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새 문서 목록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봇을 보이기 | 넘겨주기를 보이기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4년 6월 9일 (일) 01:47포포이 (뿌요뿌요) (역사 | 편집) ‎[1,304 바이트]Sugungsaurus56 (토론 | 기여) (새 문서: {{뿌요뿌요 캐릭터 |배경색=#B3A7DC |글자색=#FFFFFF |이름=포포이 |원어=ポポイ / Popoi |그림=뿌요퀘 포포이 7성.png |첫 등장=뿌요뿌요 피버 |성별=남 |생일=2월 22일 물고기자리<ref>일본에서 고양이의 날과 날짜가 같다.</ref> |혈액형=- |특기=고양이 펀치 |좋아하는 것=비상의 지팡이 |싫어하는 것=민트, 샴푸 |성우=코즈키 미와(일본판)<br />카일 에이베어(북미판) }} '''포...)
  • 2024년 6월 9일 (일) 01:27프랑켄슈타인 부자 (역사 | 편집) ‎[12,656 바이트]Sugungsaurus56 (토론 | 기여) (새 문서: {{뿌요뿌요 캐릭터 |배경색=#6979BB |글자색=#FFFFFF |이름=프랑켄슈타인 부자 |원어=こづれフランケン / Frankensteins |그림=뿌요퀘 프랑켄슈타인 부자 7성.png |첫 등장=뿌요뿌요 피버 |성별=남 |생일=2월 11일 물병자리 / 2월 1일 물병자리 |혈액형=O형 |특기=공작 / 전기공작 |좋아하는 것=벼락 / 캔디 |싫어하는 것=외톨이 / 충치 |성우=야스무라 마코토(아빠 프랑켄)<ref>타루...)
  • 2024년 6월 7일 (금) 00:37From There (역사 | 편집) ‎[653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From There'''는 TSK(탑성킴)이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From There | 아티스트 = TSK | 일러스트 = deemoii from there.png | BPM = | Easy레벨 = 3 | Easy노트수 = 225 | Normal레벨 = 5 | Normal노트수 = 470 | Hard레벨 = 7 | Hard노트수 = 645 | 곡팩 번호 = 앨범39 | 곡 해금 정보 = {{DEEMO II/곡 해금 정보 | 일반 난이...)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7일 (금) 00:36Cruelame+hyst (역사 | 편집) ‎[659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Cruelame+hyst'''는 seatrus가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Cruelame+hyst | 아티스트 = seatrus | 일러스트 = deemoii cruelamethyst.png | BPM = | Easy레벨 = 4 | Easy노트수 = 348 | Normal레벨 = 6 | Normal노트수 = 598 | Hard레벨 = 9 | Hard노트수 = 814 | 곡팩 번호 = 앨범39 | 곡 해금 정보 = {{DEEMO II/곡 해금 정보 | 일반...)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7일 (금) 00:31Wonder world (역사 | 편집) ‎[847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wonder world'''는 kidlit이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br/> [https://x.com/chi_e/status/1798317458497192183 음원 프리뷰 (X 포스트)] == 가사 == {{빈 문단}}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wonder world | 아티스트 = kidlit | 일러스트 = deemoii wonder world.png | BPM = | Easy레벨 = 5 | Easy노트수 = 395 | Normal레벨 = 8 | Normal노트수 = 755 | Hard레벨 = 10 | Hard...)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7일 (금) 00:25Corridor of reminiscence (역사 | 편집) ‎[746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Zsd_JOdIVWM|||center|'''공식 음원 영상'''}} '''Corridor of reminiscence'''는 effe가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가사 == {{빈 문단}}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Corridor of reminiscence | 아티스트 = effe | 일러스트 = deemoii corridor of reminiscence.png | BPM = | Easy레벨 = 3 | Easy노트수 = 272 | Normal레벨 = 5 | Normal노트수 = 506 | Hard레벨 = 8 |...)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7일 (금) 00:21Payapaya (역사 | 편집) ‎[907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AiIOJ4FzriA|||center|'''공식 음원 영상'''}} '''Payapaya'''는 {{일본어=|高城みよ|Miyo Takashiro}}가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br/> 제목은 들뜨고 신난 상태를 의미하는 일본어 "{{일본어=|ぱやぱや}}"를 로마자로 음차한 것이다. == 가사 == {{빈 문단}}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Payapaya | 아티스트 = Miyo Takashiro | 일러스트 = deemoii payapaya.p...)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6일 (목) 17:04마이타 루이/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2,686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R === ==== 315 프로덕션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rui r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rui r1.png |카드명 = 【315プロダクション】舞田 類 |속성 = 멘탈 |레어도 = R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5% 스코...)
