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영어]] : Multiplication(Multiple), times / [[일본어]] : 乗法(乗算)・掛け算・掛け(-る)=乗じ(-る)


Multiplication
== 개요 ==
== 개요 ==
[[사칙연산]] 중 하나로, 초등학교에서 [[덧셈]]과 [[뺄셈]]을 배운 뒤에 배우게 된다. 초등학교에서 설명하는 곱셈의 발달 동기는, 2+2+…+2+2 (2가 22개)같은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실제로, [[덧셈]]만으로 저걸 표현하려면 길게 쭉 늘어놔야하지만, 곱셈으로 표현하면 2×22로 짧게 표현할 수 있다.
[[사칙연산]] 중 하나로, 초등학교에서 [[덧셈]]과 [[뺄셈]]을 배운 뒤에 배우게 된다. 초등학교에서 설명하는 곱셈의 발달 동기는, 2+2+…+2+2 (2가 22개)같은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실제로, [[덧셈]]만으로 저걸 표현하려면 길게 쭉 늘어놔야하지만, 곱셈으로 표현하면 2×22로 짧게 표현할 수 있다.


표기법으로는 ×와 •를 사용한다. [[LaTeX]]로는 <code>\times</code>와 <code>\cdot</code>로 쓴다. 만약 미지수가 포함되어 있다면 기호를 아예 생략하기도 한다. \(2\times x\)\(2\cdot x\)로 쓰지않고 \(2x\)와 같이. 물론, 미지수가 아닌 두 숫자끼리는 '''반드시''' 기호를 표시해 줘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22가 2×2인지 숫자 22인지 구별할 방법이 없게 된다. 유일한 예외는 두 숫자가 괄호로 구분되어 있을 때. \(2\times(2)\)를 그냥 \(2(2)\)로 표기해도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s>하지만 48÷2(9+3)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웬만하면 2(2) 같은 표현은 쓰지말자.</s>
표기법으로는 ×와 •를 사용한다. [[LaTeX]]로는 <code>\times</code>와 <code>\cdot</code>로 쓴다. 만약 미지수가 포함되어 있다면 기호를 아예 생략하기도 한다. <math>2\times x</math><math>2\cdot x</math>로 쓰지않고 <math>2x</math>와 같이. 물론, 미지수가 아닌 두 숫자끼리는 '''반드시''' 기호를 표시해 줘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22가 2×2인지 숫자 22인지 구별할 방법이 없게 된다. 유일한 예외는 두 숫자가 괄호로 구분되어 있을 때. <math>2\times(2)</math>를 그냥 <math>2(2)</math>로 표기해도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s>하지만 48÷2(9+3)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웬만하면 2(2) 같은 표현은 쓰지말자.</s>


== 정의 ==
== 정의 ==
기본적으로 0은 덧셈에 대한 [[항등원]], 1은 곱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그리고 \(-a\)\(a\)의 덧셈에 대한 역원이다. 자연수의 곱셈을 제외하고는 [[환 (수학)|가환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자.<ref>[[체 (수학)|체]]도 가환환이다.</ref>
기본적으로 0은 덧셈에 대한 [[항등원]], 1은 곱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그리고 <math>-a</math><math>a</math>의 덧셈에 대한 역원이다. 자연수의 곱셈을 제외하고는 [[환 (수학)|가환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자.<ref>[[체 (수학)|체]]도 가환환이다.</ref>


=== 자연수의 곱셈 ===
=== 자연수의 곱셈 ===
[[자연수]] \(n\)에 대해 \(na\)를 [[수학적 귀납법|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na</math>를 [[수학적 귀납법|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1\times a:=a\)<ref>[[항등원]]의 정의이기도 하다.</ref>
*<math>1\times a:=a</math><ref>[[항등원]]의 정의이기도 하다.</ref>
*<math>\left(n+1\right)a:=na+a</math>.
*<math>\left(n+1\right)a:=na+a</math>.


