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언어 정보
{{언어 정보
|이름=중국어
|이름     = 중국어
|계통색=중국티베트
|원어이름 = {{중국어=|汉语}} / {{중국어 번체=|漢語}}
|자기이름={{lang-중국어|汉语, 中文}}
|그림    = [[파일:New-Map-Sinophone World.PNG]]
|IPA=[xan˥˩.yˑ˨˩˦], [ʈʂʊŋ˥.wən˧˥]
|그림설명 = 색이 진할수록 많은 사람이 쓴다는 뜻이다.
|나라=[[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등
|창작    =
|지역=[[동아시아]]
|지역    = [[중국]], [[대만]], [[싱가포르]]
|인구=약 12억 명
|사용인구 = 약 12억 명
|순위=1위
|공용어  = [[중국]], [[대만]], [[싱가포르]]
|어순=SVOanPa
|표준    =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 (중국) {{중국어=|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br />{{중국어 홍콩=|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 (홍콩)<br />{{중국어 홍콩=|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 (마카오)<br />{{중국어 번체=|教育部終身教育司}} (대만)<br />추광화어이사회 (싱가포르, {{중국어=|推广华语理事会}})<br />{{중국어=|华语规范理事会}} (말레이시아)
|문자=[[한자]]([[정체자]], [[간체자]])
|문자    = [[한자]]([[정체자]], [[간체자]])
|계통1=[[중국티베트어족]]
|언어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공용나라={{나라나라|중화인민공화국}}<br />{{나라나라|홍콩}}<br />{{나라나라|마카오}}<br />{{나라나라|중화민국}}<br />{{나라나라|싱가포르}}<br />{{나라나라|유엔}}<br />[[상하이 협력 기구]]<br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중국어파]]
|표준=[[중화인민공화국]]: [https://web.archive.org/web/20151218080430/http://www.china-language.gov.cn/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lang-중국어|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br />[[홍콩]]: [https://scolarhk.edb.hkedcity.net/tc/] {{lang-중국어|l=hk|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br />[[마카오]]:{{lang-중국어|l=mo|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br />[[중화민국]]: [http://depart.moe.edu.tw/ED2400/]{{lang-중국어-tw|教育部終身教育司}}<br />[[싱가포르]]: [http://www.mandarin.org.sg/ 추광화어이사회]{{lang-중국어|l=sg|推广华语理事会}}<br />[[말레이시아]]:{{lang-중국어|华语规范理事会|l=ma}}
:: [[중국어]]
|iso1=zh
|ISO-1    = zh
|iso2=chi
|ISO-2    = chi, zho
|iso3=zho
|ISO-3    = zho
|sil=CHN
|비고    =  
|지도=New-Map-Sinophone World.PNG
|지도 설명= 색이 진할수록 많은 사람이 쓴다는 뜻이다.
}}
}}
{{인용문|{{lang-중국어|[[리브레 위키|{{루비|利不勒维基|lìbúlèwéijī}}]]<ref>[https://bbs.librewiki.net/wiki/223628 참고]. 더 좋은 표기가 있으면 [[추가바람]].</ref>, {{루비|握着笔的所有手都应有权利|wò zhuó bǐ de suǒyǒu shǒu dōu yīngyǒu quánlì}}。}}|[[리브레 위키]], 펜을 쥔 모든 손에 권리를.}}
{{인용문|{{중국어=|[[리브레 위키|{{루비|利不勒维基|lìbúlèwéijī}}]] {{루비|握着笔的所有手都应有权利|wò zhuó bǐ de suǒyǒu shǒu dōu yīngyǒu quánlì}}。}}|[[리브레 위키]], 펜을 쥔 모든 손에 권리를.<ref>[https://bbs.librewiki.net/wiki/223628 참고]</ref>}}
{{중국어|s=汉语是用来自中国大陆和台湾的语言|t=漢語是用來自中國大陸和臺灣的語言}}


