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단위 수정)
잔글 (Pikabot(토론)의 편집을 Pik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9번째 줄: 9번째 줄: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선|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선|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선|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선|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 mm)의 [[표준궤]]로 정함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1897년]]
*[[1897년]]
**[[1월 15일]] : 궤간을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일한 5척(1524 mm)의 [[광궤]]로 개정
**[[1월 15일]] : 궤간을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일한 5척(1524mm)의 [[광궤]]로 개정
**[[3월 22일]] : [[경인선]] 공사 착공
**[[3월 22일]] : [[경인선]] 공사 착공
**[[5월 12일]] : 모스가 5만$의 교부금을 받고 경인선을 건설 후 경인철도인수조합(일본 자본)에 양도하기로 계약
**[[5월 12일]] : 모스가 5만$의 교부금을 받고 경인선을 건설 후 경인철도인수조합(일본 자본)에 양도하기로 계약
27번째 줄: 27번째 줄: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7월 8일]] : 한국정부{{ㅈ|대한제국정부를 의미}},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을 박기종이 창립한 대한철도회사에 특허
**[[7월 8일]] : 한국정부{{ㅈ|대한제국정부를 의미}},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을 박기종이 창립한 대한철도회사에 특허
**[[9월 18일]] : [[노량진역|노량진]]-[[인천역|인천]]간 33.8 km구간의 [[경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개시함.{{ㅈ|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증기기관차 4대, 객차 6량, 화차 28량, 7개역 119명의 직원으로 한국철도 운행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9월 18일]] : [[노량진역|노량진]]-[[인천역|인천]]간 33.8km구간의 [[경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개시함.{{ㅈ|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증기기관차 4대, 객차 6량, 화차 28량, 7개역 119명의 직원으로 한국철도 운행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00년대==
==1900년대==
51번째 줄: 51번째 줄:
**[[9월 14일]] :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함을 일본공사가 한국정부에 통지
**[[9월 14일]] :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함을 일본공사가 한국정부에 통지
*[[1905년]]
*[[1905년]]
**[[1월 1일]] : [[경부선]] 경성-초량간 전구간 운수영업 개시. 당시 노선 길이는 총 445.6 km였음
**[[1월 1일]] : [[경부선]] 경성-초량간 전구간 운수영업 개시. 당시 노선 길이는 총 445.6km였음
**[[1월 26일]] : [[경의선]] 평양-신의주간 궤도 부설 준공
**[[1월 26일]] : [[경의선]] 평양-신의주간 궤도 부설 준공
**[[2월 5일]] : [[경의선]] [[용산역|용산]]-[[개성역|개성]] 구간 개통
**[[2월 5일]] : [[경의선]] [[용산역|용산]]-[[개성역|개성]] 구간 개통
84번째 줄: 84번째 줄:
*[[1910년]]
*[[1910년]]
**[[10월 15일]] : [[용산역|용산]]-[[원산역|원산]]간 [[경원선]] 철도 기공식
**[[10월 15일]] : [[용산역|용산]]-[[원산역|원산]]간 [[경원선]] 철도 기공식
**[[10월 16일]] : [[평양역|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평남선]] 철도가 영업 개시(당시 영업거리 55.3 km)
**[[10월 16일]] : [[평양역|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평남선]] 철도가 영업 개시(당시 영업거리 55.3km)
*[[1911년]]
*[[1911년]]
**[[6월 1일]] : [[한강철교]] A선 준공
**[[6월 1일]] : [[한강철교]] A선 준공
115번째 줄: 115번째 줄:
**[[11월 1일]] : [[충북선]]의 [[조치원역|조치원]]-[[청주역|청주]]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
**[[11월 1일]] : [[충북선]]의 [[조치원역|조치원]]-[[청주역|청주]]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
*[[1922년]]
*[[1922년]]
**[[7월 1일]]남조선 철도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개통, [[경전선]] [[송정리역|송정리]]-[[순천역|순천]]간 134.6 km 개통
**[[7월 1일]]남조선 철도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개통, [[경전선]] [[송정리역|송정리]]-[[순천역|순천]]간 134.6km 개통
*[[1923년]]
*[[1923년]]
**[[1월 1일]] : 남대문역을 [[서울역|경성역]]으로 개칭
**[[1월 1일]] : 남대문역을 [[서울역|경성역]]으로 개칭
**[[7월 1일]] :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14.9 km구간 개통
**[[7월 1일]] :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14.9km구간 개통
**[[12월 1일]] : [[경전선|경남선]]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간 70 km구간 개통
**[[12월 1일]] : [[경전선|경남선]]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간 70km구간 개통
*[[1924년]]
*[[1924년]]
**[[8월 1일]] : [[금강산선]] [[철원역|철원]]-[[김화역|김화]]간 28.6 km 개통
**[[8월 1일]] : [[금강산선]] [[철원역|철원]]-[[김화역|김화]]간 28.6km 개통
*[[1925년]]
*[[1925년]]
**[[4월 1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을 해제하고 조선총독부의 직접경영으로 전환, 동시에 산하에 철도국을 설치함. 직영 환원시 철도의 총 연장은 2,092 km였다.
