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

Superpaper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월 9일 (토) 04:10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역사을(를) 추가함)

소개

國父

국가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한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로 명예로운 비공식적인 호칭 중 하나이다. 여성의 경우에는 국모라는 호칭을 받는다.

보통 그 나라 국민들이 합치된 의견으로 존경받는 사람에게 붙이는 명칭이나 독재자들은 스스로를 국부라는 호칭을 불리길 원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나라의 건국자들에게 붙이는[1] 경우가 많으나 굳이 나라를 건국하지 않더라도 나라에서 큰 일을 해냈을때도 국부라는 호칭을 받을 수 있다.

해당 국가의 국민들에게 최고로 존경받는 인물이기 때문에 그 나라 사람 앞에서 해당 국부를 욕하면 적게는 말다툼부터 크게는 외교문제까지 영 좋지 못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의 국부

국부가 누구냐라는 것으로 항상 논쟁이 거세다.

주로 좌측에서는 김구를 주로 밀어주고 우측에서는 박정희나 이승만을 밀어주는 경우가 많으며 국부는 없다는 의견도 거세다.

김구 : 보통 국부라는 호칭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나 김구의 행적등이 그리 좋지 못한점을 미루어 비판하는 사람도 존재한다.

이승만 : 국부라는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사람이나 본인의 실책과 민주주의 후퇴 등으로 반발이 거세며 최후로는 국민들 손으로 쫒아냈기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많다.

박정희 : 이승만과 비슷한 케이스로 대한민국에 기여한 공도 크지만 그만큼 과도 무시할수없을 만큼 많아 반발이 거센편이다.

국부 없음 : 문자그대로 국부라고 불릴만한 사람도 없으며 굳이 국부라는 사람을 모셔야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많은편이다.

해리 S. 트루먼 : 반농담조로 하는 말이긴 하지만 대한민국의 건국과정을 보면 위의 모든 케이스를 압살하고도 남는 인물.

결론은 아직까지는 정식으로 국부라고 불리는 사람은 없다.

국부라고 인정받는 국부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터키 이승만

조지 워싱턴 : 미국 이승만

마하트마 간디 : 인도 이승만

쑨원 :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양측에서 인정받는 중국 이승만

마오쩌둥 : 중국 이승만 2

호치민 : 베트남 이승만

리콴유 : 싱가포르 이승만

넬슨 만델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승만

샤를 드 골 : 프랑스 이승만

해리 S. 트루먼 : (농담조이긴 하지만)대한민국 이승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국부

이승만 : 원조 이승만

김일성 : 북괴 이승만

망한나라 국부

블라디미르 레닌 : 소련 이승만

  1.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