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터넷 은어]]==
{{틀:디시 인터넷 밈}}
[[DC]]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원===
즉흥 연기를 뜻하는 애드리브(ad lib)의 비표준어 '애드립'에서 뒤의 두 글자만 떼어낸 것이다. 'ad lib'도 사실 'ad libitum'의 약자이기 때문에 '드립'은 약자의 약자라고 볼 수 있다.
===표현===
*기본적으로 동사 '치다'와 결합하여 '드립(을) 치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찰지다'와 결합하여 '찰진 드립'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때는 '매우 재미있는 표현'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개'와 결합하여 [[개드립]]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원래 '질이 떨어지는' 등의 뜻을 가진 '개'자가 붙어서 '재미없는, 망한 표현'으로 볼 수 있겠지만 때에 따라서 '찰진 드립'과 동급으로 쓰이기도 한다. 항목 참고.


===위키 드립===
{{다른 뜻|드립 커피|인터넷 은어|커피}}
==[[커피]] 용어==
 
Drip. [[드립 커피]]을 줄여서 '드립'이라고도 한다. 자세한 것은 [[드립 커피]] 참고. <s>개가 내리면 개드립이 된다 카더라.</s>
'''드립'''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은어]]다. [[디시인사이드]]의 코갤에서 유래된 말이며, 쉽게 말해 농담조로 하는 멘트를 칭하는 말이다.
==주석==
 
<references />
==어원==
즉흥 연기를 뜻하는 애드리브(ad lib)의 비표준어 ‘애드립’에서 유래했다.
 
처음에 ‘개소리’+‘애드립’에 해당하는 ‘[[개드립]]’이라는 단어가 먼저 생겨났고, 그 이후 유사한 조어방식을 따르는 ‘패드립’, ‘섹드립’ 등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여러 ‘○드립’으로부터 일종의 역성법(이분석)으로 ‘드립’이라는 단어가 다시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
 
==표현==
*기본적으로 동사 ‘치다’와 결합하여 ‘드립(을) 치다’와 같이 쓰인다.
*꾸미는 말로는 ‘찰지다’가 많이 쓰인다. 즉 ‘찰진 드립’. 이때는 ‘매우 재미있는 표현’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위키 드립==
[[리그베다 위키]]에서 주로 쓰이던 드립. 여기에 영향을 받은 [[리브레 위키]]와 [[나무위키]]에서도 볼 수 있다.
* 취소선 드립 <del>이런 거</del>
* 링크 드립 <del>[[돼|아... 안 돼! 돼!]]</del>
 
== 하면 비난받거나 구속당할 수 있는 {{ㅊ|철컹철컹}} 드립 ==
* [[고인드립]]
* [[라떼드립]]
* [[마약드립]]
* [[인종차별]] 드립
* [[패드립]]
 
{{각주}}
[[분류:속어]]
[[분류:해학]]
[[분류:디시인사이드]]

2023년 1월 23일 (월) 22:29 기준 최신판

드립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은어다. 디시인사이드의 코갤에서 유래된 말이며, 쉽게 말해 농담조로 하는 멘트를 칭하는 말이다.

어원[편집 | 원본 편집]

즉흥 연기를 뜻하는 애드리브(ad lib)의 비표준어 ‘애드립’에서 유래했다.

처음에 ‘개소리’+‘애드립’에 해당하는 ‘개드립’이라는 단어가 먼저 생겨났고, 그 이후 유사한 조어방식을 따르는 ‘패드립’, ‘섹드립’ 등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여러 ‘○드립’으로부터 일종의 역성법(이분석)으로 ‘드립’이라는 단어가 다시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

표현[편집 | 원본 편집]

  • 기본적으로 동사 ‘치다’와 결합하여 ‘드립(을) 치다’와 같이 쓰인다.
  • 꾸미는 말로는 ‘찰지다’가 많이 쓰인다. 즉 ‘찰진 드립’. 이때는 ‘매우 재미있는 표현’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위키 드립[편집 | 원본 편집]

리그베다 위키에서 주로 쓰이던 드립. 여기에 영향을 받은 리브레 위키나무위키에서도 볼 수 있다.

하면 비난받거나 구속당할 수 있는 철컹철컹 드립[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