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ternradio/지정학

틀:공사 Icon tools.svg 작업중 틀:번역필요

지정학(Geopolitics)은 (인문&자연)지리국제정치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 지정학은 국제정치행위를 지리적 변인을 통해 이해,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는, 외교정책의 연구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리적 변인은 연구 대상이 되는 지역의 지역 연구, 기후, 지형, 인구 구조, 천연자원, 응용과학 등을 포함한다.

지정학에서는 지리적 공간에 있어서 정치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외교사와 영해, 영토 사이의 상호관계가 있다. 학문적으로 지정학은 지리와 정치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역사 및 사회과학적 분석을 주로 한다. 학문외적으로는 비영리단체(정부 부처나 싱크탱크 등)[2]와 영리단체(중개업체, 컨설팅업체 등)[3]를 비롯한 다양한 단체가 지정학적 예측을 내놓는다. 지정학적 연구 주제는 지역, 공간, 지리적 요소[4].에 따른 국제정치 주체들 이익 사이의 관계 등이 포함된다.[5] 비판적 지정학은 제국주의 시기 및 그 이후의 전통적 지정학이 정치적, 이념적으로 강대국에 편향적임을 보임으로써 전통적 지정학을 해체한다.[6]

어렵게 써놨지만 사실 간단히 말하자면 문명 5유로파 유니버셜리스 4, 슈퍼파워 2처럼 지도 위에서 땅따먹는 게임을 할 때 여러분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이론이 곧 지정학이라고 봐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의 지정학American geopolitical doctrine

알프레드 머핸(Alfred Thayer Mahan)과 해양세력

알프레드 머핸(Alfred Thayer Mahan)은 세계 해군 전략 및 외교 문제 해설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던 인물로, 국가가 강성해지는 것은 바다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믿었다. 특히 평시에는 바다의 상업적 활용이, 전시에는 제해권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머핸의 이론적 틀은 앙투안느-앙리 조미니(Antoine-Henri Jomini)에게서 차용한 것이다. 그의 이론은 함대 양적 전력과은 물론이고 전략적 요충지[7]이 제해권을 확보하는 데 이바지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그는 다음의 여섯 가지를 국가가 해약 권력을 갖기 위한 조건으로 제시했다.

  1.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치
  2. 활용 가능한(serviceable) 해안지대, 풍부한 천연자원, 적절한 기후
  3. 영토 범위(extent of territory)
  4. 영토를 방어하기에 충분한 인구
  5. 바다와 상업을 하기에 적절한 사회
  6. 제해권을 확보할 의향과 영향력이 있는 정부[8]

에밀 라이히(Emil Reich)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학자였던 에밀 라이히(Emil Reich, 1854-191)는 1902년, 그리고 이후 1904년 『근대 유럽의 토대』(Foundations of Modern Europe)라는 저서[9]를 통해 영어에 처음으로 "지정학"(geopolitics)이라는 단어를 도입한 학자로 인정받는다.[10]

매킨더(Mackinder)와 심장부 이론

매킨더가 중심부 이론을 처음 체계화한 것은 영국에서 1904년 출간된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 란 책에서였다. 매킨더는 해군을 콜럼버스 시대(대략 1492년부터 19세기까지)의 기반으로 보았고, 20세기는 육상 전력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심장부 이론에서는 심장부에 거대 제국이 건설될 것을 가정하는데, 이 거대 제국은 해운 없이도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매킨더 이론의 기본 개념은 기본적으로 지구를 두 부분으로 구분한다. 먼저 아프리카유라시아를 묶은 세계섬(World Island)이 있는데, 이는 핵심부(Core)라고도 불린다. 다른 하나는 주변 "도서"(Peripheral islands)로,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영국, 오세아니아를 포함한다. 주변부는 세계섬에 비해 훨씬 작을 뿐만아니라, 세계섬 수준의 기술력을 유지,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해운에 의존해야 한다. 반면 세계섬은 높은 수준의 경제에 충분한 천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매킨더의 지정학 이론은 그의 다음과 같은 발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중유럽과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심장부를 지배한다. 심장부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섬을 지배한다. 세계섬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Who rules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mmands the Heartland. Who rules the Heartland commands the World-Island. Who rules the World-Island commands the World.)