=== 정수의 곱셈 ===
=== 정수의 곱셈 ===
#\(a\times0=0\)
#<math>a\times0=0</math>
#:<math>0\cdot a=\left(0+0\right)\cdot a=\left(0\cdot a\right)+\left(0\cdot a\right)</math>이다. 위 식의 양변에 <math>\left(0\cdot a\right)</math>의 [[덧셈]]에 관한 [[역원]]을 더해주면, <math>0\cdot a=0</math>.
#:<math>0\cdot a=\left(0+0\right)\cdot a=\left(0\cdot a\right)+\left(0\cdot a\right)</math>이다. 위 식의 양변에 <math>\left(0\cdot a\right)</math>의 [[덧셈]]에 관한 [[역원]]을 더해주면, <math>0\cdot a=0</math>.
#:여기서 왜 [[0으로 나누기|0으로 나누는 것]]안 되는지 알 수 있다. 임의의 수 \(b\)에 대해서, \(b(1/b)=1\)이인데, \(b=0\)이면 좌변은 0이되고, 우변은 1이되어 0=1이 된다. 만약 0=1이 성립하는 zero ring이라면 저게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 체계, 즉, [[체 (수학)|체]]에서는 <math>0\neq1</math>을 가정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모순이 되기 때문.
#:여기서 왜 [[0으로 나누기]]안 되는지 알 수 있다. 임의의 수 <math>b</math>에 대해서, <math>b(1/b)=1</math>이인데, <math>b=0</math>이면 좌변은 0이되고, 우변은 1이되어 0=1이 된다. 만약 0=1이 성립하는 zero ring이라면 저게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 체계, 즉, [[체 (수학)|체]]에서는 <math>0\neq1</math>을 가정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모순이 되기 때문.
#\((-1)(-a)=a\)
#<math>(-1)(-a)=a</math>
#:<math>0=0\times\left(-a\right)=\left(-1+1\right)\left(-a\right)=\left(-1\right)\left(-a\right)+\left(-a\right)</math>. 양변에 \(a\)를 더해주면, <math>a=\left(-1\right)\left(-a\right)</math>.
#:<math>0=0\times\left(-a\right)=\left(-1+1\right)\left(-a\right)=\left(-1\right)\left(-a\right)+\left(-a\right)</math>. 양변에 <math>a</math>를 더해주면, <math>a=\left(-1\right)\left(-a\right)</math>.
#\((-1)a=-a\)
#<math>(-1)a=-a</math>
#:<math>\left(-1\right)\left(-a\right)=a</math>의 양변에 -1을 곱하면, <math>\left(-1\right)\left(-1\right)\left(-a\right)=\left(-1\right)a</math>. 그런데 <math>\left(-1\right)\left(-1\right)=1</math>이므로, <math>\left(-1\right)a=-a</math>.
#:<math>\left(-1\right)\left(-a\right)=a</math>의 양변에 -1을 곱하면, <math>\left(-1\right)\left(-1\right)\left(-a\right)=\left(-1\right)a</math>. 그런데 <math>\left(-1\right)\left(-1\right)=1</math>이므로, <math>\left(-1\right)a=-a</math>.
이제, <math>\left(-n\right)a=-\left(na\right)</math>로 정의하면, 모든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이제, <math>\left(-n\right)a=-\left(na\right)</math>로 정의하면, 모든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위는 [[추상대수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한 것이고, [[해석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도 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정수]]를 두 자연수의 차로 나타내는 것. 두 정수 \(x,\,y\)에 대해, 적당한 자연수 \(m,\,n,\,a,\,b\)가 존재하여 <math>x=m-n,\,y=a-b</math>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math>xy := ma+nb-mb-na</math>로 정의하면,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위는 [[추상대수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한 것이고, [[해석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도 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정수]]를 두 자연수의 차로 나타내는 것. 두 정수 <math>x,\,y</math>에 대해, 적당한 자연수 <math>m,\,n,\,a,\,b</math>가 존재하여 <math>x=m-n,\,y=a-b</math>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math>xy := ma+nb-mb-na</math>로 정의하면,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 유리수의 곱셈 ===
=== 유리수의 곱셈 ===
33번째 줄: 32번째 줄:
[[실수]]의 곱셈의 정의는 [[데데킨트 절단]]이 들어가서 비전공자에겐 상당히 난해하게 보인다. 먼저 [[실수]]의 정의에 대해 간략하게 알고 가자.
[[실수]]의 곱셈의 정의는 [[데데킨트 절단]]이 들어가서 비전공자에겐 상당히 난해하게 보인다. 먼저 [[실수]]의 정의에 대해 간략하게 알고 가자.


