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함부르크선

베를린–함부르크선
Bahnstrecke Berlin–Hamburg
나라 독일
종류 간선 철도
번호

  • 선구 번호 (VzG)
    • 6100, 6107 (본선)
    • 1244 (함부르크 S반)
  • 시각표 번호 (KBS)
    • 100, 102, 172, 204, 209.10, 209.14 (본선)
    • 101.2, 101.21 (S반)
구간 베를린 중앙 ~ 함부르크 중앙
영업거리 284.1 km
소유자 DB Netze
운영자 DB Fernverkehr
DB Schenker
DB Reigo Nord 등
개통일 1846년 12월 15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 구간)
1 (베를린 기점 282.2 km - 284.6 km 구간)
전기 교류 15 kV, 16⅔ Hz, 가공전차선 (본선)
직류 1,200 V, 제3궤조 (함부르크 S반)

독일의 두 대도시인 베를린함부르크를 잇는 노선이다. 노선이 건설될 당시에는 5개 공국을 통과하는 사철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1884년 프로이센 정부에서 전 노선을 국유화하였다. 노선 개통 당시에는 양대 도시에 함부르크 베를린 역과 베를린 함부르크 역이 있었으나, 함부르크 베를린 역은 함부르크 하노버 역과 합쳐져 1906년에 새로 건설된 함부르크 중앙역에 기능을 넘겨 주고 폐역되었고, 베를린 쪽은 베를린 레어터 역에 기능을 넘겨 주고 1884년에 폐역되었다.

1920-1930년대에 실험적인 고속 열차가 운행하였던 등 한 동안 잘 나가는 노선이었으나 독일이 분단 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함부르크 및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베를린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이 동독으로 편입되면서 현대 한국의 경의선과 비슷한 상황이 되었다. 독일 통일 이후에 직통 IC 열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하였고, 별도의 300 km/h급 고속선 설치와 200 km/h급 노선 고속화 중 노선 고속화가 진행되었다. 함부르크 S반이 일찍 전철화된 데 반해서 본선 쪽은 1997년에야 전 구간 전철화되었다. 2000년대부터 ICE가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2차 세계 대전 이전 고속 열차의 운행 시간을 회복하였다.

함부르크 S반은 본선 구간과 평행하게 복복선 궤도가 깔려 있으며, 같은 노선으로 취급된다. 반면 베를린 S반의 노선은 베를린–함부르크 선에 병행하는 짧은 구간이 있지만, 별도의 노선으로 취급한다. 원래에는 본선 구간에도 직류 750 V 전철화 구간이 있었으나, 1980년 베를린 S반 파업 이후로 영업이 중지되었고 이후 다시 전철화되지 않았다.

주요 간선인 주제에 함부르크 말단부에 단선 구간이 있다. 다만 화물 열차 우회선도 있고, 베를린과 함부르크 간의 열차 통행량에 비해 근거리 열차의 비중이 적은 편이라 심각하게 문제가 되는 수준은 아닌 편. 근거리 열차의 비중이 적은 이유는 함부르크 근교는 S반용 선로가 따로 있으며, 베를린–함부르크 선이 중간에 폐역도 몇 곳 있고, 여객 열차를 취급하지 않는 역도 많아 평균 역간 거리가 굉장히 넓은 편이기 때문이다. 근거리 열차가 자주 다니지 않으니 장거리 열차에 간혹 있는 근거리 열차까지 합하면 부담스러운 정도는 아니라는 것. 워낙 단선 구간이 짧기도 하고.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장거리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지역 열차[편집 | 원본 편집]

  •  RE 1  함부르크 중앙역 - 슈베린 - 로스토크

함부르크 S반[편집 | 원본 편집]

  •  S 2  함부르크-알토나 - 함부르크 - 베르게도르프
  •  S 21  엘브가우슈트라세/함부르크-알토나 - 함부르크-담토어 - 함부르크 - 베르게도르프 - 아우뮐레

