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네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원소 정보))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Electron shell 118 Ununoctium - no label.svg|280px|섬네일|우누녹튬의 전자 배치도 모습.]]
{{원소 정보
|이름    = 오가네손
|그림    =
|그림설명 =
|기호    = Og
|번호    = 118
|족      =
|주기    =
|계열    =
|구역    =
|전자배치 =
|전자 수  = 2, 8, 18, 32, 32, 18, 8 (예측)
|질량    = (294) Da
|반지름  =
|공유    = 157 pm (예측)
|판데르발스=
|산화수  =
|음성도  =
|이온화1  =
|이온화2  =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4.9–5.1 g/cm<sup>3</sup>
|결정구조 =
|녹는점  =
|끓는점  = 80±30 °C
|융해열  = 23.5 kJ/mol
|기화열  = 19.4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오가네손(Oganesson)은 [[주기율표]]의 118번 원소로, [[초우라늄 원소]]에 속한다. 성질은 라돈과 비슷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1999년]]부터 합성 시도를 하였으나 [[2006년#10월|2006년 10월]]에 합성 발표를 하였고, [[2016년]] [[6월 8일]] 명명되었다.


{| class="wikitable"
[[안정성의 섬]] 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감기는 대략 0.89ms이다. 그런 점과, 초우라늄 원소 중 유일한 [[18족 원소]]라는 점 때문인지, [[2002년]] [[빅토르 니노프]]라는 물리학자에 의해 이 자리에 있는 원소가 발견되었다는 '''[[주작 (인터넷 유행어)|주작]] 논문'''이 작성된 적이 있었다.
|| 한국어 || 우누톡늄
|-
|| 영어 || Ununoctium
|-
|| 원자번호 || 118
|-
|| 원소기호 || '''Uuo'''
|-
|| 평균원자량 || 294u(추정)
|-
|}


우누녹튬(Ununoctium)[[주기율표]]의 118번 원소로, [[초우라늄 원소]]에 속한다. 성질은 라돈과 비슷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1999년부터 합성 시도를 하였으나 2006년 10월에 합성 발표를 하였고, 현재는 임시 원소인 상태이다.
18족 원소이지만 방사성 원소 특유의 불안정성을 무시한다면 오가네손은 [[라돈]]이나 [[제논]]에 비해 화학적 활성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같은 족의 [[크립톤]], [[제논 (원소)|제논]]만 하여도 [[할로겐 원소]]와의 화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2주기를 더 간 이 오가네손은 [[가리움 효과]]에 의해 당연히 화학적인 활성이 보다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이놈이 관측된 건 원자 개수 단위라서(....)


안정성의 섬 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감기는 대략 0.89ms이다. 그런 점과, 초우라늄 원소 중 유일한 [[18족 원소]]라는 점 때문인지, 2002년 [[빅토르 니노프]]라는 물리학자에 의해 이 자리에 있는 원소가 발견되었다는 '''[[주작]] 논문'''이 쓰여진 적이 있었다.
현재 예측되는 오가네손의 화합물로는 오가네손 이량체(Og<sub>2</sub> {{ㅊ|4중결합?!}}), 사플루오린화 오가네손(OgF<sub>4</sub>) 등이 있다.
 
18족 원소이지만 방사성 원소 특유의 불안정성을 무시한다면 우누녹튬은 [[라돈]]이나 [[제논]]에 비해 화학적 활성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같은 족의 [[제논]]만 하여도 할로겐 원소와의 화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2주기를 더 간 이 우누녹튬은 [[가리움 효과]]에 의해 당연히 화학적인 활성이 보다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이놈이 관측된건 원자 개수 단위라서(....)
 
현재 예측되는 우누녹튬의 화합물로는 우누녹튬 이량체(Uuo<sub>2</sub>), 사플루오린화 우누녹튬(UuoF<sub>4</sub>) 등이 있다.


{{주기율표}}
{{주기율표}}
----
{{주석}}
<references/>
[[분류:원소]][[분류:비활성 기체]]
[[분류:화학]][[분류:원소]][[분류:물리학]][[분류:비활성 기체]]

2022년 6월 13일 (월) 00:54 기준 최신판

오가네손
원소 정보
기호 Og
원자 번호 118
전자 수 2, 8, 18, 32, 32, 18, 8 (예측) (준위별)
원자의 성질
원자 질량 (294) Da
반지름 공유 157 pm (예측)
이온화
에너지
1차
물리적 성질
상태 (STP) 고체
밀도 4.9–5.1 g/cm3
끓는점 80±30 °C
융해열 23.5 kJ/mol
기화열 19.4 kJ/mol

오가네손(Oganesson)은 주기율표의 118번 원소로, 초우라늄 원소에 속한다. 성질은 라돈과 비슷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1999년부터 합성 시도를 하였으나 2006년 10월에 합성 발표를 하였고, 2016년 6월 8일 명명되었다.

안정성의 섬 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감기는 대략 0.89ms이다. 그런 점과, 초우라늄 원소 중 유일한 18족 원소라는 점 때문인지, 2002년 빅토르 니노프라는 물리학자에 의해 이 자리에 있는 원소가 발견되었다는 주작 논문이 작성된 적이 있었다.

18족 원소이지만 방사성 원소 특유의 불안정성을 무시한다면 오가네손은 라돈이나 제논에 비해 화학적 활성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같은 족의 크립톤, 제논만 하여도 할로겐 원소와의 화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2주기를 더 간 이 오가네손은 가리움 효과에 의해 당연히 화학적인 활성이 보다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이놈이 관측된 건 원자 개수 단위라서(....)

현재 예측되는 오가네손의 화합물로는 오가네손 이량체(Og2 4중결합?!), 사플루오린화 오가네손(OgF4) 등이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