  • 2024년 6월 6일 (목) 16:50하자마 미치오/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2,792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R === ==== 315 프로덕션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michio r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michio r1.png |카드명 = 【315プロダクション】硲 道夫 |속성 = 인텔리 |레어도 = R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5...)
  • 2024년 6월 6일 (목) 16:36히메노 카논/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2,668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N === ==== 히메노 카논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kanon n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kanon n2.png |카드명 = 姫野 かのん |속성 = 멘탈 |레어도 = N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0% 스코어 업 |입수방법...)
  • 2024년 6월 6일 (목) 16:12타치바나 시로/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3,089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N === ==== 타치바나 시로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shiro n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shiro n2.png |카드명 = 橘 志狼 |속성 = 피지컬 |레어도 = N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0% 스코어 업 |입수방법...)
  • 2024년 6월 6일 (목) 14:17Blue evenfall (역사 | 편집) ‎[1,867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O6TU8VStOVg|||center|'''공식 음원 영상'''}} <div style='font-size:95%; line-height:1.35rem'> {{대사|<poem>{{중국어=|少女出發去尋找傳說中可以復活已逝之人的古神}} 소녀는 죽은 사람을 되살릴 수 있다는 전설의 옛 신을 찾아 떠났다</poem>}}</div> '''Blue evenfall''' ({{중국어|湛藍暮色}}) 은 Freeleaves가 작곡한 DEEMO -Reborn-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제목은 짙푸른 황혼을 의미하며, 같은...)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5일 (수) 21:36오카무라 나오/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1,839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N === ==== 오카무라 나오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nao n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nao n2.png |카드명 = 岡村 直央 |속성 = 인텔리 |레어도 = N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0% 스코어 업 |입수방법...)
  • 2024년 6월 5일 (수) 17:03미즈시마 사키/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1,638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R === ==== 315 프로덕션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saki r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saki r1.png |카드명 = 【315プロダクション】水嶋 咲 |속성 = 피지컬 |레어도 = R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5%...)
  • 2024년 6월 5일 (수) 16:51우즈키 마키오/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0,844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R === ==== 315 프로덕션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makio r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makio r1.png |카드명 = 【315プロダクション】卯月 巻緒 |속성 = 멘탈 |레어도 = R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5%...)
  • 2024년 6월 5일 (수) 16:39아스란 BB Ⅱ세/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2,645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R === ==== 315 프로덕션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asselin r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asselin r1.png |카드명 = 【315プロダクション】アスラン=BBⅡ世 |속성 = 피지컬 |레어도 = R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 2024년 6월 5일 (수) 16:21시노노메 소이치로/THE IDOLM@STER SideM LIVE ON ST@GE! (역사 | 편집) ‎[12,376 바이트]SilverStag (토론 | 기여) (새 문서: == 아이돌(카드) == === N === ==== 시노노메 소이치로 ==== {{엠스테 카드 정보 |카드이미지1 = Mstage soichiro n1.png |카드이미지2 = Mstage soichiro n2.png |카드명 = 東雲 荘一郎 |속성 = 인텔리 |레어도 = N |보컬 = |댄스 = |비주얼 = |체인지보컬 = |체인지댄스 = |체인지비주얼 = |풀돌보컬 = |풀돌댄스 = |풀돌비주얼 = |솔로퍼포먼스 = |솔로효과 = 자신의 Vo, Da, Vi 합계의 20% 스코어...)