베를린 S반[편집 | 원본 편집]

  •  S 41  /  S 42  베스트하펜 - 보이셀슈트라세 - 융페른하이데 (베를린 순환선 병행)
  •  S 5  슈트레소 - 슈판다우 (슈판다우 근교선 병행)

융페른하이데 - (지멘스슈타트-퓌르스텐브룬) - 슈판다우 구간은 1980년 이전까지만 S반이 운행했고, 현재는 RE/RB로만 접근 가능하다. 1980년대에 U7이 정확히 병행해서 들어오게 되면서 이 구간 복원 가능성은 안드로메다로...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본선 S반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 직결
베를린 쥐트크로이츠역 방면
1.3 베를린 중앙역 (레어테 역) Berlin Hbf[1] (Lehrter Bf) 베를린–레어테선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
베를린 도심선
베를린 지하철 E선 ( U55 )
2.9 베를린-모아비트 신호장 Berlin-Moabit 베를린 순환선
5.7 베를린 융페른하이데 Berlin Jungfernheide 베를린 순환선
베를린 지하철 H선 ( U7 )
8.7 베를린 비젠담 분기점 Abzw[2] Berlin Wiesendamm 베를린 순환선 연결선 (6179호선)
10.4 (베를린-슈판다우 구내 동쪽) (Berlin-Spandau Ost)[3] 베를린 도심선 (장거리선, 6109호선)
베를린–레어테선 (6185호선)
베를린 순환선 연결선 (6179호선)
10.0[4]
12.4 베를린-슈판다우 Berlin-Spandau 베를린–레어테선 (6179 · 6185호선)
하노버–베를린 고속선 (6185호선)
슈판다우 근교선 (6025호선)
베를린 지하철 H선 ( U7 )
13.4 (베를린-슈판다우 구내 서쪽) (Berlin-Spandau West)[3] (6185호선과의 실질적 분기점)
17.2 베를린-알브레흐츠호프 Berlin-Albrechtshof
18.3 제게펠트 Seegefeld
20.4 팔켄제 Falkensee
23.0 핑켄크루크 Finkenkrug
24.6 핑켄크루크 (아피) 분기점 Abzw[2] Finkenkrug (Afi) 베를린 외곽순환선 연결선 (6098호선)
26.7 브리젤랑 Brieselang 베를린 외곽순환선 연결선 (6099, 6101호선)
35.4 나우엔 Nauen
49.0 파울리넨아우 Paulinenaue
61.7 프리자크 Friesack (Mark)
75.4 노이슈타트 Neustadt (Dosse) RIG 노이슈타트–마이옌부르크선 (6938호선)
RIG 노이슈타트–헤르츠베르크선 (6946호선)
92.1 브레딘 Breddin
101.8 글뢰벤 Glöwen
112.8 바트 빌스나크 Bad Wilsnack
126.6 비텐베르게 Wittenberge 마그데부르크–비텐베르게선 (6401호선)
비텐베르게–슈트라스부르크선 (6941호선)
135.8 데르겐틴 Dergenthin
144.3 카르슈태트 Karstädt
154.8 클라인 바르노 Klein Warnow
154.8 그라보 Grabow (Meckl.)
154.8 루트비히스루스트 Ludwigslust 루트비히스루스트–비스마르선 (6441호선)
루트비히스루스트–파르힘선 (6935호선)
180.6 야스니츠 Jasnitz
184.7 슈트로키르헨 Strohkirchen
184.7 하게노 란트 Hagenow Land 하게노–슈베린선 (6442호선)
하게노–바트 올데슬로선 (6928호선)
202.6 프리트치어 Pritzier
202.6 브랄스트로프 Brahlstrof
225.1 보이첸부르크 Boizenburg (Elbe)
232.0 슈반하이데 Schwanheide
238.9 뷔헨 Büchen 뤼베크–뤼네베르크선 (1121 · 1150호선)
