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수송/예시

< 공기수송
Rainy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2월 23일 (화) 19:57 판 (새 문서: 분류:교통 *잘못된 수요예측: ☆, 지나치게 조밀한 배차간격: ★, 개떡같은 접근성: ○, 강력한 대체재 존재: ● 로 표기한다. ====철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잘못된 수요예측: ☆, 지나치게 조밀한 배차간격: ★, 개떡같은 접근성: ○, 강력한 대체재 존재: ● 로 표기한다.

철도

수도권 전철
  • 달월역☆○ - 원래 개통이 보류돼 있다가 인근 주민들의 요구로 인해 예정보다 일찍 개통했는데,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수요가 없는 역이다. 인근에 배곧신도시가 건설중이긴 하나 정왕차량사업소 때문에 현재는 접근하기 힘들다.
  • 국제업무지구역★ - 아직 업무지구가 조성중이라 근처에 아무것도 없는데 8분 간격으로 열차가 들어온다. 다만 인근 센트로드에 포스코엔지니어링이 입주하며 수요가 좀 늘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환승역이 상봉역,망우역과 1일 2왕복(...)의 광운대역밖에 없다.
    • 신내역 - 근처에 특별한 수요처가 없고 지역 주민들의 요구도 없었으나 서울 지하철 6호선을 끌어올 것을 대비하여 생겼다.
    • 곡산역☆● - 근처가 죄다 허허벌판이며, 도로가 닦이고 마을버스가 생기며 수요가 줄었다.
    • 굴봉산역☆ - 주변이 죄다 논밭이다.
    • 백양리역 ○ - 남쪽 엘리시안 강촌과는 매우 가까우나 강 북쪽과의 연결 수단이 전혀 없다.
    • 상천역☆ - 그냥 한적한 마을 한가운데 있다.
  • 신원역☆ - 부용산 등산 수요나 인근 마을 수요 외에는 수요처가 없다.
  • 오빈역☆ - 인근에 별 수요처가 없으나 주민들의 요구로 개통되었다. 다만 오션월드 셔틀버스가 이 역과 연계되며 수요가 조금 늘었다.
  • 구룡역☆○● - 역 위치가 상당히 애매한 곳이라 인근 주민들은 대부분 개포동역을 이용한다.
  • 직산역○ - 직산읍내와 상당히 떨어져 있는 데다 연계교통도 부실하다.
  • 서동탄역○ - 주 수요처인 동탄신도시와 너무 멀다.
  • 광명역 셔틀 전철☆ - 배차간격이 너무 길며, 인근 지역에서 광명역을 쓸 수요가 크게 없다.
동남권 전철
대구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KTX

  • 공주역☆○● - 공주시,논산시,부여군 등 인근 지역들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려다 보니 역이 영 생뚱맞은 곳에 위치하게 되었다. 각각 지역에서는 모두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게 훨씬 빠르고 저렴하다.
  • 김천(구미)역☆ - 김천시구미시 사이 애매하기 짝이 없는 곳에 있다. 다만 인근에 경북드림밸리가 조성 중이다.
  • 광명역☆○ - 역이 허허벌판 한가운데에 있고, 그런 주제에 역사가 너무 크다. 그래도 최근에는 꾸준히 수요가 늘고 있으나 다소 평가절하되는 경향도 있다.
  • 오송역☆○ - 너무 외딴 곳에 있어 원래 수요가 없었으나,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되며 수요가 폭증했다. 문제는 정작 온갖 깽판을 써서 이 역을 끌어온 청주시 수요는 별로 없다는 거(...)

일반 철도

  • 임실역○ - 읍내와 너무 멀다.
  • 경북선● - 별다른 수요처가 없고→배차간격이 늘어나고→주민들은 배차간격 좁은 시내버스를 이용하고→철도 수요는 적고→배차간격이 늘어나는 악순환 반복 중.
  • 진주역 서쪽 경전선● - 선형이 영 좋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