  • 2024년 6월 4일 (화) 11:03엑스디파이언트/맵 (역사 | 편집) ‎[7,304 바이트]Roon Moonlight (토론 | 기여) (새 문서: 엑스디파이언트의 게임 모드와 등장 맵을 정리한 문서. 엑스디파이언트는 시즌 중 매달 새로운 맵이 출시될 예정이다. == 게임 모드 == 현재 엑스디파이언트는 5개의 모드가 있으며 이후 더 많은 게임 모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 점령전(Domination) === 맵에 거점에 3개씩 등장하며, 점령한 거점 하나당 초당 1씩 점수가 추가된다. 750점에 먼저 도달한 팀이 승리한다. 랭...)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6월 3일 (월) 21:02개미 군단 (역사 | 편집) ‎[16,060 바이트]Chirho (토론 | 기여) (새 문서: {{게임 정보 |게임이름 = 개미 군단 |원어이름 = Ant Legion: For The Swarm |배경색 = #8c8480 |글자색 = #FFFFFF |그림 = 400px |그림설명 = |배급사 = Sanqi Interactive Entertainment (Shanghai) Technology Co., Ltd.(안드로이드)</br> BUILDING-BLOCKS NETWORK TECHNOLOGY CO.,LIMITED(iOS) |개발사 = 37GAMES |제작 = |작가 = |미술 = |작곡가 = |장르 =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모니위키(나무위키) 문법 사용이 의심됨
  • 2024년 5월 27일 (월) 12:51위풍당당 행진곡 (역사 | 편집) ‎[1,069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R2-43p3GVTQ|||center|'''BBC Symphony의 연주'''}} '''위풍당당 행진곡''' ({{영어|Pomp and Circumstance Military Marches}})는 에드워드 엘가이 작곡한 관현악곡집이다. == 구성 == {{빈 문단}} == 매체 == === 게임 트랙 ===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small><b>Elgar</b></small><br /><span style='font-size:93%'>Pomp and Circumstance, Op.39 No.1</span> | 아티스트 = pianist: Yi-Chen Feng | 일러...)
  • 2024년 5월 26일 (일) 21:13Epicurusno nijiha moumienai (역사 | 편집) ‎[2,211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노래 정보 |노래이름 = Hidden Rainbows of Epicurus |원어이름 = {{일본어=|エピクロスの虹はもう見えない}}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SYNC.ART'S feat. Misato |음반 = Cantante{{일본어=|-カンタンテ-}} |장르 = |길이 = |발매일 = 2017년 5월 17일 |레이블 = |작사가 = MAKI |작곡가 = |편곡 = {{일본어=|...) 처음에 "Hidden Rainbows of Epicurus"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4년 5월 25일 (토) 15:12Mad Piano Party (역사 | 편집) ‎[2,688 바이트]MrRedky (토론 | 기여)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loat: right;" |-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Mad Piano Party |- | colspan="6" | {{유튜브|AWnauzBzz3c}} |- | colspan="6" | '''"폭주 그 이상의 피아노"''' |- |- style="text-align:left;" | colspan="2" | 작곡 | colspan="4" | Plum |- style="text-align:left;" | colspan="2" | 수록 앨범 | colspan="4" | Melody From Sky |- style="text-align:left;" | colspan="2" | BPM | colspan="4" | 1...)
  • 2024년 5월 25일 (토) 14:52Rainbow Chaser (역사 | 편집) ‎[2,523 바이트]MrRedky (토론 | 기여)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loat: right;" |- ! colspan="6" | <span style="color: skyblue">R</span><span style="color: blue">a</span><span style="color: purple">i</span><span style="color: red">n</span><span style="color: orange">b</span><span style="color: yellow">o</span><span style="color: yellowgreen">w</span> Chaser |- | colspan="6" | {{유튜브|jsoT5rIdEP4}} |- | colspan="6" | '''"뉴에이지 대표곡"''' |- |- style="text-align:left;" | colspan="2" |...)
