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Hyth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21일 (화) 12:17 판 (→‎연혁)

龍山驛 / Yongsan Station Dragon Mountain

용산 / 龍山 / Yongsan
수도권 전철 1호선
역번 135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舊 한강로3가 40-999번지)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7면 15선 승강장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K110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舊 한강로3가 40-999번지)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1900년 7월 8일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7면 15선 승강장
경부선
남 영
1.5km
용 산 노량진
2.6km
경원선
시종착역 용 산 이 촌
1.9km
용산선
시종착역 용 산 효 창
1.8km
효창선
시종착역 용 산 효 창
1.8km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남 영
1.5km
용 산 노량진
2.6km
수도권 전철 1호선(용산-동인천/천안 급행)
시종착역 용 산 노량진
2.6km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원선, 용산선)
공 덕
2.5km[1]
용 산 이 촌
1.9km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산-용산/용산-용문 급행)[2]
공 덕
2.5km
용 산 이 촌
1.9km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에 위치한 철도역.

역명과는 달리 용산동이 아닌 한강로3가동에 위치해 있다. 대신 이촌역이 용산동에 있다.

연혁

1900년 한강철교의 건립으로 기존 노량진역이 시종착역이었던 경인선이 용산역까지 연장되면서 개업한 역으로, 1905년 경의선이 개통하면서[3] 연결됨과 동시에 경부선도 완공되어 환승역이 되었으며, 1911년에는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4개 간선철도가 만나는 환승역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속칭 서소문선이라고 불리는 경의선의 신촌-서울역 구간이 완공되었고, 동시에 1923년 남대문역(서울역)이 개업하면서 이 역은 결과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내려갈 역은 내려간다

대신 1974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면서 전철역의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이후 2004년 호남선 KTX의 시종착역이 되면서 점차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중앙선 전동차가, 2014년에는 최종적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완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4]

2003년무렵부터 이 근처에 용산국제업무지구라는 대규모 개발 계획이 있었으나[5], 결과적으로 2013년 무산되었다(...) 망했어요

특징

KTX, 일반열차 용산역

본래 2004년 KTX가 개업함과 동시에 용산역 민자역사가 신축되기 전만 하더라도 이 역은 그냥 평범한 전철역의 모습과 거의 비슷했다(...) 거기다가 이 근처에 홍등가까지 있어서 그야말로 어둡다면 어두운 동네...

그러다가 민자역사가 신축되고 근처에 아이파크몰까지 개업하면서 그야말로 상권 자체가 많이 커졌다. 더군다나 호남선 KTX는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하고 있어서 예전에 비해 상전벽해한 동네 중 하나.

광역전철 용산역

참조

  1. 2015년 효창역이 재개업하면 수정바람
  2. 용산역을 기점으로 문산-용산급행은 이촌역부터 각역정차, 용산-용문급행은 공덕역부터 각역정차한다.
  3. 당시 용산선이 본선이었고 가좌-신촌-서울역-남영-용산 구간은 없었던 시절이다.
  4. 하지만 첫차/막차 시간대와 러시아워에 일부 용산역 출발/종착 열차가 남아있다.
  5. 용산역 서쪽에 있던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지금은 한강철교쪽으로 가다보면 황량한 공터에 우뚝 서 있는(?) 구 서울우편집중국 건물이 눈에 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