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바다쪽의 해안선만 측정)
57번째 줄: 57번째 줄: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콩고민주공화국]] (35km)
* [[불가리아]]/[[루마니아]]/[[우크라이나]]/[[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 [[불가리아]]/[[루마니아]]/[[우크라이나]]/[[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분류:지리]][[분류:나라]]
[[분류:지리]][[분류:나라]]

2021년 6월 14일 (월) 00:10 판

대륙 내부에 위치한 국가를 뜻한다. 대부분의 내륙국들은 이 때문에 실질적 해양영토가 없고, 기후상 물 부족에 시달리기도 한다. 섬나라와는 반대된다.

내륙국 목록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할 경우에 내륙국인 경우에는 # 처리한다.

준내륙국

아래는 명목상으론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그게 지나치게 짧거나 거주 부적합, 항로 이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실상 내륙국 취급을 받는 나라들이다. 괄호 안은 해안선의 길이.

  • 이라크 (21km) : 일단 아라비아해 방향으로 움카스르라는 항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지형상 항로가 매우 비좁아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있다.
  • 요르단 (22km) : 1965년에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석유가 나오는 땅을 넘겨주면서까지, 간신히 아카바 항구를 가져오면서 겨우 내륙국을 면했다. 그래도 사우디가 일단은 쓸만한 항구를 넘겨준 덕인지, 이라크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4km) : 네움이 있긴 하지만, 수도 사라예보와의 육로 접근성이 시망이고, 그 해역 자체도 크로아티아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어서 유명무실한 해안선의 대표격이다.
  • 콩고민주공화국 (35km)
  • 불가리아/루마니아/우크라이나/조지아 : 흑해에만 접한 나라들로, 터키가 독점중인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을 막아버리면 꼼짝없이 내륙국이 되버린다.
  1. 단, 카스피해를 바다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엔 이중내륙국에 우즈베키스탄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