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등장인물| ]]
'''등장인물'''(登場人物)은 각종 창작물―[[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연극]], [[동화]], [[영화]] 등에 나오는 인물의 총칭이다. [[픽션]]에서는 아주 중요한 요소. [[영어]]로는 '''[[캐릭터]]'''(character)라고 한다.
'''등장인물'''(登場人物)은 각종 창작물―[[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연극]], [[동화]], [[영화]] 등에 나오는 인물의 총칭이다. [[픽션]]에서는 아주 중요한 요소. [[영어]]로는 '''[[캐릭터]]'''(character)라고 한다.
2019년 등장인물로 개발하여 갱플랭크, 읏맨, 별의 커비, 라인타운, 피닉스 라이트, 우주교향시 메텔, 겟타맨, 파워레인저, 드래곤볼, 욘두, 스톰트루퍼, 어벤저스 등도 포함한다.


== 단어 용법 ==
== 단어 용법 ==
10번째 줄: 7번째 줄:
이따금 『아, 이 캐릭터의 종족은 신이니까 등장인물이 아니라 등장신물이라고 써야겠군!』 『이 캐릭터의 종족은 드래곤이니까 등장용물이 맞지!』라는 어설픈 논리로 신물이니 용물이니 새로운 조어를 만들어 쓰는 경향이 보이지만, 이런 건 모두 잘못된 용법이다….
이따금 『아, 이 캐릭터의 종족은 신이니까 등장인물이 아니라 등장신물이라고 써야겠군!』 『이 캐릭터의 종족은 드래곤이니까 등장용물이 맞지!』라는 어설픈 논리로 신물이니 용물이니 새로운 조어를 만들어 쓰는 경향이 보이지만, 이런 건 모두 잘못된 용법이다….


== [[위키위키]]에서 ==
== [[위키]]에서 ==
각 작품별 [[문서]]에서 가장 길어지기 십상인 대목은 역시 등장인물 항목이다. 그렇기 때문에 등장인물은 『(작품명)/등장인물』 같은 식으로 하위 문서로 분할된 예가 많다. 등장인물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라이트 노벨]]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과 하위 문서인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등장인물]] 문서는 그 대표격.
각 작품별 [[문서]]에서 가장 길어지기 십상인 대목은 역시 등장인물 항목이다. 그렇기 때문에 등장인물은 『(작품명)/등장인물』 같은 식으로 하위 문서로 분할된 예가 많다. 등장인물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라이트 노벨]]·[[만화]] 작품인 [[어떤 시리즈]]하위 문서인 [[어떤 시리즈/등장인물]] 문서는 그 대표격.


== 등장인물 유형 ==
== 등장인물 유형 ==
21번째 줄: 18번째 줄:
*[[히로인]]
*[[히로인]]
*[[히어로]]
*[[히어로]]
{{각주}}
[[분류:등장인물| ]]

2021년 5월 13일 (목) 20:06 기준 최신판

등장인물(登場人物)은 각종 창작물―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연극, 동화, 영화 등에 나오는 인물의 총칭이다. 픽션에서는 아주 중요한 요소. 영어로는 캐릭터(character)라고 한다.

단어 용법[편집 | 원본 편집]

『등장인물』이라는 단어는 한 단어이기 때문에 『등장^인물』이라는 식으로 띄어쓰기를 하면 잘못된 표기가 된다. 또, 여기서 지칭하는 인물(人物)이란 사람 인자가 들어갔다고 해서 꼭 인간만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다. 의인화동물, , 상상의 동물, 무기물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따금 『아, 이 캐릭터의 종족은 신이니까 등장인물이 아니라 등장신물이라고 써야겠군!』 『이 캐릭터의 종족은 드래곤이니까 등장용물이 맞지!』라는 어설픈 논리로 신물이니 용물이니 새로운 조어를 만들어 쓰는 경향이 보이지만, 이런 건 모두 잘못된 용법이다….

위키에서[편집 | 원본 편집]

각 작품별 문서에서 가장 길어지기 십상인 대목은 역시 등장인물 항목이다. 그렇기 때문에 등장인물은 『(작품명)/등장인물』 같은 식으로 하위 문서로 분할된 예가 많다. 등장인물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라이트 노벨·만화 작품인 어떤 시리즈와 하위 문서인 어떤 시리즈/등장인물 문서는 그 대표격.

등장인물 유형[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