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할 경우에 내륙국인 경우에는 # 처리한다.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할 경우에 내륙국인 경우에는 # 처리한다.
* 아시아
* 아시아
** [[몽골]]
** {{국기|몽골}}
** [[라오스]]
** {{국기|라오스}}
** [[부탄]]
** {{국기|부탄}}
** [[네팔]]
** {{국기|네팔}}
** [[아프가니스탄]]
** {{국기|아르메니아}}
** [[키르기스스탄]]
** {{국기|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국기|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국기|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국기|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국기|카자흐스탄}}#
** [[아제르바이잔]]#
** {{국기|투르크메니스탄}}#
** [[아르메니아]]
** {{국기|아제르바이잔}}#
* 아프리카
* 아프리카
** [[말리]]
** {{국기|말리}}
** [[부르키나파소]]
** {{국기|부르키나파소}}
** [[니제르]]
** {{국기|니제르}}
** [[차드]]
** {{국기|차드}}
** [[남수단]]
** {{국기|남수단}}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국기|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에티오피아]]
** {{국기|에티오피아}}
** [[우간다]]
** {{국기|우간다}}
** [[잠비아]]
** {{국기|잠비아}}
** [[짐바브웨]]
** {{국기|짐바브웨}}
** [[보츠와나]]
** {{국기|보츠와나}}
** [[레소토]]
** {{국기|레소토}}
** [[에스와티니]]
** {{국기|에스와티니}}
** [[말라위]]
** {{국기|말라위}}
** [[르완다]]
** {{국기|르완다}}
** [[브룬디]]
** {{국기|부룬디}}
* 유럽
* 유럽
** [[몰도바]] : 아주 아슬아슬하게 우크라이나의 해안선으로 막혀있다. 국립공원 지역이긴 하지만, 일단 가장 가까운 거리가 단 2km. 뭐... 그래봤자 나오는 건 흑해이지만.
** {{국기|몰도바}} : 아주 아슬아슬하게 우크라이나의 해안선으로 막혀있다. 국립공원 지역이긴 하지만, 일단 가장 가까운 거리가 단 2km. 뭐... 그래봤자 나오는 건 흑해이지만.
** [[북마케도니아]]
** {{국기|북마케도니아}}
** [[코소보]]
** {{국기|코소보}}
** [[세르비아]]
** {{국기|세르비아}}
** [[헝가리]]
** {{국기|헝가리}}
** [[오스트리아]]
** {{국기|오스트리아}}
** [[체코]]
** {{국기|체코}}
** [[슬로바키아]]
** {{국기|슬로바키아}}
** [[스위스]]
** {{국기|스위스}}
** [[리히텐슈타인]] : 또다른 [[스위스|내륙]][[오스트리아|국들]]로 둘러쌓인, 유일한 이중내륙국.<ref>단, 카스피해를 바다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엔 이중내륙국에 우즈베키스탄도 포함된다.</ref>
** {{국기|리히텐슈타인}} : 또다른 [[스위스|내륙]][[오스트리아|국들]]로 둘러쌓인, 유일한 이중내륙국.<ref>단, 카스피해를 바다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엔 이중내륙국에 우즈베키스탄도 포함된다.</ref>
** [[룩셈부르크]]
** {{국기|룩셈부르크}}
** [[바티칸시국]]
** {{국기|바티칸시국}}
** [[산마리노]]
** {{국기|산마리노}}
** [[안도라]]
** {{국기|안도라}}
* 아메리카
* 아메리카
** [[파라과이]]
** {{국기|파라과이}}
** [[볼리비아]]
** {{국기|볼리비아}}


== 준내륙국 ==
== 준내륙국 ==
아래는 명목상으론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그게 지나치게 짧거나 거주 부적합, 항로 이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실상 내륙국 취급을 받는 나라들이다. 괄호 안은 해안선의 길이.
아래는 명목상으론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그게 지나치게 짧거나 거주 부적합, 항로 이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실상 내륙국 취급을 받는 나라들이다. 괄호 안은 해안선의 길이.
* [[이라크]] (21km) : 일단 아라비아해 방향으로 [[움카스르]]라는 항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지형상 항로가 매우 비좁아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있다.
* {{국기|이라크}} (21km) : 일단 아라비아해 방향으로 [[움카스르]]라는 항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지형상 항로가 매우 비좁아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있다.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국기|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국기|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콩고민주공화국]] (35km) : 그래도 기후가 습하고 콩고 강이 나라에 길게 뻗어 있어 물 부족에 시달리진 않는다.
* {{국기|콩고민주공화국}} (35km) : 그래도 기후가 습하고 콩고 강이 나라에 길게 뻗어 있어 물 부족에 시달리진 않는다.
* [[불가리아]]/[[루마니아]]/[[우크라이나]]/[[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 {{국기|불가리아}}/{{국기|루마니아}}/{{국기|우크라이나}}/{{국기|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분류:지리]][[분류:나라]]
[[분류:지리]][[분류:나라]]

2021년 7월 11일 (일) 16:32 판

대륙 내부에 위치한 국가를 뜻한다. 대부분의 내륙국들은 이 때문에 실질적 해양영토가 없고, 기후상 물 부족에 시달리기도 한다. 섬나라와는 반대된다. 그 특성상 해군이 존재하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있는 경우도 있다. 물론 대부분은 구색만 갖춘 수준이지만.

내륙국 목록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할 경우에 내륙국인 경우에는 # 처리한다.

준내륙국

아래는 명목상으론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그게 지나치게 짧거나 거주 부적합, 항로 이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실상 내륙국 취급을 받는 나라들이다. 괄호 안은 해안선의 길이.

  • 이라크 (21km) : 일단 아라비아해 방향으로 움카스르라는 항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지형상 항로가 매우 비좁아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있다.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콩고민주공화국 (35km) : 그래도 기후가 습하고 콩고 강이 나라에 길게 뻗어 있어 물 부족에 시달리진 않는다.
  •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1. 단, 카스피해를 바다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엔 이중내륙국에 우즈베키스탄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