중국어(汉语, 中國語)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및 일부 다른 국가들과 [[유엔]] 모두 [[베이징]]의 [[자금성]] 내에서 쓰이던 방언에 기초한 [[표준중국어]]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중국어 교육에 사용한다. 여기서 [[홍콩]]은 예외. '''한어'''({{lang-중국어|漢語 Hànyǔ/ㄏㄢˋㄩˇ}}), '''화어'''({{lang-중국어|華語 Huáyǔ/ㄏㄨㄚˊㄩˇ}}), '''중문'''({{lang-중국어|中文 Zhōngwén/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어미 변화가 없고 단어의 배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고립어 (언어유형학)|고립어]]이다. 어순은 [[영어]]와 똑같은 SVO(주어-서술어-목적어) 형태이다.
중국어({{중국어=|汉语}}, {{중국어 번체=|中國語}})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및 일부 다른 국가들과 [[유엔]] 모두 [[베이징]]의 [[자금성]] 내에서 쓰이던 방언에 기초한 [[표준중국어]]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중국어 교육에 사용한다. 여기서 [[홍콩]]은 예외. '''한어'''({{중국어=|漢語|Hànyǔ/ㄏㄢˋㄩˇ}}), '''화어'''({{중국어=|華語|Huáyǔ/ㄏㄨㄚˊㄩˇ}}), '''중문'''({{중국어=|中文|Zhōngwén/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어미 변화가 없고 단어의 배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고립어 (언어유형학)|고립어]]이다. 어순은 [[영어]]와 똑같은 SVO(주어-서술어-목적어) 형태이다.


== 분류 ==
== 분류 ==
33번째 줄: 30번째 줄:


{{ㅊ|크롱크롱}}
{{ㅊ|크롱크롱}}
초기 상고한어에서는 파생 접사들이 발견되는데 한나라 이후 사라지게 된다.
초기 상고한어에서는 파생 접사들이 발견되는데 한나라 이후 사라지게 된다. 이후의 중국어와는 달리 성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순우리말인것 같지만 사실 외래어인 붓과 먹이 상고한어에서 온 말이다. 붓은 '筆'(필)의 상고한어 {{IPA|*p.[r]ut}}에서 유래되었고 먹은 墨(묵)의 상고한어 {{IPA|*C.mˤək}}에서 유래되었다.
순우리말인것 같지만 사실 외래어인 붓과 먹이 상고한어에서 온 말이다. 붓은 '筆'(bǐ, 필)의 상고한어 {{IPA|*p.[r]ut}}에서 유래되었고 먹은 墨(mò, 묵)의 상고한어 {{IPA|*C.mˤək}}에서 유래되었다.
 
상고한어는 자료가 비교적 부족하여 복원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 중고한어 ====
==== 중고한어 ====
남북조에서 [[송나라]]한어. 3세기부터 13세기까지이다. 남북조시대에서 당나라까지는 중고한어 [[송나라]]까지는 중세한어이다.
남북조시대에서 [[송나라]]까지의 한어. 3세기부터 13세기까지이다. 남북조시대에서 당나라까지는 중고한어 [[송나라]]까지는 중세한어이다.


{{유튜브|wUDYY_OAINo|||thumbleft|}}{{-}}
{{유튜브|wUDYY_OAINo|||thumbleft|}}{{-}}
중고 한어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은 비슷하다. 당시에 일본에도 한자가 전해지는 시기였는데 남북조시대엔 한반도와 일본으로 한자와 한자음이 전해져 일본어의 오음(吳音)이 형성되고 당나라 때의 한자음이 한음(漢音)으로 수용된다. 오음과 한국 한자음은 많이 닮아있다. 한음, 당음부터는 음운이 변동하면서 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좀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음이면 오음이고 이질적인 한자음이면 한음이다.
중고 한어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은 비슷하다. 당시에 일본에도 한자가 전해지는 시기였는데 남북조시대엔 한반도와 일본으로 한자와 한자음이 전해져 일본어의 오음(吳音)이 형성되고 당나라 때의 한자음이 한음(漢音)으로 수용된다. 오음의 원형<ref>최초의 오음. 오랜 시간이 지나 음운이 변동되어 현재는 많이 달라져 있다. 고대 일본어</ref>과 한국 한자음은 많이 닮아있다. 일본어에서 한음, 당음부터는 음운이 변동되면서 한국 한자음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좀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음이면 오음이고 이질적인 한자음이면 한음이다. 한음이 현재 일본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송나라 이후의 중국 한자음은 일본어에 당음(唐音)으로 전해진다.
 
