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동호인/용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9번째 줄: 99번째 줄:
*리클: 리클라이닝(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의 준말. 이 기능이 없는 좌석은 무리클이라고 말한다.
*리클: 리클라이닝(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의 준말. 이 기능이 없는 좌석은 무리클이라고 말한다.
*좌개차: 좌석개조차의 줄암말.
*좌개차: 좌석개조차의 줄암말.
*떡칠도색: 단색 도색을 이르는 말.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몬드리안 도색: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3분요리 (버스)|3분요리]]: 여러 노선에 투입하는 예비차를 이르는 말. 3분안에 행선판 끼우기 등 노선 세팅을 한다고 해서 생겨난 말이다.
*[[3분요리 (버스)|3분요리]]: 여러 노선에 투입하는 예비차를 이르는 말. 3분안에 행선판 끼우기 등 노선 세팅을 한다고 해서 생겨난 말이다.
*뺑코: [[에코드라이브]]의 별명.
*뺑코: [[에코드라이브]]의 별명.
117번째 줄: 114번째 줄:
*마버, 말버스: [[마을버스]]의 준말.
*마버, 말버스: [[마을버스]]의 준말.
*부천쌍팔 : [[부천 버스 88]]의 별명
*부천쌍팔 : [[부천 버스 88]]의 별명
*좆사삼: [[서울 버스 343]]의 별명. 노선 선정이 이상한 것을 개발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던 [[헤일로 시리즈]]의 개발사와 엮어 부르는 별명.
*좆사삼: [[서울 버스 343]]의 별명. 노선 선정이 이상한 것을 비꼬는 별명.
*노웅래B: 국회의원 노웅래가 [[서울 버스 271B]]를 만든 것에서작안한 별명
*3x00 시리즈 :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포천시 직행좌석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3x00 시리즈 :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포천시 직행좌석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1330시리즈 : 경춘로를 이용하는 가평군 직행좌석 농어촌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1330시리즈 : 경춘로를 이용하는 가평군 직행좌석 농어촌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138번째 줄: 136번째 줄:


== 도색 ==
== 도색 ==
*떡칠도색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등 단색으로 도색된 지자체의 버스 도색을 이르는 말.
*스마일도색 : [[경기도 시내버스]]의 둥근 부분을 웃는 얼굴과 비슷하다 해 부르는 말.
*스마일도색 : [[경기도 시내버스]]의 둥근 부분을 웃는 얼굴과 비슷하다 해 부르는 말.
*찢도색,찢공도색,찢기도색 :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만든 도색을 이르는 말. 공공버스, 전기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찢도색,찢공도색,찢기도색 :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만든 도색을 이르는 말. 공공버스, 전기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무지개도색 : 경기도 [[굿모닝버스]]와 디젤 [[2층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무지개도색 : 경기도 [[굿모닝버스]]와 디젤 [[2층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사기도색 : [[경원여객]] 등 일부 버스 회사에서 등급에 맞지 않는 도색을 하고 운행을 한 것을 의미한다.
*사기도색 : [[경원여객]] 등 일부 버스 회사에서 등급에 맞지 않는 도색을 하고 운행을 한 것을 의미한다.
*몬드리안도색: 개편 전 서울 버스와 현재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사용하는 도색이 몬드리안의 작품과 비슷하다 하여 생긴 별명.
*떡칠도색: 단색 도색을 이르는 말.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몬드리안 도색: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 커뮤니티 ==
== 커뮤니티 ==

2022년 4월 26일 (화) 15:15 판

개요

공식적인 버스 용어는 아니지만 버스와 관련된 속어, 은어, 신조어들을 정리한 항목이다.

개별 항목이 생길때마다 링크 추가바람.

회사

차량

영어로 된 모델명을 우리말로 바꾼 별명들이 생겨나고 있다. 세종대왕님이 좋아하십니다.