  • 2024년 5월 25일 (토) 14:29Old School Salvage (역사 | 편집) ‎[750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Old School Salvage'''는 DJ SHARPNEL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Arcaea == {{Arcaea/곡 정보 |제목=Old School Salvage |이미지= arcaea oldschoolsalvage.png |배경 테마=Conflict |작곡=DJ SHARPNEL |BPM = |PST 레벨= |PRS 레벨= |FTR 레벨= |PST CC= |PRS CC= |FTR CC= |PST 노트 수= |PRS 노트 수= |FTR 노트 수= |배경= |버전=5.7.0 |추가날짜=2024-05-30 |일러스트레이션 = tvchany |노트 디자인= }} {{Arcaea/Wor...)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25일 (토) 13:40Plum (역사 | 편집) ‎[2,835 바이트]MrRedky (토론 | 기여) (새 문서: 리듬 게임계에서 유명한 대한민국작곡가. == 상세 == 리듬 게임계에서 자주 쓰이는 곡을 많이 쓴 걸로 유명하다. 작곡 활동의 시작은 대략적으로 2015년 말이며 2017년 5월 19일에 발매된 정규 1집 앨범 'Beyond The Cloud'로 처음 데뷔하였다. 곡의 느낌은 곡마다 천차만별로, 굉장히 넓은 범위의 장르들을 다룬다. 다만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부드러운 힐...)
  • 2024년 5월 24일 (금) 22:38Back to Basics (역사 | 편집) ‎[675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Back to Basics'''는 m1dy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Arcaea == {{Arcaea/곡 정보 |제목=Back to Basics |이미지= arcaea backtobasics.png |배경 테마=Conflict |작곡=m1dy |BPM = |PST 레벨= |PRS 레벨= |FTR 레벨= |PST CC= |PRS CC= |FTR CC= |PST 노트 수= |PRS 노트 수= |FTR 노트 수= |배경= |버전=5.7.0 |추가날짜=2024-05-30 |일러스트레이션 = TKKsn. |노트 디자인= }} {{Arcaea/Memory Archive}} {{-}} ---- {...)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24일 (금) 22:37Beautiful Dreamer (역사 | 편집) ‎[687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Back to Basics'''는 M-Project가 작곡한 Arcae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Arcaea == {{Arcaea/곡 정보 |제목=Back to Basics |이미지= arcaea backtobasics.png |배경 테마=Light |작곡=M-Project |BPM = |PST 레벨= |PRS 레벨= |FTR 레벨= |PST CC= |PRS CC= |FTR CC= |PST 노트 수= |PRS 노트 수= |FTR 노트 수= |배경= |버전=5.7.0 |추가날짜=2024-05-30 |일러스트레이션 = {{일본어=|さんぱち}} |노트 디자인= }} {{Arcaea/Me...)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처음에 "Back to Basics"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4년 5월 23일 (목) 18:24마인크래프트/건축 블록 (역사 | 편집) ‎[1,628 바이트]하늘 (토론 | 기여) (새 문서: === 석재 === ==== 돌 ==== {{마인크래프트/블록 정보 |이름 = 돌 |코드 = minecraft:stone |그림 = Minecraft stone.webp |도구 = 곡괭이 |경도 = 1.5 |폭발저항 = 6 |가연성 = |밝기 = |중첩 = 64 }} 가장 기본적인 건축 블록 중의 하나로 마인크래프트 세계의 지층을 구성하는 블록이다. TNT 몇 개를 터뜨려야 부서질 정도의 폭발 저항을 지닌다. 섬세한 손길 인챈트가 없는 곡괭이로 채굴하면...)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23일 (목) 14:50Twilight Concerto (역사 | 편집) ‎[1,881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Twilight Concerto''' ({{일본어|黄昏の協奏曲}})는 Scarlette가 작곡한 모바일 리듬 게임 KALPA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Arcaea에도 영어 제목 "Twilight Concerto"와 함께 수록되었다. <br/> [https://soundcloud.com/biomusician/tjoumtbtrvuh 공식 음원 (Soundcloud)] == KALPA == {{KALPA/곡 정보 |제목={{일본어=|黄昏の協奏曲}} |이미지=kalpa twilight concerto.png |아티스트=Scarlette |팩...)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22일 (수) 18:36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역사 | 편집) ‎[10,674 바이트]Kdga (토론 | 기여) (새 문서: {{인물 정보 |인물이름 =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원어이름 = Charlotte Elizabeth Diana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본명 = |다른이름 = 작위: Her Royal Highness Princess Charlotte of Cambridge(2015년 5월 2일~2022년 9월 8일)<br/ >Her Royal Highness Princess Charlotte of Cornwall and Cambridge(2022년 9월 8일~현재)<br/ >Her Royal Highness Princess Charlotte of Wales(2022년 9월 9일~현재)<br/ >애...)