니콜라스 스파이크만(Nicholas J. Spykman)은 머핸과 매킨더의 추종자인 동시에 비판자였다. 그의 이론은 매킨더의 이론과 비슷한 전제 위에 세워졌다.[11] 이는 세계정치의 통일성(unity of world politics)과 세계해(world sea)에 대한 전제를 포함한다. 스파이크만은 이 이론을 하늘(air)까지 확장시킨다. 그는 매킨더의 세계 구분을 차용하였으나, 일부 개념은 재명명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심장부(the Heartland)
  2. 주변지역(the Rimland) - 매킨더의 '내부 초승달 지대'. 심장부와, 주변 해양 세력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지역.
  3. 연안 도서 및 대륙 - 매킨더의 '외부 초승달 지대'.[12]

스파이크만의 이론에서 주변지역은 심장부와 부동항을 떨어뜨려놓는 역할을 담당한다. 스파이크만은 이러한 상황이 곧 주변부에 대한 심장부(특히 러시아)의 야욕으로 직결될 것이라고 보았다. 즉, 스파이크만은 맥킨더 이론의 약점을 언급하면서 심장지역과 주변지역의 결합을 저지할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13] 다시 말하자면, 맥킨더는 심장부를 강조했던 반면 스파이크만은 주변지역(초승달 지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13]

키신저, 브레진스키, 거대한 체스판(Kissinger, Brzezinski and the Grand Chessboard)

냉전기의 두 유명한 안보 전문가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Zbigniew Brzezinski)는 냉전과 함께 이념대립이 종식된 이후에도 미국이 유라시아, 무엇보다도 러시아에 대한 관심을 버리지 않도록 애썼다. 냉전기 이념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두 사람 모두 냉전 이후 지정학자로 탈바꿈했는데,[14] 둘의 저작이 모두 1990년대 지정학계의 주요 서적이 되었다. 키신저의 1994년작 『디플로머시』(Diplomacy)[15] 와 브레진스키(1997)의 『유라시아 체스판』(The Eurasian Chessboard)이 그 책이다. 이로써 영미권의 고전적 지정학 이론이 되살아났다.

키신저가 『디플로머시』에서 적기를, 이제는 (외교에서) 적대적 의도가 사라졌으며 전통적 외교 정책 이론은 더 이상 설명력이 없다는 현실에 지정학 및 역사학 연구자들은 불편해한다고 했다. "그들(연구자들)은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 통치자에 관계 없이, 러시아핼퍼드 매킨더가 '지정학적 심장부'라고 부른 지역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며, 가장 강력한 제국적 전통들 중 하나의 계승자이다."[16] 미국은 반드시 "확장주의의 오랜 역사를 지닌 국가에 대한 세계적 힘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17]

러시아 다음으로 지정학적인 위협이 되는 국가는 독일이며, 특히 위협적인 것은 90년 전 매킨더가 우려한 것처럼 독일과 러시아의 연합이다. 키신저에 따르면 냉전기 대서양 양안, 곧 미국과 유럽이 모두 인지했던 것은 "미국이 유럽에 조직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한, 이후 훨씬 열악한 조건 하에서 개입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오늘날 더더욱 그러하다. 독일은 현재 유럽에 존재하는 제도만으로는 균형을 맞출 수 없을만큼 강해져버렸다. 또한 유럽이, 설령 독일이 가세하더라도, 상대할 수 없는 것이 [...] 러시아이다[...]" 독일과 러시아의 연합은 어떤 국가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 이 연합은 이들에 의한 공동 지배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미국 없이 영국프랑스만으로는 독일과 러시아를 상대할 수 없다. 그리고 "유럽 없이 미국은 [...] 유라시아 연안에서 떨어져나온 섬으로 변할 것이다."[18]

스파이크만의 유라시아관은 확실하게 입증되었다. "지정학적으로, 미국은 유라시아라는 거대한 땅덩어리에서 떨어져 있는 섬 하나이다. 유라시아의 자원과 인구는 미국의 그것을 크게 상회한다. 유럽이나 아시아 중 한 세력에 의한 [유라시아의] 지배는 곧 아메리카(미국)에 전략적 위협이다. 냉전이거나, 냉전이 아니거나. 그러한 세력은 경제적으로 아메리카를 추월할 수 있을 것이며, 결국에는 군사적으로도 앞지를 것이다. 이런 위험에 대해 [미국은] 설령 그 세력이 대외적으로 유순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저항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만에 하나 그 세력이 태도를 바꿀 경우 아메리카가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기 때문이다.[19][20]

사상가에서 지정학자로 탈바꿈한 뒤 키신저는 냉전을 (냉전기 동안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던) 지정학적 관점에서 되돌아보았다. 키신저는 냉전의 시작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공산주의에 대한 이념적 반대의 목표는 소련의 확장 저지라는 지정학적 목표와 결부되어 있었다."[21][22] 또한 그는 닉슨이 이념보다는 지정학적 이익을 따르는 사람이었다고 덧붙였다.[23]

키신저의 『디플로머시』가 출판되고 3년 뒤, 브레진스키 또한 『거대한 체스판』(The Grand Chessboard)[24]을 내며 뒤를 따랐다.[25] 『거대한 체스판』에서 그는 미국의 냉전 승리를 유라시아 지배라는 키워드로 풀어낸다. 사상 처음으로 "비(非) 유라시아" 세력이 유라시아 세력 관계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26] 이 책은 책의 목적이 "그러므로 이 책의 목적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유라시아 지전략 구축이다."[27][28] 비록 세력 구성이 혁명적 변화를 거치긴 했지만, 3년 뒤 브레진스키는 유라시아가 여전히 초대륙(megacontinent)이라고 확증했다.[29] 스파이크만처럼, 브레진스키도 "점증적으로, 유라시아의 힘은 아메리카의 힘이 빛을 잃게 만든다"고 인정했다.[26]

고전적 스파이크만의 관점에서 브레진스키는 유라시아에 대한 그의 지전략적 "체스보드" 독트린을 구축했다. 이는 유라시아 초대륙의 통일 방지를 목표로 한다.