노선

  • 아웃(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를 지나가지 않는 노선을 이르는 말.
  • 인(지역명) : 차적지 또는 면허지가 중간 정류장이고 기점, 종점이 타지인 노선을 이르는 말.
  • 택배근성 : 뺑뼁 도는 굴곡노선을 이르는 말.
  • 빗자루질 : 노선 하나를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해서 승객을 쓸어담는 것을 이르는 말.
  • 일좌 : 일반좌석버스의 준말.
  • 직좌 : 직행좌석버스의 준말.
  • 마버, 말버스: 마을버스의 준말.
  • 부천쌍팔 : 부천 버스 88의 별명
  • 좆사삼: 서울 버스 343의 별명. 노선 선정이 이상한 것을 비꼬는 별명.
  • 노웅래B: 국회의원 노웅래가 서울 버스 271B를 만든 것에서작안한 별명
  • 3x00 시리즈 :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포천시 직행좌석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 1330시리즈 : 경춘로를 이용하는 가평군 직행좌석 농어촌버스를 묶어 부르는 말.

시설

  • 고터, 고텀 : 고속버스터미널의 준말.
  • 유숙헤어 : 세계에서 가장 큰 미용실...은 농담이고 유스퀘어의 별명.
  • 환센 : 환승센터
  • 부랄티 : BRT,바로타의 별명
  • 지랄티 : 청라국제도시 GRT의 별명
  • 버전 : 버스전용차로의 줄임말

버스 문화

  • 버덕, 버덕후 : 버스 동호인의 별명.
  • 미타, MM : 미드타운 매드니스의 준말.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철도와 버스 둘 다 도중하차라고 말하지만 니코동에서는 철도만 도중하차라고 말하고 버스는 '버스테이 시리즈'라고 말한다. 2019년 기준 현재는 도중하차가 아닌, 교통합성이라는 표현이 많이 쓰이고 있다.
  • 잡사 : '잡다한 사진'의 준말.
  • 시승: 다른 목적 없이 버스를 타기 위한 목적만으로 버스를 타는 것을 이르는 말.
  • 시내버스 여행 : 먼 거리를 시내버스만 이용하여 여러 번 환승하여 가는 행위.

도색

  • 스마일도색 : 경기도 시내버스의 둥근 부분을 웃는 얼굴과 비슷하다 해 부르는 말.
  • 찢도색,찢공도색,찢기도색 :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만든 도색을 이르는 말. 공공버스, 전기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 무지개도색 : 경기도 굿모닝버스와 디젤 2층버스의 도색을 의미한다.
  • 사기도색 : 경원여객 등 일부 버스 회사에서 등급에 맞지 않는 도색을 하고 운행을 한 것을 의미한다.
  • 떡칠도색: 단색 도색을 이르는 말.
    • RGBY, 지랄염병(Gi Ral Yeom Byeong...):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도색을 이르는 말.
  • 몬드리안 도색: 몬드리안의 추상화인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와 주황색, 흰색, 회색, 빨간색을 사각형으로 배치한 도색을 이르는 말.

커뮤니티

해악 및 민폐

  • 버싸대 : 버스 싸이코 대원의 준말로 버스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버스퍼거,퍼거 : 버스+아스퍼거 증후군에서 유래된 말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거나 그와 유사한 행동을 하는 버싸대를 이르는 말이다.
  • 속도충 : 과속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운행 방식

  • 탕 : 왕복 1회 운행을 이르는 말.
  • 가변스킬 : 중앙차로에 정차하지 않거나 좌회전 신호에 의해 버스전용차로만 신호에 걸리는 도로를 지나는 버스가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일반차로로 바꾸어 주행하는 행위

기타

  • 버카, 교카 : 교통카드의 준말.
    • 버카충, 교카충 : 교통카드충전의 준말.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알못 : 버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 본전 : 싼 값에 차급이 좋은 버스를 타거나 장거리 노선을 타는 것을 이르는 말.
  • 구간삥 : 구간요금을 속되게 이르는 말.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