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원소): 두 판 사이의 차이

(틀 추가)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원소 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주석|금속}}
{{원소 정보
{{원소 정보
| 이름 = 주석
|이름     = 주석
| 원어이름 = Tin
|그림    =  
| 원자기호 =Sn
|그림설명 =
| 원자번호 =50
|기호    = Sn
| 원자모형 =주석 원자모형.svg
|번호    = 50
| 평균 원자량 =118.710
|족      =
| 모노이소토픽 원자량 =119.902199
|주기    =
| 밀도 =<ref name="white">white 기준</ref>7.265 g·cm³ <br/><ref>gray 기준</ref>5.769  
|계열    =  
| 원자 반지름 =145
|구역    =
| 상온상태 =고체
|전자배치 =
| 녹는점 =231.93
|전자 수  = 2, 8, 18, 18, 4
| 끓는점 =2602
|질량    = 118.710 Da
| 융해열 =<ref name="white"></ref>7.03
|반지름  = 145 pm
| 기화열 =<ref name="white"></ref>296.1
|공유    =
| 열용량 =<ref name="white"></ref>27.112
|판데르발스=
| 전기음성도 =1.96
|산화수  =
| 전자친화도 =107.3
|음성도  = 1.96
| 결정모양 =단순 정방정계
|이온화1  =
| CAS 등록번호 = 7440-31-5
|이온화2  =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ref name="white">white 기준</ref>7.265 g/cm³ <br /><ref>gray 기준</ref>5.769 g/cm<sup>3</sup>
|결정구조 = [[단순 정방정계]]
|녹는점   = 231.93 °C
|끓는점   = 2602 °C
|융해열   = <ref name="white"></ref>7.03 kJ/mol
|기화열   = <ref name="white"></ref>296.1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


==개요==
[[주기율표]] 14족 5주기에 위치한 [[금속]]원소로 은색의 금속으로 쉽게 산화되지 않고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특성이 있다.
[[주기율표]] 14족 5주기에 위치한 [[금속]]원소로 은색의 금속으로 쉽게 산화되지 않고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특성이 있다.
지구 표면에는 약 2ppm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는 희귀한 편에 속하는 원소이다.
지구 표면에는 약 2ppm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는 희귀한 편에 속하는 원소이다.


==특성==
==특성==
녹는점 [[섭씨]] 약 232도, 전기 저항율은 [[http://www.chip1stop.com/web/KOR/ko/tutorialContents.do?page=007 여기]를 참조하면 (낮은 순서) 12위로 저항이 낮은 편이다. <del>[[은]] : 피식...</del>
녹는점 [[섭씨]] 약 232도, 전기 저항율은 [http://www.chip1stop.com/web/KOR/ko/tutorialContents.do?page=007 여기]를 참조하면 (낮은 순서) 12위로 저항이 낮은 편이다. <del>[[은]] : 피식...</del>


경도가 무르고 열에도 약한 특성이 있어서, 거의 인체에 무해한 납 수준이다.
경도가 무르고 열에도 약한 특성이 있어서, 거의 인체에 무해한 납 수준이다.


이렇게 보면 납 대신 주석으로 납땜이 가능할 듯 하지만. 이러면 주석 [[휘스커]]문제가 생겨서 곤란해진다. 그래서 납과 섞어서 사용한다.
이렇게 보면 납 대신 주석으로 납땜이 가능할 듯 하지만. 이러면 주석 [[휘스커]]문제가 생겨서 곤란해진다. 그래서 납과 섞어서 사용한다.


==동소체==
==동소체==

2022년 6월 13일 (월) 00:56 기준 최신판

주석
원소 정보
기호 Sn
원자 번호 50
전자 수 2, 8, 18, 18, 4 (준위별)
원자의 성질
원자 질량 118.710 Da
반지름 원자 145 pm
전기 음성도 1.96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
1차
물리적 성질
상태 (STP) 고체
밀도 [1]7.265 g/cm³
[2]5.769 g/cm3
결정 구조 단순 정방정계
녹는점 231.93 °C
끓는점 2602 °C
융해열 [1]7.03 kJ/mol
기화열 [1]296.1 kJ/mol

주기율표 14족 5주기에 위치한 금속원소로 은색의 금속으로 쉽게 산화되지 않고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특성이 있다. 지구 표면에는 약 2ppm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는 희귀한 편에 속하는 원소이다.

특성[편집 | 원본 편집]

녹는점 섭씨 약 232도, 전기 저항율은 여기를 참조하면 (낮은 순서) 12위로 저항이 낮은 편이다.  : 피식...

경도가 무르고 열에도 약한 특성이 있어서, 거의 인체에 무해한 납 수준이다.

이렇게 보면 납 대신 주석으로 납땜이 가능할 듯 하지만. 이러면 주석 휘스커문제가 생겨서 곤란해진다. 그래서 납과 섞어서 사용한다.

동소체[편집 | 원본 편집]

동위원소[편집 | 원본 편집]

주석의 동위원소는 10가지 형태가 안정한 상태로 존재한다. 112Sn : 0.97% 114Sn : 0.66% 115Sn : 0.34% 116Sn : 14.54% 117Sn : 7.68% 118Sn : 24.22% 119Sn : 8.59% 120Sn : 32.58% 122Sn : 4.63% 124Sn : 5.79%

주석페스트[편집 | 원본 편집]

주석페스트 항목 참조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양철 : 철의 부식을 막기 위해 철보다 부식에 대한 저항력이 더 큰 주석을 도금하여 철이 산소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원리
  • 청동의 재료 : 청동합금에 주석이 3~10% 내외로 들어간다.
  • 땜납 : 과 주석을 2:1 비율로 섞으면 땜납이 된다. 두 금속의 성질이 비슷해서 이것이 가능.

각주

  1. 1.0 1.1 1.2 white 기준
  2. gray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