유럽과 아시아는 정치와 경제 양면에서 저력이 대단하다 [....] 따라서 [...] 미국의 대 유럽 및 대 아시아 외교 정책은 반드시 [...] 미국이 유럽과 아시아에서 정치적 중재자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안정적인 균형 상태가 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 그러므로 유라시아는 세계 주도권을 얻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는 체스판이며, 이 경쟁은 지전략적인, 즉 지정학적 이익을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중점이 있는 경쟁이다 [....] 하지만 그러면서도 유라시아를 지배하고 나아가 미국을 위협하는 유라시아 국가의 탄생을 저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미국에게 최고의 지정학적 선물은 유라시아이며 [...] 미국의 세계 주도권은 미국이 유라시아에서 우월성을 얼마나, 어떻게 유지하느냐에 달려 있다.[30][31]

독일의 지정학

독일 지정학(Geopolitik, 게오폴리틱)의 특징은 국가(State)의 삶이 마치 사람이나 동물처럼 과학적 결정론과 사회진화론에 의해 정해진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독일 지정학에서는 생활권(Lebensraum)이라는 개념을 고안했는데, 이는 동물에게 우호적인 환경이 필요한 것처럼 민족(nation)[32] 역시 우호적인 환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우호적인 환경이란 것은 깨끗한 자연 같은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충분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나 좀 살게 너 꺼져"로 연결되었다는 것. 자세한 것은 후술.

프리드리히 라첼(Friedrich Ratzel)

프리드리히 라첼(Friedrich Ratzel, 1844-1904)은 찰스 다윈 등의 사상가와 에른스트 하인리히 해켈(Ernst Heinrich Haeckel) 등의 동물학자에게 영향받아 독일 지정학에 기여했다. 그의 이론은 지리에 생물학적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국가간의) 경계가 고정된 것이라는 관념에서 탈피한 것이다. 국가를 성장하는 유기체로 상정하고, 국경은 유기체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멈춘 것을 나타낼 뿐이라고 간주하면서 라첼은 영토의 범위가 곧 민족(nation)[33] 건강의 척도라고 주장한다. 즉, (국경이) 정적인 국가는 쇠퇴중이라는 것이다. 라첼은 여러 논문을 냈는데, 그 중에는 "생활권"(Lebensraum, 레벤스라움 - '생활공간'이라고도 한다)이라는 생물지리학(biogeography) 논문이 포함되어 있다. 라첼은 독일 지정학 '게오폴리틱'(geopolitik)의 기반을 마련했다. 미국의 지전략가 알프레드 머핸(Alfred Thayer Mahan)의 영향으로 라첼은 독일 해군력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라첼은 대륙세력과 달리 해양세력은 상선대(merchant marine) 비용을 무역 이익을 통해 충당할 수 있으므로 자급자족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라첼의 지정학 이론은 너무 광범위하며 인간 역사와 지리를 너무 기계론적으로 단순히 해석한다고 비판받았다. 기동성의 중요성 및 해운에서 철도 운송으로의 변화에 관한 분석에서 라첼은 공군력의 영향력을 예측하지 못했다. 또한 힘의 발전 과정에서 사회 조직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우를 범했다.[34]

독일 지정학과 나치의 연관성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루돌프 셸렌(Rudolf Kjellén)과 라첼의 사상은 카를 하우스호퍼(Karl Haushofer), 에리히 오프스트(Erich Obst), 헤르만 라우텐자흐(Hermann Lautensach), 오토 마울(Otto Maull) 등의 많은 독일인 저술가들에 의해 계승, 확장되었다. 1923년 하우스호퍼는 『지정학』(Zeitschrift für Geopolitik)이라는 저널을 창간했고, 이 저널은 이후 나치 독일프로파간다에 이용됐다. 하우스호퍼의 지정학 이론에서 핵심적인 개념은 생활권(Lebensraum), 자급자족(autarky), 범지역(pan-region)[35], 유기체적 국경(organic borders) 등이다. 하우스호퍼의 주장에 따르면 국가는 자급자족 달성을 위한 자연 국경추구에 대한 부인할 수 없는 권리를 지닌다.

