-size:2em;"
|- style="font-size:2em;"
| {{lang-중국어|糸}} || 糸
| {{중국어=|糸}} || 糸
|-
|-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style="font-size:2em;"
|- style="font-size:2em;"
| {{lang-중국어|發}} || 發
| {{중국어=|發}} || 發
|-
|-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style="font-size:2em;"
|- style="font-size:2em;"
| {{lang-중국어|家}} || 家
| {{중국어=|家}} || 家
|-
|-
| 중국/대만 || 한국/일본
| 중국/대만 || 한국/일본
33번째 줄: 33번째 줄:
위처럼 중국-한국의 자체 대립쌍이 존재한다. 다만 역사적으로 한자 문화권 국가들은 여러 표기를 혼용했기 때문에 현대에만 한정된 얘기이다.
위처럼 중국-한국의 자체 대립쌍이 존재한다. 다만 역사적으로 한자 문화권 국가들은 여러 표기를 혼용했기 때문에 현대에만 한정된 얘기이다.


아래처럼 정체자끼리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 책받침(辶)
* 책받침(辶)
** {{크기|++|辶道選連}}: 한국, 중국(번체자)
** {{크기|++|辶道選連}}: 한국, 중국(번체자)
** {{크기|++|{{lang-일본어|⻌道選連}}}}: 일본, 중국(간체자)
** {{크기|++|{{일본어=|⻌道選連}}}}: 일본, 중국(간체자)
** {{크기|++|{{lang-중국어-tw|辶道選連}}}}: 대만, 홍콩
** {{크기|++|{{중국어 번체=|辶道選連}}}}: 대만, 홍콩
* 비 우(雨)
* 비 우(雨)
** {{크기|++|雨雷雪雲}}: 한국, 일본, 중국({{크기|++|{{lang-중국어|雲}}}})
** {{크기|++|雨雷雪雲}}: 한국, 일본, 중국({{크기|++|{{중국어=|雲}}}})
** {{크기|++|{{lang-중국어-tw|雨雷雪雲}}}}: 대만, 홍콩
** {{크기|++|{{중국어 번체=|雨雷雪雲}}}}: 대만, 홍콩
* 즐거울 락(樂)
* 즐거울 락(樂)
** {{크기|++|{{lang-중국어|樂}}}}: 중국
** {{크기|++|{{중국어=|樂}}}}: 중국
** {{크기|++|樂}}: 한국, 일본
** {{크기|++|樂}}: 한국, 일본
** {{크기|++|{{lang-중국어-tw|樂}}}}: 대만, 홍콩  
** {{크기|++|{{중국어 번체=|樂}}}}: 대만, 홍콩  
* 실 사(絲)
* 실 사(絲)
** {{크기|++|{{lang-중국어|絲}}}}: 중국, 대만, 홍콩
** {{크기|++|{{중국어=|絲}}}}: 중국, 대만, 홍콩
** {{크기|++|絲}}: 한국
** {{크기|++|絲}}: 한국