중고한어는 현대 중국어에는 없는 t, k 종성이 나타난다. 이때 t으로 끝나는 한자음은 한국어에서 'ㄹ'(l)로 변동된다. 그리고 상고한어에서는 없었던 성조가 나타난다.


{{유튜브|OX047xj6HtQ|||thumbleft|}}{{-}}
{{유튜브|OX047xj6HtQ|||thumbleft|}}{{-}}
==== 민어(閩語) ====
고대 중국어에서 민어와 중고한어가 분리된다. 민어에는 민남어와 대만어 등이 있다.


==== 근대한어 ====
==== 근대한어 ====
54번째 줄: 58번째 줄:
[[파일:Map of sinitic languages-ko.svg|thumb|400px|중국어 방언]]
[[파일:Map of sinitic languages-ko.svg|thumb|400px|중국어 방언]]
중국어 [[방언]]의 특징은 입으로 이야기하였을 때 [[상호의사소통성|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방언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 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의식으로 묶는데에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중국어 [[방언]]의 특징은 입으로 이야기하였을 때 [[상호의사소통성|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방언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 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의식으로 묶는데에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 cmn — [[관화]]({{lang-중국어|l=hant|官話}}) 또는 북방화({{lang-중국어|l=hant|北方話}}):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 8억 명
# [[관화]](官話) 또는 북방화(北方話) - cmn: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 8억 명
## [[베이징어]] — ({{lang-중국어|l=hant|北京語}})
## [[베이징어]] — (北京語)
### '''[[표준 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의 공용어. 한국에서 중국어라는 말은 흔히 이것을 일컫는다.<ref>[[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시험지에도 표준 중국어로 문제를 출제한다.</ref>
### '''[[표준 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의 공용어. 한국에서 중국어라는 말은 흔히 이것을 일컫는다.<ref>[[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시험지에도 표준 중국어로 문제를 출제한다.</ref>
## cjy — [[진어]]({{lang-중국어|l=hant|晉語}}): [[산시성 (산서)|산시성]](山西省)에서.
## [[진어]](晉語) - cjy: [[산시성 (산서)|산시성]](山西省)에서.
## [[둥베이어]]({{lang-중국어|l=hant|東北話}}/{{lang-중국어|东北话}})
## [[둥베이어]](東北話)
# czh — [[후이어]](徽語): [[안후이성]](安徽省)에서.
# [[후이어]](徽語) - czh: [[안후이성]](安徽省)에서.
# [[민어 (언어)|민어]]({{lang-중국어|l=hant|閩語}}): [[푸젠성]]({{lang-중국어|l=hant|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 명
# [[민어 (언어)|민어]](閩語):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 명
## cdo — [[민둥어]](閩東語): 푸젠 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 [[민둥어]](閩東語) - cdo: 푸젠 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 cpx — [[푸셴어]]({{lang-중국어|l=hant|莆仙語}}): 푸젠 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lang-중국어|l=hant|仙遊縣}})에서.
## [[푸셴어]](莆仙語) - cpx: 푸젠 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仙遊縣)에서.
## czo — [[민중어]](閩中語): 푸젠 성 중앙에서.
## [[민중어]](閩中語) - czo: 푸젠 성 중앙에서.
## mnp — [[민베이어]]({{lang-중국어|l=hant|閩北語}}): 푸젠 성 북부에서.
## [[민베이어]](閩北語) - mnp: 푸젠 성 북부에서.
## nan — [[민난어]](閩南語): 푸젠 성 남부, [[광둥성]](廣東省) 동부, [[하이난성]](海南省) 및 [[타이완]]에서.
## [[민난어]](閩南語) - nan: 푸젠 성 남부, [[광둥성]](廣東省) 동부, [[하이난성]](海南省) 및 [[타이완]]에서.
### [[조주어]]({{lang-중국어|l=hant|潮州語}})
### [[조주어]](潮州語)
### [[하이난어]]({{lang-중국어|l=hant|海南語}})
### [[하이난어]](海南語)
### [[푸젠어]]({{lang-중국어|l=hant|福建話}}): 푸젠 성 남부, [[동남아시아]] 및 [[타이완]]에서.
### [[푸젠어]](福建話): 푸젠 성 남부, [[동남아시아]] 및 [[타이완]]에서.
#### [[장저우어]]({{lang-중국어|l=hant|漳州語}})
#### [[장저우어]](漳州語)
#### [[대만어]]({{lang-중국어|l=hant|臺灣語}}): [[타이완]]에서.
#### [[대만어]](臺灣語): [[타이완]]에서.
#### [[샤먼어]]({{lang-중국어|l=hant|廈門語}}): [[샤먼시]]에서.
#### [[샤먼어]](廈門語): [[샤먼시]]에서.
#### [[천주어]]({{lang-중국어|l=hant|泉州語}})
#### [[천주어]](泉州語)
# gan — [[간어]]({{lang-중국어|l=hant|贛語}}): [[장시성]](江西省)에서. - 2000만 명
# [[간어]](贛語) - gan: [[장시성]](江西省)에서. - 2000만 명
# hak — [[하카어]]({{lang-중국어|l=hant|客家語}}): 광둥성 북부와 해외의 중국인. - 3500만 명
# [[하카어]](客家語) - hak: 광둥성 북부와 해외의 중국인. - 3500만 명
# hsn — [[샹어]]({{lang-중국어|l=hant|湘語}}): [[후난성|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 [[샹어]](湘語) - hsn: [[후난성|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 wuu — [[우어]]({{lang-중국어|吳語}}):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 [[우어]](吳語) - wuu: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 yue — [[광둥어]]({{lang-중국어|粵語}}):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의 중국인. - 8000만 명
# 광둥어/월어(粵語) - yue: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의 중국인. - 8000만 명
# dng — [[둥간어]](東干語):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둥간어]](東干語) - dng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핑어]]({{lang-중국어|l=hant|平語}}) - [[좡족]].
# [[핑어]](平語) - [[좡족]].
# czh - [[후이어]]({{lang-중국어|l=hant|徽語}}) - [[우어]] 혹은 [[간어]]의 일부.
# [[후이어]](徽語) - czh - [[우어]] 혹은 [[간어]]의 일부.


