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새 철도역 정보' 표준화 v2.0)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Pika/대체용 틀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동대문역
|이름    = 동대문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서울)|종로]] 지하302 (1호선)<b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서울)|율곡로]] 지하308 (4호선)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서울)|종로]] 지하302 (1호선)<b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서울)|율곡로]] 지하308 (4호선)
|번호    = {{역번호/한국|128|수도권|1}} · {{역번호/한국|421|수도권|4}}
|번호    = {{역번호/한국|128|수도권|1}} {{역번호/한국|421|수도권|4}}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4.6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5.4 km</small>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4.6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5.4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19번째 줄: 18번째 줄:
|참고    =  
|참고    =  
|비고    =  
|비고    =  
|하위 틀  =
}}
}}


{{+1|동대문역}}<br />東大門驛 / Dongdaemun Station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동 (서울)|종로6가]]와 [[창신동]] 일원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의 [[환승역]].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동 (서울)|종로6가]]와 [[창신동]] 일원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의 [[환승역]]. 역명은 근처의 [[흥인지문]](동대문)에서 따왔다.


과거 [[서울전차]]의 시종착역이었던 동대문역이 이 근방에 있었다. 서울전차는 [[1968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공사를 시작하면서 폐지.
과거 [[서울전차]]의 시종착역이었던 동대문역이 이 근방에 있었다. 서울전차는 [[1968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공사를 시작하면서 폐지.
30번째 줄: 27번째 줄:
당초 6호선 [[동묘앞역]]은 이 동대문역과 환승통로를 신설하여 6호선 동대문역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6호선 환승에 300m, 심지어 4호선-6호선 환승은 600m이나 되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결과적으로 1호선 동묘앞역을 추가하기로 하였다.
당초 6호선 [[동묘앞역]]은 이 동대문역과 환승통로를 신설하여 6호선 동대문역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6호선 환승에 300m, 심지어 4호선-6호선 환승은 600m이나 되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결과적으로 1호선 동묘앞역을 추가하기로 하였다.


== 역 구조 ==
== 역사 ==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
* 1983년 9월 13일: 4호선 영업거리와 역명 고시<ref>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f>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삼선교]]~[[사당역|사당]] 구간 개통
 
== 시설 ==
=== 1호선 ===
=== 1호선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96번째 줄: 98번째 줄:


[[창동역]], [[서울역]], [[금정역]]과 더불어 1호선과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인데, 역 자체가 은근 [[막장환승]]이라 엄청난 인파를 볼 수 있다.
[[창동역]], [[서울역]], [[금정역]]과 더불어 1호선과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인데, 역 자체가 은근 [[막장환승]]이라 엄청난 인파를 볼 수 있다.
== 역사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하면서 1호선의 역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가,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면서 2개 환승역이 되었다.
[[2006년]] 4호선 동대문역에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107번째 줄: 104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1호선]]|노선거리=4.6 km
|노선명=[[서울 지하철 1호선]]|노선거리=4.6 km
|전방면=[[서울역]] 방면|전역=[[종로5가역|종로5가]]|전거리=0.8 km
|전방면=[[서울역]] 방면|전역=[[종로5가역|종로5가]]|전거리=0.8 km
128번째 줄: 125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1호선]][[분류:서울 도시철도 4호선]]
[[분류:서울 종로구의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57159276524269|127.01032161712646|15|동대문역}}

2024년 1월 18일 (목) 18:30 기준 최신판

동대문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302 (1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308 (4호선)
번호  128   421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4.6 km
서울 지하철 4호선 15.4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코드 AFC : 155 (1호선), 421 (4호선)
승강장 2면 2선 (1호선), 1면 2선 (4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창신동 일원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4호선환승역.

과거 서울전차의 시종착역이었던 동대문역이 이 근방에 있었다. 서울전차는 1968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공사를 시작하면서 폐지.

당초 6호선 동묘앞역은 이 동대문역과 환승통로를 신설하여 6호선 동대문역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6호선 환승에 300m, 심지어 4호선-6호선 환승은 600m이나 되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결과적으로 1호선 동묘앞역을 추가하기로 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
  • 1983년 9월 13일: 4호선 영업거리와 역명 고시[1]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4호선[편집 | 원본 편집]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1호선 4호선
소요산
방면
인천 · 신창
방면
당고개
방면
오이도
방면
출발지 1호선 소요산 방면 - 9-3
인천 · 신창 방면 1-3 - 1-3
4호선 당고개 방면 3-1 - 모든 문
오이도 방면 3-3 모든 문 -

창동역, 서울역, 금정역과 더불어 1호선과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인데, 역 자체가 은근 막장환승이라 엄청난 인파를 볼 수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흥인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두산타워(DOOTA) 등이 근처에 있다. 단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DDP, 두산타워 등은 이 역보다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내리는 편이 더 가깝다. 4번출구에는 문구/완구 종합 도매거리가 있다. 문구와 완구를 취급하는 도매상가로 소비자 가격의 30%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다만 아카데미과학 제품의 경우 회사의 방침상 20%만 할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이 무색해진 것이 토이킹덤, 토이저러스 라는 대형 완구매장이 생겨났고,대형 할인마트도 비슷한 가격대로 할인이 이뤄지고 있으며 온라인 매장이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근처에 거주하고있지 않은 이상은 굳이 찾아갈 만한 메리트가 없다. 게다가 신당동 방향쪽으로 이마트까지 위치해 있다. 마트에 비한다면 다양한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는 이점과 신제품을 빠르게 입수할 수 있다는 점은 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역 방면
종로5가 0.8 km
동대문 청량리 방면
동묘앞 0.6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청량리 방면
소요산 방면
 127  동묘앞
 128  동대문
천안·신창급행
완행
신창 방면
인천 · 신창 방면
 129  종로5가
4호선
당고개 방면
 420  혜화
 421  동대문 오이도 방면
 422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