먼저, 유리수의 진부분 집합 \(U\)가 있다고 하자. 만약 \(U\)가,
먼저, 유리수의 진부분 집합 <math>U</math>가 있다고 하자. 만약 <math>U</math>가,
#<math>x\in U</math>이고 <math>y> x</math>이면 <math>y\in U</math>
#<math>x\in U</math>이고 <math>y> x</math>이면 <math>y\in U</math>
#<math>U</math>는 가장 작은 원소를 갖지 않는다
#<math>U</math>는 가장 작은 원소를 갖지 않는다
위 두 성질을 만족하면 \(U\)를 <math>\mathbb{Q}</math>의 '''ray'''라 정의한다. 이 때, \(U\)의 여집합 <math>U'=\mathbb{Q}\setminus U</math>는 가장 큰 원소를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U'\)가 가장 큰 원소를 갖는다면 \(U\)를 type 1, 아니면 type 2라 부르기로 하자. \(U\)가 type 1이면, 적당한 유리수 \(r\)에 대해 <math>U=\left\{x\in\mathbb{Q}\mid x> r\right\}</math>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때, \(U\)를 '''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위 두 성질을 만족하면 <math>U</math>를 <math>\mathbb{Q}</math>의 '''ray'''라 정의한다. 이 때, <math>U</math>의 여집합 <math>U'=\mathbb{Q}\setminus U</math>는 가장 큰 원소를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math>U'</math>가 가장 큰 원소를 갖는다면 <math>U</math>를 type 1, 아니면 type 2라 부르기로 하자. <math>U</math>가 type 1이면, 적당한 유리수 <math>r</math>에 대해 <math>U=\left\{x\in\mathbb{Q}\mid x> r\right\}</math>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때, <math>U</math>를 '''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순서가 정의된 임의의 [[체 (수학)|체]] \(F\)에 대해, 모든 ray가 type 1이면 이 체 \(F\)를 '''complete'''하다고 부른다. 그런데 유리수의 집합 <math>\mathbb{Q}</math>는 complete하지 않다.<ref>증명은 대부분의 해석학 교제에 있으니 그 쪽을 참고.</ref> 즉, <math>\mathbb{Q}</math>는 type 2 ray를 갖게 되며, 이 ray를 '''ir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순서가 정의된 임의의 [[체 (수학)|체]] <math>F</math>에 대해, 모든 ray가 type 1이면 이 체 <math>F</math>를 '''complete'''하다고 부른다. 그런데 유리수의 집합 <math>\mathbb{Q}</math>는 complete하지 않다.<ref>증명은 대부분의 해석학 교제에 있으니 그 쪽을 참고.</ref> 즉, <math>\mathbb{Q}</math>는 type 2 ray를 갖게 되며, 이 ray를 '''ir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이제, [[실수]]를 <math>\mathbb{Q}</math>의 ray라 정의한다. {{ㅊ|'''뭔 개소리야'''}}
이제, [[실수]]를 <math>\mathbb{Q}</math>의 ray라 정의한다. {{ㅊ|'''뭔 개소리야'''}}


