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치의 사용자 기여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4년 6월 10일 (월)

2024년 6월 7일 (금)

2024년 5월 28일 (화)

2024년 5월 15일 (수)

2024년 5월 12일 (일)

2024년 5월 8일 (수)

2024년 5월 6일 (월)

2024년 5월 5일 (일)

2024년 5월 4일 (토)

2024년 4월 14일 (일)

2024년 4월 3일 (수)

2024년 3월 29일 (금)

2024년 3월 13일 (수)

2024년 3월 4일 (월)

2024년 3월 3일 (일)

  • 07:452024년 3월 3일 (일) 07:45 차이 역사 +1,133 청새치편집 요약 없음
  • 07:292024년 3월 3일 (일) 07:29 차이 역사 +2,545 새글 청새치새 문서: '''청새치'''는 새치의 일종인 바닷물고기다. 새치류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어종이며 돛새치와 함께 가장 빠른 수중 생물로도 유명하다. ==특징== 창처럼 길게 뻗은 윗턱과 유선형 체형, 칼처럼 날렵한 지느러미가 특징인 청새치는, 외형이 말해주듯 매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어종으로 그 속도는 시속 100킬로미터를 넘어 돛새치에 이어 바다에서 두번째로 빠...

2024년 3월 2일 (토)

  • 09:342024년 3월 2일 (토) 09:34 차이 역사 +6 황다랑어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332024년 3월 2일 (토) 09:33 차이 역사 +804 새글 황다랑어새 문서: 황다랑어는 다랑어족 중 하나이며 참다랑어속에 속하는 바다 물고기다. ==특징== 노란색을 띄는 지느러미로 황다랑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가운데 지느러미가 길게 이어져 나와있다. 다랑어 중 참다랑어와 눈다랑어 다음으로 큰 종류로 일반적인 경우 1~1.5미터 정도 성장하나 크게 자랄 경우 2미터에 달하기도 하는 대형 어종이다. ==생태== 온대성을 띄는 참다랑어,...
  • 09:262024년 3월 2일 (토) 09:26 차이 역사 +24 곰치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242024년 3월 2일 (토) 09:24 차이 역사 −78 곰치편집 요약 없음
  • 09:242024년 3월 2일 (토) 09:24 차이 역사 −88 곰치편집 요약 없음
  • 09:232024년 3월 2일 (토) 09:23 차이 역사 +3,110 새글 곰치새 문서: {{다른 뜻|이 문서는 사전적 의미의 곰치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방언으로 곰치라 부르는 생선은 꼼치, 또는 물메기 문서를 확인하십시오.}} 곰치는 장어류 중 곰치과에 속하는 어류들을 총칭하는 종이다. 지느러미 없는 긴 몸과 사나운 성격으로도 유명한 육식성 어종으로 주로 바다 암초 사이에서 살아간다. ==생태== 주로 바다의 암초지대 바위 틈에서 은거...
  • 08:452024년 3월 2일 (토) 08:45 차이 역사 +2,655 새글 까치상어새 문서: '''까치상어'''는 상어의 일종으로 흉상어목 까치상어과에 속하는 어종이다. ==특징==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상어의 모습과 함께 일렬로 나란히 그어진 줄무늬가 특징으로 흉상어목 답게 눈은 세로 동공을 하고 있다. 몸길이는 일반적으로 1미터에서 최대 1.5미터까지 성장하는 중소형 상어로써 북서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여 육지와 가까운 근해 및 해안에도 모습...
  • 08:082024년 3월 2일 (토) 08:08 차이 역사 −14 강주걱양태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8:082024년 3월 2일 (토) 08:08 차이 역사 +1,055 강주걱양태편집 요약 없음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