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380번째 줄: 380번째 줄:


==2000년대==
==2000년대==
*[[2000년]]
**[[1월 1일]]
***기존의 5개의 지방 철도청을 폐지하고 17개 지역관리역 체제로, 본청의 4국 2본부 2담당관 1과 체제에서 11본부 3실 체제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함
***기차표 발매 실명제 실시(매표 담당자의 이름을 승차권이 인쇄하여 발매)
**[[1월 20일]] : [[교통카드|버스카드]]로 수도권 전철 이용 가능. 단 이 당시에는 인천지하철은 제외되었었음)
**[[2월 1일]] : 3월 1일 승차분부터 [[한중공동승차권]] 발매개시
**[[2월 26일]] : 한국철도 캐릭터 [[치포치포]] 발표. 그러나 이 캐릭터는 이후 공사화 되면서 묻혀져버렸다.
**[[4월]] : 국내 최초 "한국 철도지도" 발간
**[[5월]] : 철도회원 전용 홈페이지 바로타 닷컴 개설(www.barota.com)
**[[7월 1일]] : [[교외선]] 관광열차용 [[증기기관차]] 운행중지
**[[9월 18일]] : [[경의선]] 철도, 도로연결 기공식
**[[11월 14일]] [[정선선]] [[민둥산역|증산]]-[[구절리역|구절리]]간 운행되던 [[비둘기호]]의 운행 중단으로 비둘기호 열차가 역사 속으로 사라짐
*[[2001년]]
**[[2월 5일]] : 철도고객센터 개관, 철도안내전화와 철도회원 예약전화를 각각 1544-7788과 1544-8545로 통합
**[[3월 23일]] : 철도 승차권의 인터넷결제 실시
**[[9월 30일]] : [[경의선]] 철도의 운행을 [[임진강역]]까지로 연장하여 운행함
*[[2002년]]
*[[2002년]]
** [[4월 11일]] : 임진강 ~ [[도라산역]] 개통 및 운행개시.
**[[2월 12일]] ; [[경의선]] 망배 특별열차를 [[도라산역]]까지 운행 및 [[도라산역]] 현판식 거행. 이 망배특별열차는 1952년 이후 [[임진강철교]]를 건건 최초의 여객열차이다.
** [[4월 12일]] : [[KTX-I]] 국산제작 1호차<ref>KTX 13호</ref> 출고.
**[[2월 20일]] : [[김대중]] 대통령 및 미국 [[부시]] 대통령의 [[도라산역]] 방문. 이 때 대통령 전용열차인 [[경복호]]가 첫 선을 보였다.
**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4월 11일]] : 임진강 ~ [[도라산역]] 개통 및 운행개시.
**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4월 12일]] : [[KTX-I]] 국산제작 1호차<ref>KTX 13호</ref> 출고.
* [[2003년]]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참사]].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 [[4월 30일]] : [[경부선]]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 복선전철 개통.
**[[11월]] : [[광주 도시철도공사]] 창립
** [[5월 13일]]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시운전 개시.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 [[6월 14일]] : [[경의선]] 및 [[동해선]] 남북철도 연결 기념식.
*[[2003년]]
**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참사]]로 192명 사망, 148명 부상
**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도입.
**[[4월 30일]] : [[경부선]]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 복선전철 개통.
**[[5월 13일]]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시운전 개시.
**[[6월 14일]] : [[경의선]] 및 [[동해선]] 남북철도 연결 기념식.
**[[10월 23일]] : [[KTX]]차량 최초 인수(7호기)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11월 17일]] : [[경부고속철도]]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도입.
*[[2004년]]
*[[2004년]]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397번째 줄: 420번째 줄: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3월 31일]] : [[CDC]]를 제외한 통일호 열차의 전면 운행 중단.
**[[4월 1일]] :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4월 1일]] :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 [[녹동역|녹동]]-[[상무역|상무]]간 개통. 이 광주 지하철은 전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이다.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2005년]]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9월 8일]] : [[영동선]] [[동해역|동해]] ~ [[강릉역|강릉]] 전철화 완료.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8월 1일]] : KTX특송 서비스 시행
**[[9월 8일]] : [[영동선]] [[동해역|동해]]-[[강릉역|강릉]] 전철화 완료.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2006년]]
*[[2006년]]
**[[1월 1일]] : [[부산교통공사]] 창립.
**[[1월 1일]] : [[부산교통공사]] 창립.
**[[3월 16일]]
***[[대전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판암역|판암]]-[[정부청사역|정부청사]]간 12개역 개통
***[[경의선]], [[동해선]] CIQ준공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12월 8일]] : [[경부선]]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2007년]]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7월 1일]]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구 [[서울역]] 건물이 [[등록문화재]]로 [[문화재청]]에 귀속됨
**[[7월 16일]] : [[바다열차]]가 3량 1편성으로 개조완료.
**[[12월]] : KTX캐릭터 KTX-Mini의 탄생. 이 덕분에 기존 철도청 캐릭터인 치포치포는 완전히 잊혀졌다. [[안습]]
**[[12월 11일]] : [[경의선]] [[문산역|문산]] ~ [[봉동역|봉동]] 간 화물열차 운행개시.
**[[12월 11일]] : [[경의선]] [[문산역|문산]] ~ [[봉동역|봉동]] 간 화물열차 운행개시.
**[[12월 28일]] : [[금강하구둑]]을 경유하는 군산 ~ 장항간 철도연결 완료.
**[[12월 28일]] : [[금강하구둑]]을 경유하는 군산 ~ 장항간 철도연결 완료.
*[[2008년]]
**[[3월 20일]] : [[포항역|포항]]-[[삼척역|삼척]]간 연결을 위한 [[동해선|동해중부선]] 기공식
**[[9월 20일]] :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2009년]]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6월 1일]] : 간선형 전기동차 [[누리로]]의 [[서울역|서울]]-[[신창역|신창]]간 첫 영업운행
**[[7월 23일]] : [[호남고속선]] 착공식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역|개화]]-[[신논현역|신논현]]) 개통
**[[9월 12일]] : [[에코레일 자전거열차]] 운행
**[[9월 17일]] : 공항철도주식회사의 주식매매계약 체결로 코레일의 자회사가 됨. 이후 11월 30일 사명을 코레일공항철도(주)로 변경하게 된다.
**[[12월 19일]] : [[KTX]] 이용객 2억명 돌파
==2010년대==
*[[2010년]]


==2010년대==
==2010년대==

2016년 2월 10일 (수) 22:59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틀:날짜/출력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경의선 문산-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19.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20.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

틀: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