  • 2024년 5월 18일 (토) 02:09오토모 (뿌요뿌요) (역사 | 편집) ‎[10,536 바이트]Sugungsaurus56 (토론 | 기여) (새 문서: {{뿌요뿌요 캐릭터 |배경색=#16AA52 |글자색=#FFFFFF |이름=오토모 |원어=オトモ / Otomo |그림=뿌요퀘 오토모 7성.png |첫 등장=뿌요뿌요 피버 츄-! |성별=남 |생일=4월 17일 양자리 |혈액형=B형 |특기=뜨개질 |좋아하는 것=왕자의 앨범 |싫어하는 것=왕자가 재멋대로 구는 것 |성우=스가누마 히사요시 }} {{인용문| 왕자! 왕자! 프리티하고 핑크한데다 제멋대로인 왕자~!<br>오늘...)
  • 2024년 5월 17일 (금) 16:39독일국 라이히스마르크 (역사 | 편집) ‎[11,845 바이트]Jks84562 (토론 | 기여) (새 문서: {{화폐 정보 |화폐이름 = 독일국(獨逸國) 라이히스마르크 |원어이름 = {{ruby|Deutsches Reich Reichsmark|도이치스 라이히 라이히스마르크}}<sup>de</sup>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바이마르 공화국}} → {{나라|나치 독일}} |비공식 = |ISO = |기호 = ℛ︁ℳ︁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 페니...)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5일 (수) 16:43예술고등학교 (역사 | 편집) ‎[2,779 바이트]Kdga (토론 | 기여) (새 문서: 분류:예술고등학교 == 개요 == 특수목적고등학교의 한 종류. 예술계열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전공 == 전통적으로 음악과, 미술과, 무용과의 3개 전공이 있다. 최근에는 실용음악과, 문예창작과, 연극영화과 등을 신설하는 예술고등학교들도 있다. *음악과 **건반악기: 피아노, 오르간 등 **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하프 등 **관악기: 플루트, 오보에,...)
  • 2024년 5월 15일 (수) 00:06타루타루 (뿌요뿌요) (역사 | 편집) ‎[12,592 바이트]Sugungsaurus56 (토론 | 기여) (새 문서: {{뿌요뿌요 캐릭터 |배경색=#0B6DB7 |글자색=#FFFFFF |이름=타루타루 |원어=タルタル / Tartar |그림=뿌요퀘 타루타루 7성.png |첫 등장=뿌요뿌요 피버 |성별=남 |생일=7월 19일 게자리 |혈액형=O형 |특기=새 부르기 |좋아하는 것=꽃과 동물들, 라피나 |싫어하는 것=거미 |성우=야스무라 마코토<ref>호호우도리, 프랑켄슈타인 부자...)
  • 2024년 5월 14일 (화) 01:41페페 더 프로그 (역사 | 편집) ‎[2,309 바이트]하늘 (토론 | 기여) (일상과학 WiKi - wikidok>dailysciences | 밈(meme))
  • 2024년 5월 12일 (일) 22:18Hi-Techtivity Disorder (역사 | 편집) ‎[1,350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싱글 정보 |싱글이름 = Hi-Techtivity Disorder |원어이름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음반 = Shu |장르 = Hi-Tech Fullon |길이 = |A사이드 = |B사이드 = |발매일 = 2023년 11월 5일 |녹음일 = |녹음장소 = |레이블 = |작사가 = |작곡가 = |프로듀서 = |이전싱글 = |다음싱글 = }} {{youtube|1u-zTfWdXfA|||center|'''공식 음...)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21:12FORTALiCE (역사 | 편집) ‎[1,755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MAuMLgUB36o|||center|'''공식 음원 영상'''}} '''FORTALiCE'''는 ZxNX가 작곡한 THE BMS OF FIGHTERS XVI -NEO DYSTOPIA-의 참가곡이다. 대회 종료 이후 모바일 리듬 게임 Dynamix, KALPA, Rizline, ELLIA에 수록되었다. == BMS == {{빈 문단}} == Dynamix == {{빈 문단}} == KALPA == {{KALPA/곡 정보 |제목=FORTALiCE |이미지=kalpa fortalice.png |아티스트=ZxNX |팩=Lana |BPM=180 |NORMAL 레벨 = 2 |HARD 레벨 = 4 |H...)