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물리적 위치를 보아 해당역 분기라 보기 어려움)
25번째 줄: 25번째 줄:


== 열차 이용 정보 ==
== 열차 이용 정보 ==
[[무궁화호]]가 상행 3회, 하행 3회 정차한다. 경부선 상행열차 중 서울행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으며 대전행만 일부 정차한다. 때문에 신동역에서는 [[대구북연결선]]이 분기한다. [[서울특별시|서울]] 및 [[수도권]]으로 한번에 갈 수 없다.
[[무궁화호]]가 상행 3회, 하행 3회 정차한다. 경부선 상행열차 중 서울행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으며 대전행만 일부 정차한다. 때문에 신동역에서는 [[서울특별시|서울]] 및 [[수도권]]으로 한번에 갈 수 없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40번째 줄: 40번째 줄: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지천역|지천]]|후거리=7.4 km}}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지천역|지천]]|후거리=7.4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10103 [[대구북연결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당역='''연결선(경부선)'''<ref>경부선 기점 305.9 km, 신동역 기점 -5.1 km</ref>
|후방면=|후역=연결선(경부고속선)<ref>경부고속선 당시(대구도심구간 완공 전) 당시 223.6 km</ref><br />|후거리=3.5 km}}
|노선명=30215 [[신동화물선]]|노선거리=0.0 km
|노선명=30215 [[신동화물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전방면=|전역=

2022년 4월 7일 (목) 21:46 판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동로7길 37
(신리 506)
노선 경부선 305.9 km
신동화물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관리역
개업일 1918년 10월 25일
코드 223

개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동로7길 3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열차 이용 정보

무궁화호가 상행 3회, 하행 3회 정차한다. 경부선 상행열차 중 서울행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으며 대전행만 일부 정차한다. 때문에 신동역에서는 서울수도권으로 한번에 갈 수 없다.

주변 정보

기타

차후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 이후에도 전동열차가 정차할 예정이 없다. 그럼 신동역은 상위열차인 무궁화호는 서는데 하위열차인 광역전철은 안서는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 다만 칠곡군 측에서는 신동역에도 광역전철을 정차시키려하고있어 어떻게될지는 모른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연화 3.7 km
신동 부산 방면
지천 7.4 km
(기점) 신동 신동화물 방면
신동화물 4.7 km

경유 열차

{{경유 열차 목록 |전체목록 =

무궁화호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충북종단 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