== 문자 ==
== 문자 ==
86번째 줄: 90번째 줄:


== 음운 ==
== 음운 ==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음절소리의 고저의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ref>{{lang-일본어|松岡、2001}}</ref>.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음절소리의 고저의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ref>{{일본어=|松岡、2001}}</ref>.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 음평성(제1성) - 媽(mā; 어머니)
* 음평성(제1성) - 媽(mā; 어머니)
* 양평성(제2성) - 麻(má; 마)
* 양평성(제2성) - 麻(má; 마)
92번째 줄: 96번째 줄:
* 거성(제4성) - 罵(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 거성(제4성) - 罵(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 경성 - 嗎(ma; 의문조사)
* 경성 - 嗎(ma; 의문조사)
입성이란 것도 있는데 방언이나 고대, 중세 중국어에만 나타난다. 보통 한국어의 받침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 문법 ==
== 문법 ==
어형변화([[활용]])가 일어나지 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의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 (언어유형학)|고립어]]이다. 고립적인 특징을 가진 언어로서는 그 밖에 [[영어]] 등이 있다. 기본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이다. 하지만, 현대북방어나 문어에서는 {{lang-중국어|把}}나 {{lang-중국어|將}}, {{lang-중국어|以}}에 의한 목적격 표시 등이 있으며,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의 문장을 만들 수가 있으며, 게다가 [[교착어]]에 가까워져 있다.
어형변화([[활용]])가 일어나지 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의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 (언어유형학)|고립어]]이다. 고립적인 특징을 가진 언어로서는 그 밖에 [[영어]] 등이 있다. 기본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이다. 하지만, 현대북방어나 문어에서는 {{중국어=|把}}나 {{중국어=|將}}, {{중국어=|以}}에 의한 목적격 표시 등이 있으며,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의 문장을 만들 수가 있으며, 게다가 [[교착어]]에 가까워져 있다.