표의 <span style="background-color:#ddf;">파란색</span> 부분은 홍콩의 표준자체가 [[중화민국]]의 표준 자체와 다른 점이 기본적으로 없음을 나타낸다. 신자형은 중국 대륙에서 간화자(간체자)가 발표되기 이전에 나온 가벼운 간화 자체이다. 기기에 따라, 설치된 폰트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어 아래 표가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
표의 <span style="background-color:#ddf;">파란색</span> 부분은 홍콩의 표준자체가 [[중화민국]]의 표준 자체와 다른 점이 기본적으로 없음을 나타낸다. 신자형은 중국 대륙에서 간화자(간체자)가 발표되기 이전에 나온 가벼운 간화 자체이다. 기기에 따라, 설치된 폰트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어 아래 표가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 모바일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60%; margin:0 auto; text-align:center; font-size: x-large; font-family: Noto Serif CJK KR, serif;"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margin:0 auto; text-align:center; font-size: x-large; font-family: sans-serif;"
|- style="font-family: sans-serif; font-size:63%;"
|- style="font-family: sans-serif; font-size:63%;"
![[중화민국]]!![[홍콩]], [[마카오]]!!신자형(新字形)!![[간체자]]!![[한국]]!!일본[[구자체]]!!일본[[신자체]]
! colspan="4" |중화권 !! colspan="3" |비중화권
|- style="font-family: sans-serif; font-size:63%;"
! style="width:14%"| [[중화민국]]
! style="width:14%"| [[홍콩]]/[[마카오]]
! style="width:14%"| 신자형(중국)
! style="width:14%"| [[간체자]]
! style="width:14%"| [[한국]]
! style="width:14%"| 일본<br/>[[구자체]]
! style="width:14%"| 일본<br/>[[신자체]]
|-
|-
| lang="zh-tw"| 乘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乘 || lang="zh-cn"| 乘 || lang="zh-cn"| 乘 || lang="ko"| 乘 || lang="ja"|  乘 || lang="ja"| 乗
| lang="zh-tw" | 乘 || style="background-color:#ddf; width:5em;" lang="zh-hk"| 乘 || style="width:5em" lang="zh-cn" | 乘 || lang="zh-cn" style="width:5em" | 乘 || lang="ko" style="width:5em" | 乘 || lang="ja" style="width:5em" |  乘 || lang="ja" style="width:5em" | 乗
|-
|-
| lang="zh-tw"| 亞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亞 || lang="zh-cn"| 亞 || lang="zh-cn"| 亚 || lang="ko"| 亞 || lang="ja"|  亞 || lang="ja"|  亜
| lang="zh-tw"| 亞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亞 || lang="zh-cn"| 亞 || lang="zh-cn"| 亚 || lang="ko"| 亞 || lang="ja"|  亞 || lang="ja"|  亜
193번째 줄: 200번째 줄:
| lang="zh-tw"| 馬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馬 || lang="zh-cn"| 馬 || lang="zh-cn"| 马 || lang="ko"| 馬 || 馬 || 馬
| lang="zh-tw"| 馬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馬 || lang="zh-cn"| 馬 || lang="zh-cn"| 马 || lang="ko"| 馬 || 馬 || 馬
|-
|-
| lang="zh-tw"| 骨 || lang="zh-hk"| 骨 || lang="zh-cn"| 骨 || lang="zh-cn"| 骨 || lang="ko"| 骨 || 骨 || 骨
| lang="zh-tw"| 骨 || lang="ko"| 骨 || lang="zh-cn"| 骨 || lang="zh-cn"| 骨 || lang="ko"| 骨 || 骨 || 骨
|-
|-
| lang="zh-tw"| 體 || lang="zh-hk"| 體 || lang="zh-cn"| 體 || lang="zh-cn"| 体 || lang="ko"| 體 || 體 || 体
| lang="zh-tw"| 體 || lang="ko"| 體 || lang="zh-cn"| 體 || lang="zh-cn"| 体 || lang="ko"| 體 || 體 || 体
|-
|-
| lang="zh-tw"| 髮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髮 || lang="zh-cn"| 髮 || lang="zh-cn"| 发 || lang="ko"| 髮 || 髮 || 髪
| lang="zh-tw"| 髮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髮 || lang="zh-cn"| 髮 || lang="zh-cn"| 发 || lang="ko"| 髮 || 髮 || 髪

2022년 4월 2일 (토) 18:51 기준 최신판

정체자(正體字, 영어: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는 간략화를 거치지 않고 전통적으로 써오던 한자 자체(字體)를 가리키는 말이다. 전통 한자(傳統漢字)라고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제외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미국캐나다 등 해외의 화교 커뮤니티들은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하고 있다.

여러 나라에서의 명칭[편집 | 원본 편집]

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중국어: 正體字 Zhèngtǐzì)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에선 전통적 한자 자체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높여 간화자를 만들고 기존 자체들은 상대적으로 번거롭다 하여 번체자(중국어: 繁体字 Fántǐzì)라고 부른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일본어: 当用漢字 도요칸지, 구자체: 當用漢字) 또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일본어: 旧字体 규지타이, 구자체: 舊字體라고 부른다.

한자 문화권이 아닌 나라에서는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라고 한다.

지역별 차이[편집 | 원본 편집]

정체자도 형태가 여러가지이다.

정체자는 크게 중국식과 그 외로 나뉜다. 먼저 중국식 정체자가 있는데 중국 본토에서 쓰던 자체를 가리킨다. 대만/홍콩의 정체자는 더욱 전통적인 자체를 표준 자체로 하고 있고 나머지 베트남, 한국, 일본이다. 이 중 일본과 한국의 자형이 많이 비슷하다.

중국/대만 한국/일본
중국/대만 한국/일본
중국/대만 한국/일본
중국/대만 한국/일본

위처럼 중국-한국의 자체 대립쌍이 존재한다. 다만 역사적으로 한자 문화권 국가들은 여러 표기를 혼용했기 때문에 현대에만 한정된 얘기이다.

  • 책받침(辶)
    • 辶道選連: 한국, 중국(번체자)
    • ⻌道選連: 일본, 중국(간체자)
    • 辶道選連: 대만, 홍콩
  • 비 우(雨)
    • 雨雷雪雲: 한국, 일본, 중국()
    • 雨雷雪雲: 대만, 홍콩
  • 즐거울 락(樂)
    • : 중국
    • : 한국, 일본
    • : 대만, 홍콩
  • 실 사(絲)
    • : 중국, 대만, 홍콩
    • : 한국

표의 파란색 부분은 홍콩의 표준자체가 중화민국의 표준 자체와 다른 점이 기본적으로 없음을 나타낸다. 신자형은 중국 대륙에서 간화자(간체자)가 발표되기 이전에 나온 가벼운 간화 자체이다. 기기에 따라, 설치된 폰트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어 아래 표가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 모바일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중화권 비중화권
중화민국 홍콩/마카오 신자형(중국) 간체자 한국 일본
구자체
일본
신자체
广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정체자 문서 29262474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