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 |
---|---|
![]() |
|
출생 |
1876년 8월 29일 조선 황해도 해주군 백운방 |
사망 |
1949년 6월 26일 (73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평동 경교장 |
종교 | 감리회 |
배우자 | 최준례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
|
임기 |
1926년 12월 14일~1927년 8월 (국무령) 1940년 3월 13일~1947년 3월 3일 (주석) |
부통령 부주석 |
이인성 (부통령) 김규식 (부주석) |
전임 |
홍진 이동녕 |
후임 |
이동녕 이승만 |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1]~1949년 6월 26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호는 백범(白凡). 본명은 김창수이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76년 몰락한 양반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1896년 백범 김구는 일본 상인이었던 쓰치다 조스케를 죽였다. 이를 치하포 사건이라고 하는데 당시 그는 쓰치다가 명성황후를 죽인 군인이라고 생각 하고 죽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시절 상하이로 망명 가면서 임시 정부 조직에 참여 했다. 이 시기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를 돕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신탁 통치가 일어나자 반대하고 공산 정권에 대해 부정적으로 봤다.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김구가 치하포 사건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킬구라는 별명을 얻었다.
- 김구에 대해 과대 평가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저서[편집 | 원본 편집]
- 《백범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