나치 제3제국에 관한 보편적인 관점에 따르면, 나치의 사상적 지향에 지정학자들이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베이신(Bassin)에 따르면 이 관점에는 중요한 오류가 있다. 예컨대 최근에는 하우스호퍼가 나치당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36] 이는 하우스호퍼가 나치 인종주의를 자신의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로 유사한 부분이 많기는 해도, 나치 사상가들은 항상 지정학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이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데, 지정학의 기저에 있는 철학적 지향이 나치 사상과 궤를 달리했기 때문이다. 지정학은 라첼의 과학적 유물론과 지리적 결정론을 그대로 물려받았고, 인간 사회는 (그 사회 내의 개인, 집단의 특징이 아니라)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을 고수했다. 반면 나치즘은 유물론과 결정론 모두를 거부했으며, 또 '인종적 특징'이라는 내적 요인을 가정하여 이것이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차이점들 때문에 결국 1933년 이후 나치와 지정학은 마찰을 겪었으며, 끝내 나치가 지정학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기에 이르렀다.[37] 그럼에도 독일의 지정학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확장주의 정책에 오용되면서 그 신용도가 곤두박질치고 말았고, 이렇게 한 번 땅에 떨어진 신용도는 다시 회복되지 못했다.

학문 분야에 따른 지정학에 관한 인식

지리학의 제분야, 특히 인문지리학의 분과학문인 정치지리학에서는 "지정학"이라는 용어에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보인다. 하지만 역사학이나 정치학 등 다른 분야에서는 (그 분야도 똑같이 지정학적 개념을 차용함에도)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하지 않거나 있더라도 그 정도가 미약한 편이다. 실제로 고전적 지정학(Classical Geopolitics)은 군사사, 국제정치학, 안보연구 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지리학 이외의 분야에서 지정학은 제국주의나 나치즘의 도구로 파악되기보다는, 군사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국제 지정적 환경과 사건(international geopolitical circumstances and events)을 분석하는 데 쓰일 수 있는 적절한 이론적 틀로 받아들여진다.

프랑스의 지정학 접근법 French approach on geopolitics

프랑스의 지정학 학설들은 대체로 독일의 지정학(Geopolitik)과 반대되는 위치에 있으며, 고정된 지리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프랑스 지정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일어나는 다형적인 영역들의 발전에 집중한다. 또한 개별 사건보다 장기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춘다. 라코스테 교수는 이 방법론을 세 원칙으로 정리하여 이론화하였다. 사회적 대표성을 고려할 것(Social representation), 통시적으로 생각할 것(Diachronie), 지리를 고려할 것(Diatopie)이 바로 그것이다.

French geopolitical doctrines lie broadly in opposition to German Geopolitik and reject the idea of a fixed geography. French geography is focused on the evolution of polymorphic territories being the result of mankind's actions. It also relies on the consideration of long time periods through a refusal to take specific events into account. This method has been theorized by Professor Lacoste according to three principles: Representation; Diachronie; and Diatopie.

"법의 정신"에서 몽테스키외는 인간과 사회가 기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는 더운 기후는 급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만들고 서늘한 기후는 냉정한 사람들을 만들며, 프랑스와 같은 온화한 기후는 정치 체계의 발전에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프랑스 지정학의 아버지로 꼽히는 Élisée Reclus는 현대 지정학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책 Nouvelle Géographie universelle의 저자이다. Reclus는 Ratzel처럼 지리를 전지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그러나 Ratzel의 인식과는 정반대로 Reclus는 지리가 불변하지 않는다고 인식한다. 지리는 인간 사회의 변화에 상응하여 진화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의 비주류적인 정치적 관점으로 인해 학계는 그를 거부했다.

In The Spirit of the Laws, Montesquieu outlined the view that man and societies are influenced by climate. He believed that hotter climates create hot-tempered people and colder climates aloof people, whereas the mild climate of France is ideal for political systems. Considered as one of the founders of French geopolitics, Élisée Reclus, is the author of a book considered as a reference in modern geography (Nouvelle Géographie universelle). Alike Ratzel, he considers geography through a global vision. However, in complete opposition to Ratzel's vision, Reclus considers geography not to be unchanging; it is supposed to evolve commensurately t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His marginal political views resulted in his rejection by academia.

프랑스 출신 지리학자이자 지정학자인 Jacques Ancel은 프랑스 최초의 지정학 이론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카네기 재단에서 특기할 만한 강의를 하였으며 1936년에는 Géopolitique"를 저술하였다. Reclus와 마찬가지로 Ancel은 (Haushofer의 원칙Haushofer's doctrines들을 포함한) 독일 지정학의 결정론적 관점을 거부했다.

French geographer and geopolitician Jacques Ancel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theoretician of geopolitics in France, and gave a notable series of lectures at the Carnegie foundation and published "Géopolitique" in 1936. Like Reclus, Ancel rejects German determinist views on geopolitics (including Haushofer's doctrines).


