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0으로 나누기

분류:
  • 산술
숨은 분류:
  • 유튜브 영상이 포함된 문서


0으로 나누기(divide by 0)는 산술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들 중 하나이다.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경우 일반적인 수체계에는 모순이 생긴다.

목차

  • 1 정의되지 않은 이유
  • 2 허용하게 되면?
  • 3 프로그래밍 언어의 처리
  • 4 같이 보기
  • 5 바깥 링크

1 정의되지 않은 이유[편집]

수학에서 0으로 나누기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곱셈 연산의 결과를 유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나 나눗셈의 예를 들면, 10에는 2가 5개 있으므로 10÷2=5이다. 하지만 같은 방법으로 10÷0을 계산하려 하면, 0은 값이 없기 때문에 계산하지 못한다.

좀 더 일반적인 경우를 살펴보자. a를 b로 나눈 결과가 c라는 것은 a=b×c와 같다. 여기서 b가 0이라면 우변은 0이되고, 따라서 a 역시 0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는 c의 값을 유일하게 정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된다.

흔히 말하는 [math]\frac 1 0 = \infty[/math]는 사실 극한 형태이며, [math]\lim_{n \to 0^+} \frac{1}{n} = \infty[/math]를 나타낸다. 만약 [math]\frac 1 0 = \infty[/math]로 정의하면 [math]\infty = \frac 1 0 = \frac 1{-0} = -\infty[/math]라는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일반적인 실수 체계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이를 참으로 여겨 수직선([math]\mathbb R \cup \{\infty \} [/math])을 원으로, 복소평면([math]\mathbb C \cup \{\infty \} [/math])을 구면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각각 실사영직선, 리만 구라고 한다. 참고 물론 저 체계에서 [math]\infty = -\infty[/math]이라고 해서 [math]2\infty =0, \infty = 0[/math]이라는 소리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이항이 성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체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정의이기 때문이다.

2 허용하게 되면?[편집]

0으로 나누는 연산이 수학에서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기 전에, 0과 나눗셈에 대해 간단히 알고 가자.

대수학에서 0이란, 덧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즉, [math]a+e=e+a=a[/math]가 성립하게 만드는 원소 [math]e[/math]를 0으로 정의하는 것.

나눗셈이란, 어떤 수의 곱셈의 역원을 곱하는 행위를 뜻한다. 초등학교에서 말하는 "전체안에 부분이 몇 개"는 사실 정확한 비유가 아니며, 이해를 돕기위해 만든 설명일 뿐. 즉, [math]a\div b[/math]는 사실 [math]a\times b^{-1}[/math]을 뜻하며, [math]b^{-1}[/math]는 [math]b[/math]의 곱셈에 대한 역원을 뜻한다.

한편, 어떤 수에 곱셈에 대한 역원을 곱하면 역원의 정의에 의해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나온다. 환에서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보통 1로 정의하므로, [math]a\times a^{-1}=1[/math]이 성립한다. 여기까지 알았으면 0으로 나누기, 즉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역원의 정의에 의해,

[math]0\times0^{-1}=1[/math]

가 성립한다. 한편, 임의의 수에 덧셈에 대한 항등원(= 0)을 곱하면 0이 나오므로,

[math]0\times0^{-1}=0[/math]

따라서, 0=1이 성립한다. 이제, 환의 임의의 원소 [math]a[/math]에 대해,

[math]a=a\times1=a\times0=0[/math]

이므로, 이 환에는 원소가 0밖에 없다.

따라서,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면 수가 0 단 하나뿐인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체계를 영환(zero-ring)이라 부르며, 당연히 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 이런 재미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는 [math]0\neq1[/math]를 가정하며, 이 조건은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내포한다.

3 프로그래밍 언어의 처리[편집]



위에 있는 0으로 나눴더니 스파크가 튀면서 칩이 손상된다는 동영상은 재미를 위해 만든 것이다. 0으로 나눈다고 스파크 튀면서 불나진 않으니 안심.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0으로 나누면 Divide-by-Zero 오류를 내고, 예외 처리가 없으면 시스템이 정지된다. 하지만 지금 시대에 이런 기초적인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고, 시스템이 정지되는 일 역시 없다.

4 같이 보기[편집]

  • 00
  • 0.999...=1

5 바깥 링크[편집]

  • 네이버캐스트 1÷0은?
  • 이 문서는 2019년 10월 11일 (금) 08: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