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역: 두 판 사이의 차이

29번째 줄: 29번째 줄: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환승 난이도
* [[환승]]
** [[개념환승]]
* [[개념환승]]
** [[막장환승]]
* [[막장환승]]
 
* [[엘리베이터가 없는 역]]
{{각주}}
{{각주}}
[[분류:철도 환승]]
[[분류:철도 환승]]
[[분류:철도역|*]]
[[분류:철도역|*]]

2019년 9월 24일 (화) 21:42 판

환승역(換乘驛, Interchange Station), 혹은 갈아타기역은 두 개 이상의 철도노선이 한 역에서 만나서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역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철도 간 환승이 아닌 철도와 버스 혹은 철도와 공항 사이의 환승이 가능한 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환승역의 형태

평면형

  • 평면형
    두 노선이 환승역에서 하나의 운임구역을 공유하는 경우. 분기역이나 완급결합 등의 이유로 볼 수 있다. 수도권 1호선 구로역이나 각종 여객철도 역사들이 그 예.

입체형

  • +자형
    환승지점이 두 개의 노선 모두 승장장의 한가운데에 있는 형태이다. 승강장의 높이차이가 상당하지 않는 이상 일반적으로 환승 난이도가 낮다. 다만 환승통로의 구조가 복잡한 대곡역이나 대림역의 경우는 예외.
  • T자형
    환승지점이 한 노선 기준으로는 한가운데에, 다른 노선 기준으로는 끝부분에 있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환승 난이도는 높지 않으나 두 승강장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간혹 막장환승이 되는 경우가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수도권 전철 분당선 선릉역이 대표적인 예로 3호선 승강장의 한가운데 지점과 분당선 승강장의 끝부분과 만난다.

환승통로

여객철도는 1개 역사에서 여러 노선의 열차를 처리하기 때문에 환승통로의 개념이 희박하나, 노선별로 개별 역사를 설치하는 도시철도에서는 환승통로가 중요한 시설이 된다.

환승통로가 짧으면 여객 입장에선 이득이지만, 통상 환승역은 대량의 여객전환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통로가 짧으면 용량 초과로 고생하기 쉽다. 대표적으로 신도림역이 유동인구 과다로 고생하는 케이스. 물론 물리적인 여건이 안 되어서 길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사례는 막장환승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