실수를 정의했으니 이제 실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 있다. \(U,\,V\)를 두 실수(ray)라 할 때, 실수의 곱셈은 아래 네 가지 경우로 나눠 정의한다.
실수를 정의했으니 이제 실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 있다. <math>U,\,V</math>를 두 실수(ray)라 할 때, 실수의 곱셈은 아래 네 가지 경우로 나눠 정의한다.
#<math>0\not\in U,\,0\not\in V</math>
#<math>0\not\in U,\,0\not\in V</math>
#:<math>U\cdot V:=\left\{uv\mid u\in U\wedge v\in V\right\}</math>
#:<math>U\cdot V:=\left\{uv\mid u\in U\wedge v\in V\right\}</math>
53번째 줄: 52번째 줄:


=== 복소수의 곱셈 ===
=== 복소수의 곱셈 ===
[[복소수]]의 곱셈은 [[실수]]의 곱셈을 확장하여 얻는다. <math>i=\sqrt{-1}</math>라 할 때, 임의의 복소수는 적당한 두 실수 \(a,\,b\)에 대해 <math>a+bi</math> 꼴로 나타낼 수 있다. 두 복소수를 <math>z_1=a+bi,\,z_2=c+di</math>라 할 때, <math>z_1\cdot z_2:=\left(ac-bd\right)+\left(ad+bc\right)i</math>로 정의한다.
[[복소수]]의 곱셈은 [[실수]]의 곱셈을 확장하여 얻는다. <math>i=\sqrt{-1}</math>라 할 때, 임의의 복소수는 적당한 두 실수 <math>a,\,b</math>에 대해 <math>a+bi</math> 꼴로 나타낼 수 있다. 두 복소수를 <math>z_1=a+bi,\,z_2=c+di</math>라 할 때, <math>z_1\cdot z_2:=\left(ac-bd\right)+\left(ad+bc\right)i</math>로 정의한다.


== 곱셈의 기본 성질 ==
== 곱셈의 기본 성질 ==
가환환의 세 원소 \(a,\,b,\,c\)에 대해,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가환환의 세 원소 <math>a,\,b,\,c</math>에 대해,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분배법칙: <math>a\cdot\left(b+c\right)=\left(a\cdot b\right)+\left(a\cdot c\right)</math>
*분배법칙: <math>a\cdot\left(b+c\right)=\left(a\cdot b\right)+\left(a\cdot c\right)</math>
*결합법칙: <math>\left(a\cdot b\right)\cdot c=a\cdot\left(b\cdot c\right)</math>
*결합법칙: <math>\left(a\cdot b\right)\cdot c=a\cdot\left(b\cdot c\right)</math>
65번째 줄: 64번째 줄:
== 다른 곱셈 ==
== 다른 곱셈 ==
*두 [[벡터]] <math>\vec{u},\,\vec{v}</math>에 대해, <math>\vec{u}\cdot\vec{v}</math>는 벡터의 [[내적]]이 된다. <math>\vec{u}\times\vec{v}</math>는 벡터의 [[벡터곱|외적]]. 벡터 계산을 할 때는 ×와 •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하니 주의하자.
*두 [[벡터]] <math>\vec{u},\,\vec{v}</math>에 대해, <math>\vec{u}\cdot\vec{v}</math>는 벡터의 [[내적]]이 된다. <math>\vec{u}\times\vec{v}</math>는 벡터의 [[벡터곱|외적]]. 벡터 계산을 할 때는 ×와 •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하니 주의하자.
*두 [[행렬]] \(A,\,B\)에 대해, \(A\)\(n\times m\), \(B\)\(m\times p\) 행렬이라고 하자. 그럼 <math>\left(AB\right)_{ij}</math>는 <math>\sum_{k=1}^mA_{ik}B_{kj}</math>로 정의한다. 즉, \(A\)\(i\)번째 행벡터와 \(B\)\(j\)번째 열벡터의 [[내적]]을 구한 것.
*두 [[행렬]] <math>A,\,B</math>에 대해, <math>A</math><math>n\times m</math>, <math>B</math><math>m\times p</math> 행렬이라고 하자. 그럼 <math>\left(AB\right)_{ij}</math>는 <math>\sum_{k=1}^mA_{ik}B_{kj}</math>로 정의한다. 즉, <math>A</math><math>i</math>번째 행벡터와 <math>B</math><math>j</math>번째 열벡터의 [[내적]]을 구한 것.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2024년 4월 18일 (목) 17:51 기준 최신판

