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렬비열도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날짜/출력 제거)
잔글 (틀:날짜/출력 제거)
9번째 줄: 9번째 줄:
|등고=112m
|등고=112m
|높이=14m
|높이=14m
|점등일자={{날짜/출력|1909-2}}
|점등일자=[[1909년#2월|1909년 2월]]
|광파표지/광달거리=10초 1백섬광 / 26해리
|광파표지/광달거리=10초 1백섬광 / 26해리
|명호=299~308
|명호=299~308
20번째 줄: 20번째 줄:


==등대 연혁==
==등대 연혁==
*{{날짜/출력|1909-6}} 격렬비열도등대 초점등(유인등대)
*[[1909년#6월|1909년 6월]] 격렬비열도등대 초점등(유인등대)
*[[1994년]] 항로표지관리원(등대원)의 철수로 무인화
*[[1994년]] 항로표지관리원(등대원)의 철수로 무인화
*[[2013년]] [[대산지방해양청]], [[충청남도]], 대전지방[[기상청]], [[산림청]] 등 6개 기관에서 격렬비열도등대의 유인화를 위한 업무협햑 체결{{ㅈ|[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97448.html ‘서쪽 끝’ 격렬비열도에 21년만에 등대지기, 한겨레신문사 2015-6-24기사]}}
*[[2013년]] [[대산지방해양청]], [[충청남도]], 대전지방[[기상청]], [[산림청]] 등 6개 기관에서 격렬비열도등대의 유인화를 위한 업무협햑 체결{{ㅈ|[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97448.html ‘서쪽 끝’ 격렬비열도에 21년만에 등대지기, 한겨레신문사 2015-6-24기사]}}

2021년 6월 15일 (화) 04:11 판

틀:등대

개요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27번지 격렬비열도 중 북격렬비열도의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대한민국 충청남도의 서해 중부 해상 가장 서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이다. 서해 중부 해상을 항해하는 육지초인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로 옹도등대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등대 연혁

기타사항

  • 등대 연혁을 보면 알겠지만 유인등대→무인등대→유인등대 이렇게 변경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무인화 당시에는 너무 격오지라서 근무하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직원을 철수시켰으나 중국과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문제가 점차 불거지면서 다시 유인화를 하게 되었다. 어찌보면 서해상의 독도와 비스무리한 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 등대가 위치한 북격렬비열도의 소유권은 본래 산림청에 있었으나 등대 점검을 하러 갈 때마다 산림청에 협조를 구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2015년에 다시 유인화를 추진하면서 대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아예 섬을 사들여 소유권을 이전하였다.
  • 등대가 위치한 북격렬비열도를 비롯한 격렬비열도는 괭이갈매기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 1992년 각종 항로표지시설을 컴퓨터와 전파신호를 통해 원격으로 조정하는 장치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는데 해당 장치가 최초로 도입된 등대가 바로 이 등대이다.
  • 이 등대에는 전파표지인 레이콘 시설과 선박위치표시장치인 AIS표시장치가 병설되어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