Braudel의 넓은 관점은 타 사회과학 분야의 통찰을 빌려와 "longue durée"라는 개념을 활용하며 개별 사건의 중요성을 낮게 보았다. 이 방법은 프랑스 지리학자 Paul Vidal de la Blache에게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 (Blache는 다시 독일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독일에서 직접 만난 Friedrich Ratzel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Braudel의 방법론은 개인들과 환경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38]Vidalian 지정학은 환경결정론 대신 다양한 형태의 지도학과 환경가능론(지리학에 대한 사회론적 접근, 즉 인류, 문화, 개념 등의 여러 요소들로 구성된 공간의 다형성 법칙(principle of spaces polymorphic faces)[39]에 근거한) 에 기반한다.

Braudel's broad view used insights from other social sciences, employed the concept of the longue durée, and downplayed the importance of specific events. This method was inspired by the French geographer Paul Vidal de la Blache (who in turn was influenced by German thought, particularly that of Friedrich Ratzel whom he had met in Germany). Braudel's method was to analys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environment.[40] Vidalian geopolitics is based on varied forms of cartography and on possibilism (founded on a societal approach of geography—i.e. on the principle of spaces polymorphic faces depending from many factors among them mankind, culture, and ideas) as opposed to determinism.

Due to the influence of German Geopolitik on French geopolitics, the latter were for a long time banished from academic works. In the mid-1970s, Yves Lacoste—a French geographer who was directly inspired by Ancel, Braudel and Vidal de la Blache—wrote La géographie, ça sert d'abord à faire la guerre (Geography first use is war)in 1976. This book—which is very famous in France—symbolizes the birth of this new school of geopolitics (if not so far the first French school of geopolitics as Ancel was very isolated in the 1930s–40s). Initially linked with communist party evolved to a less liberal approach. At the end of the 1980s he founded the Institut Français de Géopolitique (French Institute for Geopolitics) that publishes the Hérodote revue. While rejecting the generalizations and broad abstractions employed by the German and Anglo-American traditions (and the new geographers), this school does focus on spatial dimension of geopolitics affairs on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This approach emphazises the importance of multi-level (or multi-scales) analysis and maps at the opposite of critical geopolitics which avoid such tools. Lacoste proposed that every conflict (both local or global) can be considered from a perspective grounded in three assumptions:

  1. Representation: Each group or individuals is the product of an educ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specific representations of the world or others groups or individuals. Thus, basic societal beliefs are grounded in their ethnicity or specific location. The study of representation is a common point with the more contemporary critical geopolitics. Both are connected with the work of Henri Lefebvre (La production de l'espace, first published in 1974)
  2. Diachronie. Conducting an historical analysis confronting "long periods" and short periods as the prominent French historian Fernand Braudel suggested.
  3. Diatopie: Conducting a cartographic survey through a multiscale mapping.

Connected with this stream, and former member of Hérodote editorial board, the French geographer Michel Foucher developed a long term analysis of international borders. He coined various neologism among them: Horogenesis: Neologism that describes the concept of studying the birth of borders, Dyade: border shared by two neighbouring states (for instance US territory has two terrestrial dyades : one with Canada and one with Mexico). The main book of this searcher "Fronts et frontières" (Fronts and borders) first published in 1991, without equivalent remains as of yet untranslated in English. Michel Foucher is an expert of the African Union for borders affairs.

More or less connected with this school, Stéphane Rosière can be quoted as the editor in Chief of the online journal L'Espace politique [1], this journal created in 2007 became the most prominent French journal of political geography and Geopolitics with Hérodote.

A much more conservative stream is personified by François Thual was a French expert in geopolitics, and a former official of the Ministry of Civil Defence. Thual taught geopolitics of the religions at the French War College, and has written thirty books devoted mainly to geopolitical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various parts of the world. 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Orthodox, Shiite, and Buddhist religions, and in troubled regions like the Caucasus. Connected with F. Thual, Aymeric Chauprade, former professor of geopolitics at the French War College and now member of the extreme-right party "Front national", subscribes to a supposed "new" French school of geopolitics which advocates above all a return to realpolitik and "clash of civilization" (Huntington). The thought of this school is expressed through the French Review of Geopolitics (headed by Chauprade) and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Geopolitics. Chauprade is a supporter of a Europe of nations, he advocates a European Union excluding Turkey, and a policy of compromise with Russia (in the frame of a Eurasian alliance which is en vogue among European extreme-right politists) and supports the idea of a multipolar world—including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S.