영어 : Multiplication(Multiple), times / 일본어 : 乗法(乗算)・掛け算・掛け(-る)=乗じ(-る)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사칙연산 중 하나로, 초등학교에서 덧셈뺄셈을 배운 뒤에 배우게 된다. 초등학교에서 설명하는 곱셈의 발달 동기는, 2+2+…+2+2 (2가 22개)같은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실제로, 덧셈만으로 저걸 표현하려면 길게 쭉 늘어놔야하지만, 곱셈으로 표현하면 2×22로 짧게 표현할 수 있다.

표기법으로는 ×와 •를 사용한다. LaTeX로는 \times\cdot로 쓴다. 만약 미지수가 포함되어 있다면 기호를 아예 생략하기도 한다. [math]\displaystyle{ 2\times x }[/math][math]\displaystyle{ 2\cdot x }[/math]로 쓰지않고 [math]\displaystyle{ 2x }[/math]와 같이. 물론, 미지수가 아닌 두 숫자끼리는 반드시 기호를 표시해 줘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22가 2×2인지 숫자 22인지 구별할 방법이 없게 된다. 유일한 예외는 두 숫자가 괄호로 구분되어 있을 때. [math]\displaystyle{ 2\times(2) }[/math]를 그냥 [math]\displaystyle{ 2(2) }[/math]로 표기해도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48÷2(9+3)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웬만하면 2(2) 같은 표현은 쓰지말자.

정의[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0은 덧셈에 대한 항등원, 1은 곱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그리고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a }[/math]의 덧셈에 대한 역원이다. 자연수의 곱셈을 제외하고는 가환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자.[1]

자연수의 곱셈[편집 | 원본 편집]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a }[/math]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1\times a:=a }[/math][2]
  • [math]\displaystyle{ \left(n+1\right)a:=na+a }[/math].

정수의 곱셈[편집 | 원본 편집]

  1. [math]\displaystyle{ a\times0=0 }[/math]
    [math]\displaystyle{ 0\cdot a=\left(0+0\right)\cdot a=\left(0\cdot a\right)+\left(0\cdot a\right) }[/math]이다. 위 식의 양변에 [math]\displaystyle{ \left(0\cdot a\right) }[/math]덧셈에 관한 역원을 더해주면, [math]\displaystyle{ 0\cdot a=0 }[/math].
    여기서 왜 0으로 나누기가 안 되는지 알 수 있다. 임의의 수 [math]\displaystyle{ b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b(1/b)=1 }[/math]이인데, [math]\displaystyle{ b=0 }[/math]이면 좌변은 0이되고, 우변은 1이되어 0=1이 된다. 만약 0=1이 성립하는 zero ring이라면 저게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 체계, 즉, 에서는 [math]\displaystyle{ 0\neq1 }[/math]을 가정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모순이 되기 때문.
  2. [math]\displaystyle{ (-1)(-a)=a }[/math]
    [math]\displaystyle{ 0=0\times\left(-a\right)=\left(-1+1\right)\left(-a\right)=\left(-1\right)\left(-a\right)+\left(-a\right) }[/math]. 양변에 [math]\displaystyle{ a }[/math]를 더해주면, [math]\displaystyle{ a=\left(-1\right)\left(-a\right) }[/math].
  3. [math]\displaystyle{ (-1)a=-a }[/math]
    [math]\displaystyle{ \left(-1\right)\left(-a\right)=a }[/math]의 양변에 -1을 곱하면, [math]\displaystyle{ \left(-1\right)\left(-1\right)\left(-a\right)=\left(-1\right)a }[/math]. 그런데 [math]\displaystyle{ \left(-1\right)\left(-1\right)=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left(-1\right)a=-a }[/math].