240.0 뷔헨 신호장 Büchen Bbf[5]
243.9 뮈센 Müssen
249.2 슈바르첸베크 Schwarzenbek
259.6 프리트히리스루 Friedrichsruh
261.3 25.2 아우뮐레 Aumühle (함부르크 S반선 종점)
- 22.4 볼토르프 Wohltorf
- 20.1 라인베크 Reinbek
270.1 16.3 함부르크-베르게도르프 Hamburg-Bergedorf
271.8 14.6 함부르크-네텔른부르크
(함부르크-베르게도르프 화물역)
Hamburg-Nettelnburg
(Hamburg-Bergedorf Gbf)[6][7]
AKN 베르게도르프-헤스트하흐트 철도선
- 13.1 함부르크-알러뫼에 (S반) Hamburg-Allermöhe (S-Bahn)
273.7 - 함부르크-알러뫼에 분기점 Abzw[2] Hamburg-Allermöhe 함부르크 화물우회선 (1280호선)
- 11.0 함부르크 미틀레러 란트베크 Hamburg Mittlerer Landweg
278.3 8.0 함부르크 빌베르더-모어플리트 (분기점) Hamburg Billweder-Moorfleet (Abzw[2]) 함부르크 화물우회선 (1280호선)
280.6 - 함부르크-로텐부르크조르트 Tk 분기점 Abzw Hamburg Rothenburgsort Tk[8] 함부르크 화물우회선 (1280호선)
- 5.4 함부르크-티프슈타크 Hamburg-Tiefstack AKN 9125호선
282.1 - 함부르크-로텐부르크조르트 Rop 분기점 Abzw Hamburg Rothenburgsort Rop[9] 하노버–함부르크 선 연결선 (1245 · 1291호선)
- 3.7 함부르크-로텐부르크조르트 (S반) Hamburg-Rothenburgsort
284.7 - 함부르크 앙켈만스플라츠 분기점 Üst[10] Hamburg Anckelmannsplatz
- 1.5 함부르크 베를리너토어 Hamburg Berliner Tor 알스터 계곡선 (1241호선)
(뤼베크–함부르크 선의 실질적 분기점)
286.7 0.0 함부르크 중앙역 Hamburg Hbf[1] 함부르크-알토나 연결선 (6100 · 1240호선)
뤼베크-함부르크선 (1120호선)
알스터 계곡선 (1241호선)
반네-아이켈-함부르크선 · 하노버-함부르크선 (2200호선)
시티 S반선 (1270호선)
함부르크 지하철 C선 켈융 선 · E선 반츠베커선 ( U1 ) (중앙역 남부역)
함부르크 지하철 A선 순환선 ( U3 ) (중앙역 남부역)
함부르크 지하철 T선 시내 터널선 ( U2  ·  U4 ) (중앙역 북부역)

각주

  1. 1.0 1.1 Hauptbahnhof = 중앙역
  2. 2.0 2.1 2.2 2.3 Abzw = Abzweigstelle, 분기점
  3. 3.0 3.1 정식 지점은 아니지만, 구내가 너무 넓은 관계로 분리해서 서술한다.
  4. 6107호선 종점 · 6100호선 시점
  5. Betriebsbahnhof = 신호장.
  6. Güterbahnhof = 화물역.
  7. 화물역 기능은 잃었다. 다만 화물역 기능을 했던 시절 때문에 앞선 여객용 베르게도르프 역을 여객역(Pbf; Personenbahnhof)으로 따로 부르기도 한다.
  8. 티프슈타크(Tiefstack) 역 근처에 있어서 약자를 딴 Tk가 붙어있다.
  9. 로텐부르크조르트(Rothenburgsort) 여객용 역 근처에 있어서 약자를 딴 Rop가 붙어있다.
  10. Überstelle = 건널선. 리브레 위키에서는 대부분의 건널선 표기를 생략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단선과 복선의 기종점이므로 편의상 분기점으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