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진항

Text-Justify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3월 29일 (월) 20:32 판
  • 淸津港

개요

함경북도 청진시에 위치한 동해 북부의 주요한 무역항으로 함경북도 지역의 광산물 수송을 위한 철도가 함께 부설되어 있으며, 일제시기 급속도로 발달한 북한 최대의 항구 중 한 곳이다. 이 항구는 동항, 서항, 어항, 및 동해안어항의 4개 항으로 구분되어있다.

부속항구 및 항만시설

동항

청진만 북동쪽에 시가지를 끼고있는 항구로 예전부터 무역항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주로 곡물과 일반화물, 활석 등을 취급하고 있다. 동항의 부두 총연장은 약 1,000m이며 3개의 부두가 자리하고 있다. 1~2부두에서는 잡화를, 취급하며, 3부두는 곡물을 주로 취급한다. 하역시설은 15톤급 크레인 3대, 2~5톤급 크레인 5대, 벌크크레인 2대(곡물부두), 컨베이어벨트 1기 등이 설치되어있다.

서항

수성천 하구 서쪽에 있는 항만으로 철강원료와 석탄 등을 취급하고 있다. 인근에는 김책제철소가 자리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서항방파제가, 서쪽에는 동쪽 방향으로 서항 남방파제가 자리하고 있다. 총 5개의 부두가 있으며, 1부두에서는 곡물과 모래를 취급하며, 2부두에서는 광석과 강재 등을 처리한다. 3부두에서는 인근 무산광산에서 생산되는 철광석을 반출하기 위한 시설이 있으며 4~5부두는 인근 김책제철소의 석탄과 코크스, 강재를 취급하는 부두로 이용되고 있다. 하역시설은 25톤급 크레인 3대, 8.5톤급 10대, 5톤급 9대와 15톤급 트럭크레인 20여대, 컨베이어벨트 2대 등이 있다.

어항

수성천 하구쪽에 신설된 항구로 물양장, 수산물 가공공장 등의 시설이 있으며, 청진조선소가 자리하고 있다. 항 입구에는 동측과 서측에 각각 방파제가 자리하고 있다.

동해안어항

청진시가지의 동쪽 고말산반도 동편의 작은 만입부에 자리하고 있다. 입구의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동방파제가 있고, 소형어선들이 주로 이용하는 곳이다.

기타사항

  • 이 청진항은 야간에는 입항이 금지되어있는 항구이다. 또한 출항 역시 마찬가지로 주간에만 이루어지며, 일몰 1시간 30분 이전까지 출항하여야 한다.
  • 이 항구는 강제도선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도선사가 탑승하지 않으면 입항이 불가하다.
  • 심한 추위가 오면 이쪽 해역의 바다도 간혹 얼어붙는 경우가 있다. 보통은 살얼음 정도지만 일제강점기인 틀:날짜/출력에는 방파제 안쪽이 15~18cm정도 두께로 결빙되어 항만의 출입항이 제한되었던 적이 있다. 이외에 해빙기에 러시아쪽에서 유빙이 청진 앞바다까지 흘러내려오기도 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