이제, [math]\displaystyle{ \left(-n\right)a=-\left(na\right) }[/math]로 정의하면, 모든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위는 추상대수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한 것이고, 해석학적인 방법으로 정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도 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정수를 두 자연수의 차로 나타내는 것. 두 정수 [math]\displaystyle{ x,\,y }[/math]에 대해, 적당한 자연수 [math]\displaystyle{ m,\,n,\,a,\,b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x=m-n,\,y=a-b }[/math]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math]\displaystyle{ xy := ma+nb-mb-na }[/math]로 정의하면, 정수에 대해 곱셈이 정의된다.

유리수의 곱셈[편집 | 원본 편집]

유리수의 곱셈은 정수의 곱셈을 조금 더 확장하여 얻는다. 먼저, 임의의 유리수를 두 정수의 쌍으로 나타낸다.[3] 그러니까, [math]\displaystyle{ \frac{a}{b}=\left(a,b\right) }[/math] 이런 식으로. 이 때, [math]\displaystyle{ \frac{a}{b}\times\frac{m}{n}=\left(a,b\right)\times\left(m,n\right):=\left(am,bn\right)=\frac{am}{bn} }[/math]로 정의한다. 뭔가 거창해 보이지만 분모는 분모끼리, 분자는 분자끼리 정수의 곱셈을 하라는 소리이다.

실수의 곱셈[편집 | 원본 편집]

실수의 곱셈의 정의는 데데킨트 절단이 들어가서 비전공자에겐 상당히 난해하게 보인다. 먼저 실수의 정의에 대해 간략하게 알고 가자.

먼저, 유리수의 진부분 집합 [math]\displaystyle{ U }[/math]가 있다고 하자. 만약 [math]\displaystyle{ U }[/math]가,

  1. [math]\displaystyle{ x\in U }[/math]이고 [math]\displaystyle{ y\gt x }[/math]이면 [math]\displaystyle{ y\in U }[/math]
  2. [math]\displaystyle{ U }[/math]는 가장 작은 원소를 갖지 않는다

위 두 성질을 만족하면 [math]\displaystyle{ U }[/math][math]\displaystyle{ \mathbb{Q} }[/math]ray라 정의한다. 이 때, [math]\displaystyle{ U }[/math]의 여집합 [math]\displaystyle{ U'=\mathbb{Q}\setminus U }[/math]는 가장 큰 원소를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math]\displaystyle{ U' }[/math]가 가장 큰 원소를 갖는다면 [math]\displaystyle{ U }[/math]를 type 1, 아니면 type 2라 부르기로 하자. [math]\displaystyle{ U }[/math]가 type 1이면, 적당한 유리수 [math]\displaystyle{ r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U=\left\{x\in\mathbb{Q}\mid x\gt r\right\} }[/math]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때, [math]\displaystyle{ U }[/math]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순서가 정의된 임의의 [math]\displaystyle{ F }[/math]에 대해, 모든 ray가 type 1이면 이 체 [math]\displaystyle{ F }[/math]complete하다고 부른다. 그런데 유리수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bb{Q} }[/math]는 complete하지 않다.[4] 즉, [math]\displaystyle{ \mathbb{Q} }[/math]는 type 2 ray를 갖게 되며, 이 ray를 irrational ray라 정의한다.