'''예'''
'''예'''
* 표준중국어의 문법: {{lang-중국어|我去图书馆看书。/ 我去圖書館看書。(Wŏ qù túshūguǎn kàn shū)}}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 {{중국어=|我去图书馆看书。}}/{{중국어 번체=|我去圖書館看書。}}
** [[상하이어]]의 문법: {{lang-중국어|我到图书馆看书去。/ 我到圖書館看書去。(ngu to dousucuoe choe su chi.)}}
*:Wŏ qù túshūguǎn kàn shū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는 동사에 붙으면 [[상 (언어학)|상]](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는 동사에 붙으면 [[상 (언어학)|상]](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lang-중국어|了}}(완료), {{lang-중국어|过/過}}(경험), {{lang-중국어|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중국어=|了}}(완료), {{중국어=|过/過}}(경험), {{중국어=|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 {{lang-중국어|昨天我'''去'''了电影院。/ 昨天我'''去'''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 {{중국어=|昨天我'''去'''了电影院。}}/{{중국어 번체=|昨天我'''去'''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또,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또,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예'''
'''예'''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lang-중국어|我(wŏ)}}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중국어=|我(wŏ)}}


* {{lang-중국어|'''我'''去过中国。/ '''我'''去過中國。}}([[주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중국어=|'''我'''去过中国。}}/{{중국어 번체=|'''我'''去過中國。}}([[주격]])
** 상하이어: {{lang-중국어|'''我'''到中国去过个。/ '''我'''到中國去過個。('''ngo''' to Tsoncué chicough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lang-중국어|我妈妈让'''我'''学习。/ 我媽媽讓'''我'''學習。}}([[목적격]]: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 {{중국어=|我妈妈让'''我'''学习。}}/{{중국어 번체=|我媽媽讓'''我'''學習。}}([[목적격]])
** 상하이어: {{lang-중국어|我个妈妈让'''我'''学习。/ 我個媽媽讓'''我'''學習。(ngoghé mama gnian '''ngo''' ghózí.)}}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
==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
142번째 줄: 151번째 줄:


== 중국어와 외래어 ==
== 중국어와 외래어 ==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 문자]]여서, [[표음 문자]]인 [[한글]]이나 [[로마자]]와 같이 외국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ref>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사용되는 언어의 수는 무려 57개나 된다.</ref>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고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나 [[롯데]]<ref>중국어로 롯데는 {{lang-중국어-tw|樂天}}이라고 쓰며 한국의 놀이공원인 [[롯데월드]]는 중국어로 {{lang-중국어-tw|樂天世界}}라고 쓴다.</ref> 등 외국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lang-중국어-tw|電腦}}(전뇌, '전기로 작동되는 뇌'라는 뜻)와 같이 쓴다.{{ㅊ|전뇌소녀}}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 문자]]여서, [[표음 문자]]인 [[한글]]이나 [[로마자]]와 같이 외국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ref>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사용되는 언어의 수는 무려 57개나 된다.</ref>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고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나 [[롯데]]<ref>중국어로 롯데는 {{중국어 번체=|樂天}}이라고 쓰며 한국의 놀이공원인 [[롯데월드]]는 중국어로 {{중국어 번체=|樂天世界}}라고 쓴다.</ref> 등 외국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電腦(전뇌, '전기로 작동되는 뇌'라는 뜻)와 같이 쓴다.{{ㅊ|전뇌소녀}}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22년 7월 9일 (토) 21:19 기준 최신판