**[[4월 1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을 해제하고 조선총독부의 직접경영으로 전환, 동시에 산하에 철도국을 설치함. 직영 환원시 철도의 총 연장은 2,092km였다.
**[[9월 30일]] : [[서울역|경성역]]의 역사 신축 준공. 이 역 건물은 현재의 서울역 구역사이다.
**[[9월 30일]] : [[서울역|경성역]]의 역사 신축 준공. 이 역 건물은 현재의 서울역 구역사이다.
**[[10월 15일]] : [[서울역|경성역]] 신축역사에서 영업개시
**[[10월 15일]] : [[서울역|경성역]] 신축역사에서 영업개시
151번째 줄: 151번째 줄: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바꿈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바꿈
*[[1939년]]
*[[1939년]]
**[[7월 25일]] : [[경춘선]] 성동-[[춘천역|춘천]]간 93.5 km구간 개통
**[[7월 25일]] : [[경춘선]] 성동-[[춘천역|춘천]]간 93.5km구간 개통


==1940년대==
==1940년대==
163번째 줄: 163번째 줄:
**[[8월 16일]] : 일본 집권층과 철도 업무 접수를 위한 한국 직원 간 대책협의. 당시 철도 종사원 79,000명 중 일본인 종사원은 23,000명이었다
**[[8월 16일]] : 일본 집권층과 철도 업무 접수를 위한 한국 직원 간 대책협의. 당시 철도 종사원 79,000명 중 일본인 종사원은 23,000명이었다
**[[9월 6일]] : 미 육군 해밀턴 중령이 군정청의 교통국장에 취임. 동년 12월 1일까지 재임한다
**[[9월 6일]] : 미 육군 해밀턴 중령이 군정청의 교통국장에 취임. 동년 12월 1일까지 재임한다
**[[10월 27일]] : 일본일 철도 종사원을 모두 사직시킴.{{ㅈ|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 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 km, 영업거리 2,642 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10월 27일]] : 일본일 철도 종사원을 모두 사직시킴.{{ㅈ|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1946년]]
*[[1946년]]
**[[1월 1일]] :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1월 1일]] :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5월 17일]] : 군정령 제75호에 따라 사설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를 국유철도에 합병하였다.{{ㅈ|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 km, [[협궤]]구간 125.3 km였다.}}
**[[5월 17일]] : 군정령 제75호에 따라 사설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를 국유철도에 합병하였다.{{ㅈ|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9월 23일]] : 철도총파업(10월 1일 해제)
**[[9월 23일]] : 철도총파업(10월 1일 해제)
*[[1947년]]
*[[1947년]]
183번째 줄: 183번째 줄:
**[[10월 8일]] : 부산-서울간 철도 완전개통으로 복귀, 철 열차 운행(112열차), 서울, 용산지구 철도기관 완전 수복
**[[10월 8일]] : 부산-서울간 철도 완전개통으로 복귀, 철 열차 운행(112열차), 서울, 용산지구 철도기관 완전 수복
*[[1951년]]
*[[1951년]]
**[[1월 4일]] ; 서울지구 중공군의 개입으로 완전 철수{{ㅈ|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 m(6%), 선로 329,480 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 m(12%), 노반 100,000 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1월 4일]] ; 서울지구 중공군의 개입으로 완전 철수{{ㅈ|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6월 12일]] [[한강철교]] A선 복구공사 준공
**[[6월 12일]] [[한강철교]] A선 복구공사 준공
*[[1952년]]
*[[1952년]]
195번째 줄: 195번째 줄:
**[[6월 1일]] : 동란 이후 UN군이 장악하고 있던 철도 운영권을 인수
**[[6월 1일]] : 동란 이후 UN군이 장악하고 있던 철도 운영권을 인수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이 당시 운행시간은 9시간 30분ㅇ 소요되었다.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이 당시 운행시간은 9시간 30분ㅇ 소요되었다.
