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륙 내부에 위치한 국가를 뜻한다. 대부분의 내륙국들은 이 때문에 실질적 해양영토가 없고, 기후상 물 부족에 시달리기도 한다. [[섬나라]]와는 반대된다.
대륙 내부에 위치한 국가를 뜻한다. 대부분의 내륙국들은 이 때문에 실질적 해양영토가 없고, 기후상 물 부족에 시달리기도 한다. [[섬나라]]와는 반대된다. 그 특성상 해군이 존재하지 않을 것 같지만 [[내륙국의 해군|의외로 있는 경우도 있다]]. 물론 대부분은 구색만 갖춘 수준이지만.


== 내륙국 목록 ==
== 내륙국 목록 ==

2021년 7월 11일 (일) 12:05 판

대륙 내부에 위치한 국가를 뜻한다. 대부분의 내륙국들은 이 때문에 실질적 해양영토가 없고, 기후상 물 부족에 시달리기도 한다. 섬나라와는 반대된다. 그 특성상 해군이 존재하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있는 경우도 있다. 물론 대부분은 구색만 갖춘 수준이지만.

내륙국 목록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할 경우에 내륙국인 경우에는 # 처리한다.

준내륙국

아래는 명목상으론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그게 지나치게 짧거나 거주 부적합, 항로 이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실상 내륙국 취급을 받는 나라들이다. 괄호 안은 해안선의 길이.

  • 이라크 (21km) : 일단 아라비아해 방향으로 움카스르라는 항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지형상 항로가 매우 비좁아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있다.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콩고민주공화국 (35km) : 그래도 기후가 습하고 콩고 강이 나라에 길게 뻗어 있어 물 부족에 시달리진 않는다.
  • 불가리아/루마니아/우크라이나/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1. 단, 카스피해를 바다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엔 이중내륙국에 우즈베키스탄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