러시아의 지정학

러시아 지정학의 역사는 먼저 988년 키예프의 블라드미르 대공이 아내와 함께 그리스 정교회를 받아들인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때 블라드미르 대공은 인접한 비잔틴에서 정교회를 받아들였고, 이 정교회를 정착시키기 위해 러시아인들을 단체로 드네프르 강에서 세례 받게 하였다. 이후 1240년 전후로 러시아정교회는 교황청으로부터 로마교황청의 교리에 따르라는 지시를 받는다. 당연히 러시아 정교회는 이를 거부하였고, 교황은 십자군을 파견한다. 이때 처음 온 십자군이 발트 기사단이다. 그러나 노브고르드 대공 알렉산드르 네브스키가 뛰어난 지휘력으로 이들을 네바강에서 씹어먹었고, 이후 교황의 명령에 1242년 튜튼기사단이 침공하지만 네브스키가 이 또한 페이프스 호수 근처에서 격퇴하였다. 이후 1380년 디미트리 돈스코이는 세르게우스에게 축복을 받고, 쿨리코보 전투에서 킵차크 한국을 격퇴하였다. 이후 100년이 지난 1480년 킵차크한국의 러시아 지배는 종식되었다.

러시아 정교회가 10세기 정착되어 주변의 위협과 몽골의 지배를 종식시켜나가면서 점차 러시아인들의 중심적인 의견을 형성하였다. 이에 15세기 무렵 프스코브 수도원의 한 수도승인 성 엘리아자로브스코보(Елиазаровского)가 모스크바가 제3로마라는 말을 하였는데, 이를 러시아 최초의 지정학적 발언으로 여긴다.


그러나 지정학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은 1920년대 유라시아주의(에브라지스트보 Еврази́йство, Eurasianism)[41]에서 시작되었다. 1920년대 말 등장한 이 사상은 소련 최초의 지정학이라 불린다. 그러나 이 지정학은 러시아 주변으로의 팽창을 주로 이야기했다.

이후 소련은 사회주의가 퍼져가는 것과 동시에 소련의 영향력이 팽창했다. 대표적인 예가 몽골인민공화국과 탄누투바 그리고 길림의 중국 공산당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련의 팽창은 그렇게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후 소련은 몰로토프-리벤드로프 조약을 통해 동유럽을 나치 독일과 공유하였다.

동시에 소련의 영향력이 소련의 영토 주변원형으로 퍼져나가는 것에 동의하였다. 소련은 과거 베사라비아, 발틱해안 국가,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동폴란드, 부토비나 등을 병합했다. 그러나 핀란드의 가장 큰 저항을 맞게되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그리고 그 이후 소련은 드라마틱하게 전세계에 급격한 영향력을 행사하게되었다. 먼저 동프러시아, 북핀란드, 트란스카르파티아 남 사할린, 쿠릴, 탄투투바를 등을 소련의 위성국화시켰다.

소련의 원형으로 퍼져나간 영향력은 중국 동투르케스탄과 만추리아 그리고 북이란 동 오스트리아 일본으 훗카이도까지 장악하였다. 그러나 남유럽에서 불가리아와, 유고슬로비아, 알바니아, 루마니아, 그리스에 “조그만 소련” 공산주의 국가를 만드는데 실패하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발칸반도에서 유고연방이 티토화되고, 그리스와 터키에서 공산혁명이 실패한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세기 중반 소련은 미국과 함께 양대 슈퍼파워로 군림하였다. 소련은 또한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USSR was one of the two superpowers,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He also led the second most powerful military-political blocs ATS and reached a balance of forces with the US and NATO military-strategic parity. Without declaring openly about detailed geopolitical concepts besides parity and "containment American hegemony and neo-colonialism", in fact the USSR shared geopolitical control of the planet, acting in the political, military (including naval), economic, scientific and sports fields. The USSR had the largest military-industrial complex and the armed forces, which indirectly involved in including in conflict with the United States in local wars. Like the American School, the Soviet geopolitics widely employ the concept of opposing the "world capitalism" and "socialism of the world." Although the military-political Soviet bloc ("world socialist system") moved socialist Yugoslavia, Albania and China gaining power, the Soviet Union as a whole has continued to strengthen its influence in the world, actively and, in most cases successfully supporting not only allies in the ATS, but several tens of socialist orientation, as well a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Soviet specialist on Russian geopolitics was Professor Alexei L. Narochnitsky, he studied Russian geopolitics of the 19th century, on the subject of his pen out scientific and documentary historical work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is political successor to the Russian, having previous loss (relative to the USSR) positions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e small size of GDP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ld's top ten), backwardness in science, a significant reduction of strategic nuclear forces, high population poverty and corruption, outdated infrastructure, system of internal economic crisis and difficult demographic situation, still recovering recognized potential superpower. Russia has achieved full membership in the Group of Eight (G8), and formed with other emerging powers BRIC community. Russian leaders and politicians are actively advocate the idea of rejection of a unipolar world and the United States as the sole superpower, and expressed the need to establish a multipolar world with ever-increasing roles of potential superpowers and regional powers and organizations. This agrees with Russia and China, which is actually closer to superpower status.