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20:09Cheerfull:Peacemaker (역사 | 편집) ‎[1,500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곡 정보 |곡이름 = Cheerfull:Peacemaker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Akira Complex |음반 = Rextra |발매일 = 2023년 4월 30일 |작곡가 = |편곡 = }} {{youtube|My7qpCQoyfY|||center|'''공식 음원 영상'''}} '''Cheerfull:Peacemaker'''는 작곡가 Reku Mochizuki의 음반 《[https://rextra.netlify.app/ Rextra]》의 7번 트랙이다. CHUNITH...)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19:47HYPERSYNTHETIC (역사 | 편집) ‎[1,383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다른뜻|HYPERSYNTHETIC (음반)||동명의 음반}} {{곡 정보 |곡이름 = HYPERSYNTHETIC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Akira Complex |음반 = HYPERSYNTHETIC |발매일 = 2018년 11월 8일 |작곡가 = |편곡 = }} {{youtube|aSIIB3vqHkI|||center|'''YouTube Music 영상'''}} '''HYPERSYNTHETIC'''는 작곡가 Akira Complex의 음반 《HYPERSYNTHE...)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19:42태평소국밥 (역사 | 편집) ‎[1,741 바이트]하늘 (토론 | 기여) (새 문서: {{식당 정보 |식당 이름=원조 태평소국밥 |업종 =소국밥, 우육 |주요 메뉴=소국밥, 갈비탕, 육사시미, 내장탕 |영업시간=24시간}} 태평소국밥은 대전광역시 중구 태평동에서 2007년 개업한 소국밥집으로 큰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체인 식당이다. 경영 형태는 가족 구성원들 모두 각 분점의 사장인 가족 경영 체인점이다. 이외에도...)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18:48호호우도리 (뿌요뿌요) (역사 | 편집) ‎[14,226 바이트]Sugungsaurus56 (토론 | 기여) (새 문서: {{뿌요뿌요 캐릭터 |배경색=#DC143C |글자색=#FFFFFF |이름=호호우도리 |원어=ほほうどり / Hoho |그림=뿌요퀘 호호우도리 7성.png |첫 등장=뿌요뿌요 피버 |성별=남 |생일=12월 5일 궁수자리 |혈액형=O형 |특기=히어로 활동, 예술적인 건축 |좋아하는 것=마을의 평화 |싫어하는 것=달이 없는 밤 |성우=카와무라 타쿠오 }} {{인용문|히어로인 이 몸과의 뜨거운 배틀에 어울리시는...)
  • 2024년 5월 12일 (일) 18:42Misskey (역사 | 편집) ‎[754 바이트]시녹 (토론 | 기여) (새 문서: {{웹사이트 정보 |이름 = 미스키 |원어이름 = Misskey |패비콘 = misskey-logo.png |로고 = 파일:misskey-logo.png |그림 = |그림설명 = |URL = {{URL|https://misskey-hub.net/en/}} |종류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 |제작 = syuilo 외 200명 이상 |언어 = |시작일 = 2014년 |종료일 = |회원가입 = |라이선스 = AGPL |영리여부 = |작성언어 = |비고 = }} == 개...)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2일 (일) 03:58고등어 (역사 | 편집) ‎[624 바이트]두루치 (토론 | 기여) (새 문서: ''고등어'''는 고등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대표적인 등푸른생선이다. ==개요== ==상세== ==분류== ===태평양 고등어=== 흔히 우리에게 익숙한 고등어(참고등어)와 망치고등어가 속해 있으며 이밖에 동남아 일대에서 잡히는 소형 고등어류가 속한다. ===대서양 고등어=== 대서양에서 서식하는 고등어로 북해를 중심으로 그 일대에 분포하며 어시장에서 자...)