이제, 실수[math]\displaystyle{ \mathbb{Q} }[/math]의 ray라 정의한다. 뭔 개소리야

실수를 정의했으니 이제 실수의 곱셈을 정의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U,\,V }[/math]를 두 실수(ray)라 할 때, 실수의 곱셈은 아래 네 가지 경우로 나눠 정의한다.

  1. [math]\displaystyle{ 0\not\in U,\,0\not\in V }[/math]
    [math]\displaystyle{ U\cdot V:=\left\{uv\mid u\in U\wedge v\in V\right\} }[/math]
  2. [math]\displaystyle{ 0\in U,\,0\not\in V }[/math]
    [math]\displaystyle{ U\cdot V:=\left\{r\in\mathbb{Q}\mid\exists u\in U\,\exists0\leq y\in V',\,r\gt uy\right\} }[/math]
  3. [math]\displaystyle{ 0\not\in U,\,0\in V }[/math]
    [math]\displaystyle{ U\cdot V:=\left\{r\in\mathbb{Q}\mid\exists0\leq x\in U'\,\exists v\in V,\,r\gt xv\right\} }[/math]
  4. [math]\displaystyle{ 0\in U,\,0\in V }[/math]
    [math]\displaystyle{ U\cdot V:=\left\{r\in\mathbb{Q}\mid\exists x\in U'\,\exists v\in V',\,r\gt xy\right\} }[/math]

복소수의 곱셈[편집 | 원본 편집]

복소수의 곱셈은 실수의 곱셈을 확장하여 얻는다. [math]\displaystyle{ i=\sqrt{-1} }[/math]라 할 때, 임의의 복소수는 적당한 두 실수 [math]\displaystyle{ a,\,b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bi }[/math] 꼴로 나타낼 수 있다. 두 복소수를 [math]\displaystyle{ z_1=a+bi,\,z_2=c+di }[/math]라 할 때, [math]\displaystyle{ z_1\cdot z_2:=\left(ac-bd\right)+\left(ad+bc\right)i }[/math]로 정의한다.

곱셈의 기본 성질[편집 | 원본 편집]

가환환의 세 원소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 분배법칙: [math]\displaystyle{ a\cdot\left(b+c\right)=\left(a\cdot b\right)+\left(a\cdot c\right) }[/math]
  • 결합법칙: [math]\displaystyle{ \left(a\cdot b\right)\cdot c=a\cdot\left(b\cdot c\right) }[/math]
  • 교환법칙: [math]\displaystyle{ a\cdot b=b\cdot a }[/math].

만약 가환환이 domain이라면 아래 성질도 성립한다.

  • 소거법칙: [math]\displaystyle{ a\cdot b=a\cdot c }[/math]이고 [math]\displaystyle{ a\neq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b=c }[/math].

다른 곱셈[편집 | 원본 편집]

  • 벡터 [math]\displaystyle{ \vec{u},\,\vec{v}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vec{u}\cdot\vec{v} }[/math]는 벡터의 내적이 된다. [math]\displaystyle{ \vec{u}\times\vec{v} }[/math]는 벡터의 외적. 벡터 계산을 할 때는 ×와 •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하니 주의하자.
  • 행렬 [math]\displaystyle{ A,\,B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n\times m }[/math], [math]\displaystyle{ B }[/math][math]\displaystyle{ m\times p }[/math] 행렬이라고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left(AB\right)_{ij} }[/math][math]\displaystyle{ \sum_{k=1}^mA_{ik}B_{kj} }[/math]로 정의한다. 즉,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i }[/math]번째 행벡터와 [math]\displaystyle{ B }[/math][math]\displaystyle{ j }[/math]번째 열벡터의 내적을 구한 것.

관련 항목[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도 가환환이다.
  2. 항등원의 정의이기도 하다.
  3. [math]\displaystyle{ \mathbb{Q}\cong\mathbb{Z}\times\mathbb{Z}^\times }[/math]이므로 가능하다.
  4. 증명은 대부분의 해석학 교제에 있으니 그 쪽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