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요람

Parkminwooki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23일 (토) 09:13 판

파일:CradleofDeath SC2-LotV Art1.jpg

 자치령 군에서 유령 작전 요원 스톤을 파견해 
 여러 식민지 근처의 뫼비우스 특전대 군사 시설을 
 조사하도록 하였습니다. 
 스톤은 미지의 기술로 보호받는 대규모 
 전투 기지를 발견했습니다. 
 이 기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정찰한 결과, 
 스톤은 기지 내에 숨겨진 젤나가 유물이 
 시스템 오작동을 일으키고, 나아가서는 
 엄청난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스톤이 유물을 모두 옮기기 위해서는 
 사령관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스톤이 이 임무에 실패한다면 전투기지가 
 식민지를 공격하여 식민지가 완전히 파멸하고 
 말 것입니다. 
 * 아나운서 : 스톤 
 * 주 목표 
 ● 유물 트럭을 혼종 시설로 호위 
 ● 전투 기지가 온라인이 되도록 허용하지 말 것 
 
 * 보너스 목표 
 ● 유물 트럭을 뫼비우스 연구 전초 기지로 호위
 (2곳) 

소개

Cradle of Death

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의 임무 중 하나로 4.4.0 패치로 추가된 새로운 협동전 임무이며 2017 아케이드 창작 대회 2위 입상작을 기반으로 재구성되었다.

특징

F2로도 지정되지 않는 유물 트럭을 동시에, 그것도 꽤 자주 움직여야 되기 때문에 익숙해지기 전에는 거슬릴 수 있지만 다행히 유물 트럭을 부대지정으로 묶어놓으면 새로 나오는 유물 트럭도 그 부대지정을 그대로 따르게 된다. 이 컨트롤에 익숙해져서 유물 트럭을 뒤에 놔두지도, 앞으로 먼저 돌진시켜 파괴되는 일도 없어야 클리어 타임을 당길 수 있으니 영웅이 있는 사령관이라면 유물 트럭을 영웅을 따라 움직이도록 이동 명령을 찍어두자.

멀티가 직선상의 거리로 다소 멀게 본진과 떨어져 있고, 멀티를 먹을 때 첫번째 목표 지점이 파괴되어야 멀티를 먹을 수 있다는 골치 아픈 문제가 존재한다. 이 맵의 주 목표인 뫼비우스 전투 기지 파괴는 기본적으로 각 플레이어 2명에게 주어지는 유물 트럭을 아군 유닛의 호위에 맞춰 같이 움직이게 하여 각 배치 포인트에 유물 트럭을 배치하는 것으로 30초의 여유 시간 뒤 적의 기지를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지를 파괴하는 것으로 최대 여유 제한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파괴해야 하는 기지의 위치와는 꽤 다른 방향으로 공세가 오기 때문에 공격과 동시에 본진을 수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맵의 주요 오브젝트 중 하나인 '문지기 구조물'은 통상 상태에서는 무적 판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유물 트럭을 대동하여 유물 트럭으로 문지기 구조물을 무력화 시킨 후, 공격하는 것으로 파괴해야 한다. 만약 그것을 모른 채 무작정 공격한다면 문지기 구조물에서 엄청난 공속의 광역 공격이 집중적으로 투사되어 상당히 아프기 때문에 반드시 유물 트럭을 이용해 무력화를 한 뒤 공격해야 한다. 덕분에 실력이 허접한 북미에서는 이런 점을 까먹은 유저들이 많아 실패율이 의외로 높다.

하지만 앞마당이 늦어질 뿐이지 클리어 타임 자체가 빠듯한 맵은 아니라서 유물 트럭을 연달아 놓치는 등의 삽질을 하지 않는다면 아몬의 낫처럼 어려운 맵은 아니다. 물론 보너스 목표까지 깨려면 유물 트럭 이동에 소모되는 시간이 추가되기 때문에 꽤 빠듯하니 남은 시간을 확인하면서 보너스를 깰지말지 고민하도록 하자.

주 목표의 경우 트럭 2대를 해당 위치에 가져다놓으면 일정 시간 후에 해당 위치가 폭발하면서 다음 목표로 이동하는 방식이지만 보너스 목표는 트럭 한 대만 이동하는 것으로 딜레이 없이 클리어를 할 수 있다. 이 시차를 놓치고 주 목표로 돌진했다가는 보너스를 놓치는 불상사가 있을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오는 주 공세 외에 "유물 트럭을 적이 감지 했다"는 스톤의 대사와 함께 찍히는 마크에 적 병력이 배치되는데 이 병력은 주 공세의 종족과 상관없이 다양한 종족의 병력이 섞여 나온다. 초반에는 저글링, 해병 위주의 저티어 병력이라 별거 없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고티어 병력이 섞이니 주의해야 하며 특히 트럭 주위로 적이 배치되는데 적 주 기지를 공격 중에 이게 떨궈지면 앞 뒤로 적에게 포위되어버릴 수도 있으니 병력을 잠시 빼던가 패널스킬을 쓰던지 해서 정리해줘야 편하다.

새롭게 추가된 맵이지만,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고, 맵의 사이즈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이동 동선이 복잡한 것이 맵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다른 협동전 임무의 맵들보다 언덕 지형의 비중이 다소 높은 편이며, 덕분에 이동 동선의 자유도는 높은 편이지만 이동 거리가 의외로 상당하기 때문에 유닛 개개의 기동성이 느린 사령관들은 상당히 고전하게 되는 맵.

첫 공세는 4분으로 왼쪽이나 오른쪽 위에서 공세가 들어오며 중반 이후에는 아래쪽에서만 올라온다. 바이킹같이 공중으로 오는 공세의 경우엔 가끔 다이렉트로 본진 광물쪽에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하자.

사령관 별 공략

레이너

케리건

아르타니스

스완

자가라

보라준

카락스

아바투르

알라라크

노바

스투코프

탈란다르

데하카

한과 호너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