중국어
汉语 / 漢語
New-Map-Sinophone World.PNG
색이 진할수록 많은 사람이 쓴다는 뜻이다.
언어 정보
지역 중국, 대만, 싱가포르
사용인구 약 12억 명
공용어 중국, 대만, 싱가포르
표준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 (중국) 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
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 (홍콩)
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 (마카오)
教育部終身教育司 (대만)
추광화어이사회 (싱가포르, 推广华语理事会)
华语规范理事会 (말레이시아)
문자 한자(정체자, 간체자)
언어계통
ISO
639-2 chi, zho
639-3 zho
利不勒维基(lìbúlèwéijī) 握着笔的所有手都应有权利(wò zhuó bǐ de suǒyǒu shǒu dōu yīngyǒu quánlì)
리브레 위키, 펜을 쥔 모든 손에 권리를.[1]

중국어(汉语, 中國語)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및 일부 다른 국가들과 유엔 모두 베이징자금성 내에서 쓰이던 방언에 기초한 표준중국어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중국어 교육에 사용한다. 여기서 홍콩은 예외. 한어(漢語 Hànyǔ/ㄏㄢˋㄩˇ), 화어(華語 Huáyǔ/ㄏㄨㄚˊㄩˇ), 중문(中文 Zhōngwén/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어미 변화가 없고 단어의 배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고립어이다. 어순은 영어와 똑같은 SVO(주어-서술어-목적어) 형태이다.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역사적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를 역사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상고한어[편집 | 원본 편집]

주나라진나라한나라의 한어. 상고한어는 같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티베트어와 비슷한 면이 많다.

현대에 재구된 상고한어, 시경 관저편

크롱크롱 초기 상고한어에서는 파생 접사들이 발견되는데 한나라 이후 사라지게 된다. 이후의 중국어와는 달리 성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순우리말인것 같지만 사실 외래어인 붓과 먹이 상고한어에서 온 말이다. 붓은 '筆'(bǐ, 필)의 상고한어 *p.[r]ut에서 유래되었고 먹은 墨(mò, 묵)의 상고한어 *C.mˤək에서 유래되었다.

상고한어는 자료가 비교적 부족하여 복원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중고한어[편집 | 원본 편집]

남북조시대에서 송나라까지의 한어. 3세기부터 13세기까지이다. 남북조시대에서 당나라까지는 중고한어 송나라까지는 중세한어이다.

중고 한어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은 비슷하다. 당시에 일본에도 한자가 전해지는 시기였는데 남북조시대엔 한반도와 일본으로 한자와 한자음이 전해져 일본어의 오음(吳音)이 형성되고 당나라 때의 한자음이 한음(漢音)으로 수용된다. 오음의 원형[2]과 한국 한자음은 많이 닮아있다. 일본어에서 한음, 당음부터는 음운이 변동되면서 한국 한자음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좀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음이면 오음이고 이질적인 한자음이면 한음이다. 한음이 현재 일본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송나라 이후의 중국 한자음은 일본어에 당음(唐音)으로 전해진다.

중고한어는 현대 중국어에는 없는 t, k 종성이 나타난다. 이때 t으로 끝나는 한자음은 한국어에서 'ㄹ'(l)로 변동된다. 그리고 상고한어에서는 없었던 성조가 나타난다.

민어(閩語)[편집 | 원본 편집]

고대 중국어에서 민어와 중고한어가 분리된다. 민어에는 민남어와 대만어 등이 있다.

근대한어[편집 | 원본 편집]

원나라, 명나라청나라의 한어. 근대한어에서 현대 북경 지역 중국어인 관화의 틀이 잡힌다.

현대한어[편집 | 원본 편집]