In the 90-ies. Geopolitical Studies held senior researcher at the Institute of Philosophy, RAS Russian Vadim Tsymbursky, who coined the term "island-Russia", also known as the Great concept Limitrophe.

Outstanding prominent Russian geopolitics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s Colonel-General Leonid Ivashov retired, he headed the Academy of Geopolitical Problems, which deals with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n the country, experts develop its geopolitical doctrine. Earlier, Colonel-General Leonid Ivashov headed the Main Directorate for International Military Cooperation, in this capacity, he firmly and fundamentally defend the national interests of Russia, opposing NATO's eastward expansion, against the aggressiv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in general and against the construction of a unipolar world, to time for his shoulders were already studying at the Military Academy in the Military Academy and impeccable service in a motorized infantry troops in various command positions. Construction of a unipolar world, which is dominated by the West, contrary to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further expansion of NATO threatens Russia's national security.

In recent years, Russia is actively developing new schools and directions geopolitics. Fellow at the Center for Defense Studies RISS Vladimir Karjakin based on innovative approaches and new challenges proposed the term "geopolitics of the third wave." [5]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ynergy, postnonclassical science in the context of socio-political dynamics and strategies of indirect actions.

메타지정학

"메타"지정학은 나이에프 알-로드한(Nayef Al-rodhan)[42]이 주창한 분석틀로, 지정학의 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을 조합해 권력(power)과 권력관계에 대한 다차원적 관점을 도입한다.[43] 이 분석틀에서는, 국가가 힘(power)을 유지하고 증대하는 과정에서 지리(georaphy)가 차지하던 지위가 하드파워소프트파워에 의해 대체된다. 즉, 외부적으로 주어지는 요소인 지리보다, 국가가 정책을 통해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중시하는 것이다. 메타지정학은 국력을 사회 및 건강(social and health), 국내 정치, 경제, 환경, 과학 및 인적 잠재력, 군사 및 안보, 국제 외교의 총 7가지 차원에서 분석한다.[44] 메타지정학 분석틀을 이용하면 미래의 추세는 물론이고, 국력의 상대적 크기도 보다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 더욱이, 메타지정학은 기본적으로는 국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민간 영역과 초국가적 영역을 분석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45] 비국가 행위자가 날로 중요해지는 현 세계화 시대에 이는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바깥고리