**[[9월 15일]] : [[문경선]] [[점촌역|점촌]]-[[가은역|가은]]간 22.5 km개통
**[[9월 15일]] : [[문경선]] [[점촌역|점촌]]-[[가은역|가은]]간 22.5km개통
*[[1956년]]
*[[1956년]]
**[[1월 16일]] : [[영동선|영암선]] 전통식을 [[동점역]] 구내에서, [[태백선|영월선]] 개통식을 [[영월역]] 구내에서 시행
**[[1월 16일]] : [[영동선|영암선]] 전통식을 [[동점역]] 구내에서, [[태백선|영월선]] 개통식을 [[영월역]] 구내에서 시행
**[[6월 14일]] :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경기선을 [[안성선]]으로, 경전남부선을 [[경전선|진주선]]으로,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각 선 명칭 개정
**[[6월 14일]] :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경기선을 [[안성선]]으로, 경전남부선을 [[경전선|진주선]]으로,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각 선 명칭 개정
*[[1957년]]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 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날짜/출력|1969-6-28}}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날짜/출력|1969-6-28}}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216번째 줄: 216번째 줄: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1961년]]
*[[1961년]]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 km 개통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km 개통
*[[1962년]]
*[[1962년]]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223번째 줄: 223번째 줄:
*[[1963년]]
*[[1963년]]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 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 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 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234번째 줄: 234번째 줄: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966년]]
*[[1966년]]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 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 km가 개통됨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km가 개통됨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241번째 줄: 241번째 줄: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 km구간이 개통되었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km구간이 개통되었다.
*[[1967년]]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 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1968년]]
*[[1968년]]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 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257번째 줄: 257번째 줄: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역|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 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역|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 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1970년대==
==1970년대==
271번째 줄: 271번째 줄:
**[[2월 25일]] : 서울 시내 철도 안내전화를 "칙칙폭폭"에서 딴 7788번으로 설치. 당시 전화번호는 42-7788, 22-7788, 93-7788번이었다.
**[[2월 25일]] : 서울 시내 철도 안내전화를 "칙칙폭폭"에서 딴 7788번으로 설치. 당시 전화번호는 42-7788, 22-7788, 93-7788번이었다.
**[[3월 17일]] :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최초의 [[전기기관차]]인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당시 도입 물량은 66량.
**[[3월 17일]] :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최초의 [[전기기관차]]인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당시 도입 물량은 66량.
**[[3월 31일]] : [[협궤]]인 [[수려선]] 73.4 km구간이 폐선되었다.
**[[3월 31일]] : [[협궤]]인 [[수려선]] 73.4km구간이 폐선되었다.
**[[9월 18일]] : 국제규격의 컨테이너 화물수송이 시작되었다.
**[[9월 18일]] : 국제규격의 컨테이너 화물수송이 시작되었다.
*[[1973년]]
*[[1973년]]
**[[2월 28일]] : [[태백선]] 구간의 [[정암터널]] 4,505 m가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관통됨. 정암터널은 국내 기술로 개통한 최초의 장대터널이다.
**[[2월 28일]] : [[태백선]] 구간의 [[정암터널]] 4,505m가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관통됨. 정암터널은 국내 기술로 개통한 최초의 장대터널이다.
**[[6월 20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제천역|제천]]간 155.2 km가 전철화 개통됨.
**[[6월 20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제천역|제천]]간 155.2km가 전철화 개통됨.
*[[1974년]]
*[[1974년]]
**[[1월 23일]] : 100만km {{ㅊ|고지달성}}무사고 첫 주파자 탄생.(이동진 기관사)
**[[1월 23일]] : 100만km {{ㅊ|고지달성}}무사고 첫 주파자 탄생.(이동진 기관사)
285번째 줄: 285번째 줄:
**[[4월 4일]] : 철도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
**[[4월 4일]] : 철도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
**[[10월 1일]] : [[노량진역]]에 철도시발기념비가 제막되었다.
**[[10월 1일]] : [[노량진역]]에 철도시발기념비가 제막되었다.
**[[12월 5일]] : [[동해역|북평역]]에서 산업선 전철{{ㅈ|[[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 km}}의 전통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날 [[태백선]] [[고한역|고한]]-[[백산역|백산]] 및 [[영동선]] [[철암역|철암]]-[[동해역|북평]]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2월 5일]] : [[동해역|북평역]]에서 산업선 전철{{ㅈ|[[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의 전통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날 [[태백선]] [[고한역|고한]]-[[백산역|백산]] 및 [[영동선]] [[철암역|철암]]-[[동해역|북평]]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7년]]
*[[1977년]]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313번째 줄: 313번째 줄:
**[[6월 11일]] : 새마을호 승차권 검표제 폐지
**[[6월 11일]] : 새마을호 승차권 검표제 폐지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범내골역|범내골]]-[[범어사역|범어사]])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범내골역|범내골]]-[[범어사역|범어사]])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역|이리]]-[[정읍역|정주]간 43.9 km 개통식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역|이리]]-[[정읍역|정주]간 43.9km 개통식
*[[1986년]]
*[[1986년]]
**[[2월]] : [[철도고등학교]] 폐교
**[[2월]] : [[철도고등학교]] 폐교
**[[9월 2일]] : [[경원선]] 복선전철 [[광운대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간 13.1 km 개통
**[[9월 2일]] : [[경원선]] 복선전철 [[광운대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간 13.1km 개통
*[[1988년]]
*[[1988년]]
**[[1월 26일]] : [[철도박물관]] 개관
**[[1월 26일]] : [[철도박물관]] 개관
335번째 줄: 335번째 줄:
**[[11월 23일]] : [[경인선]] 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역|영등포]]-[[구로역|구로]]간 3복선 개통식 거행
**[[11월 23일]] : [[경인선]] 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역|영등포]]-[[구로역|구로]]간 3복선 개통식 거행
*[[1992년]]
*[[1992년]]
**[[6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천안-대전간 57.8 km) 착공
**[[6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천안-대전간 57.8km) 착공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7월 10일]] : [[경부선]] CTC전통
**[[7월 10일]] : [[경부선]] CTC전통
345번째 줄: 345번째 줄:
*[[1994년]]
*[[1994년]]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 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3일]] : 중국산 [[증기기관차]] SY-11호 텐더형 도입
**[[8월 3일]] : 중국산 [[증기기관차]] SY-11호 텐더형 도입
**[[8월 21일]] : 주말관광열차로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교외선]] [[서울역|서울]]-[[의정부역|의정부]]간 48.3 km구간을 [[무궁화호]] 객차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재개됨
**[[8월 21일]] : 주말관광열차로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교외선]] [[서울역|서울]]-[[의정부역|의정부]]간 48.3km구간을 [[무궁화호]] 객차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재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995년]]
*[[1995년]]
356번째 줄: 356번째 줄: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996년]]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복선전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간 19.2 km 개통
**[[1월 30일]] : [[일산선]] 복선전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간 19.2km 개통
**[[2월 27일]] : 드라마 [[모래시계]]의 인기에 힘입어 [[정동진역]]에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되었다.
**[[2월 27일]] : 드라마 [[모래시계]]의 인기에 힘입어 [[정동진역]]에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되었다.
*[[1997년]]
*[[1997년]]
**[[3월 13일]] : 탄력운임제 실시
**[[3월 13일]] : 탄력운임제 실시
**[[3월 28일]] : [[영동선]] [[영주역|영주]]-[[철암역|철암]]간 87 km구간의 전철화 개통 완료
**[[3월 28일]] : [[영동선]] [[영주역|영주]]-[[철암역|철암]]간 87km구간의 전철화 개통 완료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 km 개통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km 개통
*[[1998년]]
*[[1998년]]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426번째 줄: 426번째 줄: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 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 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2005년]]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 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436번째 줄: 436번째 줄: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 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446번째 줄: 446번째 줄: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 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2007년]]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 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 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7월 1일]]
**[[7월 1일]]
465번째 줄: 465번째 줄: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 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2009년]]
*[[2009년]]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2020년 9월 17일 (목) 13:41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틀:날짜/출력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경의선 문산-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19.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20. [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
  21.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
  22.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

틀: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