지금 중화권에서 쓰는 한어

계통학적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 방언

중국어 방언의 특징은 입으로 이야기하였을 때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방언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 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의식으로 묶는데에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1. 관화(官話) 또는 북방화(北方話) - cmn: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 8억 명
    1. 베이징어 — (北京語)
      1. 표준 중국어 - 중국, 대만, 싱가포르의 공용어. 한국에서 중국어라는 말은 흔히 이것을 일컫는다.[3]
    2. 진어(晉語) - cjy: 산시성(山西省)에서.
    3. 둥베이어(東北話)
  2. 후이어(徽語) - czh: 안후이성(安徽省)에서.
  3. 민어(閩語):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 명
    1. 민둥어(閩東語) - cdo: 푸젠 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2. 푸셴어(莆仙語) - cpx: 푸젠 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仙遊縣)에서.
    3. 민중어(閩中語) - czo: 푸젠 성 중앙에서.
    4. 민베이어(閩北語) - mnp: 푸젠 성 북부에서.
    5. 민난어(閩南語) - nan: 푸젠 성 남부, 광둥성(廣東省) 동부, 하이난성(海南省) 및 타이완에서.
      1. 조주어(潮州語)
      2. 하이난어(海南語)
      3. 푸젠어(福建話): 푸젠 성 남부, 동남아시아타이완에서.
        1. 장저우어(漳州語)
        2. 대만어(臺灣語): 타이완에서.
        3. 샤먼어(廈門語): 샤먼시에서.
        4. 천주어(泉州語)
  4. 간어(贛語) - gan: 장시성(江西省)에서. - 2000만 명
  5. 하카어(客家語) - hak: 광둥성 북부와 해외의 중국인. - 3500만 명
  6. 샹어(湘語) - hsn: 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7. 우어(吳語) - wuu: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8. 광둥어/월어(粵語) - yue: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의 중국인. - 8000만 명
  9. 둥간어(東干語) - dng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10. 핑어(平語) - 좡족.
  11. 후이어(徽語) - czh - 우어 혹은 간어의 일부.

문자[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는 한자라는 문자를 사용한다

음운[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음절소리의 고저의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4].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 음평성(제1성) - 媽(mā; 어머니)
  • 양평성(제2성) - 麻(má; 마)
  • 상성(제3성) - 馬(mă; 말)
  • 거성(제4성) - 罵(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 경성 - 嗎(ma; 의문조사)

입성이란 것도 있는데 방언이나 고대, 중세 중국어에만 나타난다. 보통 한국어의 받침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문법[편집 | 원본 편집]

어형변화(활용)가 일어나지 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의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이다. 고립적인 특징을 가진 언어로서는 그 밖에 영어 등이 있다. 기본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이다. 하지만, 현대북방어나 문어에서는 , 에 의한 목적격 표시 등이 있으며, 주어-서술어-목적어형의 문장을 만들 수가 있으며, 게다가 교착어에 가까워져 있다.

  • 我去图书馆看书。/我去圖書館看書。
    Wŏ qù túshūguǎn kàn shū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는 동사에 붙으면 (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완료), 过/過(경험), 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 昨天我了电影院。/昨天我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또, 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我(wŏ)

  • 去过中国。/去過中國。(주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我妈妈让学习。/我媽媽讓學習。(목적격)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편집 | 원본 편집]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중국 대만 싱가포르

공용어로 사용하지 않는 국가

대한민국: 주요 외국어이다.

일본: 주요 외국어이다.

필리핀: 일부 지역에서는 통용이 된다.

브루나이: 일부 지역에서 통용이 되며, 소수 중국계가 많이 사용한다.

미국: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된다.

프랑스: 파리 등 대도시에서 사는 일부 중국계 주민에 의해서 통한다.

영국: 런던 등 대도시에서 사는 일부 중국계 주민에 의해서 통한다.

캐나다: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된다.

러시아: 공용어는 아니지만, 일부 중국계 주민에 의해서 통한다.

중국어와 외래어[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표의 문자여서, 표음 문자한글이나 로마자와 같이 외국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5]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고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롯데[6] 등 외국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電腦(전뇌, '전기로 작동되는 뇌'라는 뜻)와 같이 쓴다.전뇌소녀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시리즈에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각주

  1. 참고
  2. 최초의 오음. 오랜 시간이 지나 음운이 변동되어 현재는 많이 달라져 있다. 고대 일본어
  3.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시험지에도 표준 중국어로 문제를 출제한다.
  4. 松岡、2001
  5. 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사용되는 언어의 수는 무려 57개나 된다.
  6. 중국어로 롯데는 樂天이라고 쓰며 한국의 놀이공원인 롯데월드는 중국어로 樂天世界라고 쓴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중국어 문서 14191386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