각주

  1. Devetak et al (ed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2012, p. 492.
  2. 예: South Asia Analysis Group의 2015년 1월 보고서(Tembarai Krishnamachari, Rajesh. "Economic and geo-political prognosis for 2015")
  3. 중개업체의 분석 예시("2015 Stock Market Outlook"), 컨설팅회사의 분석 예시("Insights & Publications")
  4. 이것들이 모여 지정학적 구조를 이룬다.
  5. Vladimir Toncea, 2006, "Geopolitical evolution of borders in Danube Basin"
  6. Mehmet Akif Okur, “Classical Texts Of the Geopolitics and the “Heart Of Eurasia”, Journal of Turkish World Studies, XIV/2, pp.76-90 https://www.academia.edu/10035574/CLASSICAL_TEXTS_OF_THE_GEOPOLITICS_AND_THE_HEART_OF_EURASIA_Jeopoliti%C4%9Fin_Klasik_Metinleri_ve_Avrasya_n%C4%B1n_Kalbi_ http://tdid.ege.edu.tr/files/dergi_14_2/mehmet_akif_okur.pdf
  7. 관문, 운하, 석탄공급소(항구) 등
  8. Sea Power
  9. Foundations of Modern Europe, London, George Bell, 1904, 284 pages
  10. W. B. Owen, revised by H. C. G. Matthew, 'Reich, Emil (1854–1910)', in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온라인 버전 (가입 필요), 2013년 9월 26일 확인
  11. Mehmet Akif Okur, “Classical Texts Of the Geopolitics and the “Heart Of Eurasia”, Journal of Turkish World Studies, XIV/2, pp.81-83 https://www.academia.edu/10035574/CLASSICAL_TEXTS_OF_THE_GEOPOLITICS_AND_THE_HEART_OF_EURASIA_Jeopoliti%C4%9Fin_Klasik_Metinleri_ve_Avrasya_n%C4%B1n_Kalbi_ http://tdid.ege.edu.tr/files/dergi_14_2/mehmet_akif_okur.pdf
  12. See map in Polelle, Raising Cartographic Consciousness, p. 118.
  13. 13.0 13.1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452
  14. Mehmet Akif Okur, “Classical Texts Of the Geopolitics and the “Heart Of Eurasia”, Journal of Turkish World Studies, XIV/2, pp.83-85 https://www.academia.edu/10035574/CLASSICAL_TEXTS_OF_THE_GEOPOLITICS_AND_THE_HEART_OF_EURASIA_Jeopoliti%C4%9Fin_Klasik_Metinleri_ve_Avrasya_n%C4%B1n_Kalbi_ http://tdid.ege.edu.tr/files/dergi_14_2/mehmet_akif_okur.pdf
  15. '외교'라는 뜻의 단어이지만, 한국어 번역본의 제목은 이를 음차한 '디플로머시'이다.
  16. 원문:"They would argue … that Russia, regardless of who govern it, sits astride the territory Halford Mackinder called the geopolitical heartland, and is the heir to one of the most potent imperial traditions."
  17. Kissinger, Henry, (1994). Diplomacy, New York: Simon & Schuster, p. 814
  18. Kissinger, Henry, (1994). Diplomacy, New York: Simon & Schuster, p. 821-2
  19. 원문: “Geopolitically, America is an island off the shores of the large landmass of Euraisa, whose resources and population far exceed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e domination by a single power of either of Eurasia’s two principal spheres—Europe and Asia—remains a good definition of strategic danger for America. Cold War or no Cold War. For such a grouping would have the capacity to outstrip America economically and, in the end, militarily. That danger would have to be resisted even were the dominant power apparently benevolent, for if the intentions ever changed, America would find itself with a grossly diminished capacity for effective resistance and a growing inability to shape events.”
  20. Kissinger, Henry, (1994). Diplomacy, New York: Simon & Schuster, p. 813
  21. 원문:“The objective of moral opposition to Communism had merged with the geopolitical task of containing the Soviet expansion.”
  22. Kissinger, Henry, (1994). Diplomacy, New York: Simon & Schuster, p. 804
  23. Kissinger, Henry, (1994). Diplomacy, New York: Simon & Schuster, p. 703-732
  24. 한국어 번역서가 나와 있다. 『거대한 체스판: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유라시아』 (ISBN 9788987519357)
  25. 한편 다시 3년 뒤 브레진스키는 『지정학적 삼인조: 중국, 유럽, 러시아와 함께 살기』(The Geostrategic Triad: Living with China, Europe, and Russia)도 집필했다. 한국어 번역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6. 26.0 26.1 Zbignew Brzezinski, (1997). The Grand Chessboard: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Perseus Books, New York, p. 31
  27. 원문: “The formulation of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Eurasian geostrategy 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book.”
  28. Zbignew Brzezinski, (1997). The Grand Chessboard: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Perseus Books, New York, p. XIV
  29. Zbignew Brzezinski, (2000). The Geostrategic Triad: Living with China, Europe, and Russia, The CSIS Books, Washington, p. 55
  30. 원문: "Europe and Asia ar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powerful…. It follows that… American foreign policy must…employ its influence in Eurasia in a manner that creates a stable continental equilibrium,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 political arbiter.… Eurasia is thus the chessboard on which the struggle for global primacy continues to be played, and that struggle involves geo- strategy – the strategic management of geopolitical interests…. But in the meantime it is imperative that no Eurasian challenger emerges, capable of dominating Eurasia and thus also of challenging America… For America the chief geopolitical prize is Eurasia…and America’s global primacy is directly dependent on how long and how effectively its preponderance on the Eurasian continent is sustained."
  31. Zbignew Brzezinski, (1997). The Grand Chessboard: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Perseus Books, New York, pp. XIII-XIV, 30-31
  32. 여기서는 민족이라고 적지만, 한국어 "민족"이 담고 있는 의미와 영단어 "nation"의 의미는 조금 다르다. nation의 번역에 관해서는 민족주의의 해당 문단을 참고.
  33. 거듭 지적하지만, 영어 nation과 한국어 민족은 1:1 대응관계가 아니다. 자세한 것은 민족주의에서 번역 논란 관련 부분 참조.
  34. O Tuathail (2006) page 20
  35. 번역은 네트워크 세계정치 사이트 자료의 번역을 따랐다. '팬 리전', '판 리젼' 등으로 음차하는 경우도 있다. "범지역은 국경을 넘어 뻗어있는, 경제, 정치, 문화적 국가 영역 혹은 지역을 의미한다."(A pan-region is a geographic region or state’s sphere of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extending beyond that states borders. 출처 영문 위키백과)
  36. O'Tuathail, 1996
  37. Mark Bassin, "Race Contra Space: The Conflict Between German 'Geopolitik' and National Socialism," Political Geography Quarterly 1987 6(2): 115-134,
  38. Braudel,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La part du milieu (vol. 1) ISBN 2-253-06168-9
  39. 이 부분만은 번역 불가입니다 ㅠ
  40. Braudel,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La part du milieu (vol. 1) ISBN 2-253-06168-9
  41. 유라시아주의란 비유럽과 러시아 정교회를 주축으로 유라시아에 러시아 문명을 재구축하는 것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사상이다.
  42.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직업이 철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이자 지전략가이자 작가라고 한다. ㅎㄷㄷ.
  43. LIT
  44. GCSP
  45. The Northern Times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geopolitics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