  • 2024년 5월 11일 (토) 17:33쏨뱅이 (역사 | 편집) ‎[984 바이트]Elnath (토론 | 기여) (새 문서: 쏨뱅이목 양볼낙과의 어류이다. 체장은 15-20cm대 정도가 많은데 30cm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다. 남해 일대의 바위가 많은 연안에 주로 서식하여 갯바위 낚시로 낚이는데, 해초가 많은 곳에서 잘 잡힌다. 여수, 통영 등 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구이나 튀김으로 먹는데, 찜이나 탕으로도 먹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회로도 먹으나 크기가 작아 수율은 그리 좋은...)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10일 (금) 17:24La-La-Ru-Too-Ta (역사 | 편집) ‎[3,582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곡 정보 |곡이름 = La-La-Ru-Too-Ta |원어이름 = {{일본어=|ラ​ラ​ル​ト​ゥ​タ}}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Meine Meinung |작곡가 = Meine Meinung |음반 = Diverse System |발매일 = 2012년 4월 30일 |편곡 = }} {{youtube|-z6_24V-ZB8|||center|'''YouTube Music 영상'''}} '''La-La-Ru-Too-Ta''' 또는 '''LalarUtutA''' ({{일본어|ラ​ラ​ル​ト​ゥ...)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9일 (목) 20:24Aurora (Kirara Magic) (역사 | 편집) ‎[2,370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탭 |여백좁게=y |제목1=원곡 |제목2=VIP |내용1= {{곡 정보 |곡이름 = Aurora (feat. Shion Lee)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Kirara Magic (feat. Shion Lee) |음반 = Magic Shop |장르 = |길이 = |발매일 = |레이블 = Kirara Magic |작사가 = |작곡가 = |편곡 = |프로듀서 = }} {{youtube|kRz1qs7-bJc|||center|'''...)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9일 (목) 19:56Tsukuroi (역사 | 편집) ‎[901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FO0-WP69f1U|||center|'''공식 음원 영상'''}} '''Tsukuroi'''는 {{일본어=|高城みよ|Miyo Takashiro}}가 작곡한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br/> 제목은 꿰매다를 의미하는 일본어 "{{일본어=|繕い}}"를 로마자로 음차한 것이다. == 가사 == {{빈 문단}}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Tsukuroi | 아티스트 = Miyo Takashiro | 일러스트 = deemoii tsukuroi.png | BPM =...)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9일 (목) 01:48End of the Spiral Version 1a.01.a (역사 | 편집) ‎[932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End of the Spiral Version 1a.01.a'''는 Tsynphonia가 작곡한 모바일 리듬 게임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End of the Spiral Version 1a.01.a | 아티스트 = Tsynphonia | 일러스트 = deemoii endofthespiral.png | BPM = | Easy레벨 = 5 | Easy노트수 = 378 | Normal레벨 = 7 | Normal노트수 = 644 | Hard레벨 = 9 | Hard노트수 = 894 | 곡팩 번호 =...)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9일 (목) 01:46The Long Voyage (역사 | 편집) ‎[738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youtube|202osyM1Pi8|||center|'''공식 음원 영상'''}} '''The Long Voyage'''는 kidlit이 작곡한 모바일 리듬 게임 DEEMO II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The Long Voyage | 아티스트 = kidlit | 일러스트 = deemoii thelongvoyage.png | BPM = | Easy레벨 = 3 | Easy노트수 = 294 | Normal레벨 = 6 | Normal노트수 = 585 | Hard레벨 = 9 | Hard노트수 = 928 | 곡...)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 2024년 5월 8일 (수) 17:31Clematis (역사 | 편집) ‎[1,265 바이트]Liebesfreud (토론 | 기여) (새 문서: '''Clematis'''는 Taishi가 작곡한 모바일 리듬 게임 DEEMO의 오리지널 수록곡이다. <br/>제목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식물 클레머티스를 의미하며, DEEMO의 후속편 DEEMO II에도 수록되었다. == DEEMO 시리즈 == === DEEMO === {{DEEMO의 수록곡 |곡 제목=Clematis |일러스트=deemoii clematis.png |아티스트=Taishi |BPM= |Easy레벨=3 |Normal레벨=5 |Hard레벨=9 |Easy노트수=281 |Normal노트수=450 |Hard노트...)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