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복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복복선 (複複線)은 철도에서, 선로 네 개를 건설해 한 방향으로의 교통량을 선로 두 개로 충당하는 철도 노선 형식을 말한...)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선로별 복복선 ===
=== 선로별 복복선 ===
↑↓↑↓ 방식의 복복선으로, 대개 열차의 종류에 따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이 방식은 쌍방향에서 모두 회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읶지만, [[완급결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복복선 노선 ==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복복선 노선 ==
16번째 줄: 19번째 줄:
* [[경인선]]: [[구로역]] ~ [[동인천역]]
* [[경인선]]: [[구로역]] ~ [[동인천역]]
* [[경부선]]: [[구로역]] ~ [[두정역]]
* [[경부선]]: [[구로역]] ~ [[두정역]]
* [[중앙선]]: [[상봉역]] ~ [[망우역]]
* [[경의선]]: [[행신역]] ~ [[능곡역]]


=== 선로별 복복선 ===
=== 선로별 복복선 ===
* [[중앙선]]: [[상봉역]] ~ [[망우역]]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5년 5월 23일 (토) 10:50 판

개요

복복선 (複複線)은 철도에서, 선로 네 개를 건설해 한 방향으로의 교통량을 선로 두 개로 충당하는 철도 노선 형식을 말한다.

건설 방식

= 방향별 복복선

↑↑↓↓ 방식의 복복선으로, 보통 '복복선'이라 하면 이런 형식의 선로를 가리킨다.

이 형식은 대개 한 노선에서 완행급행을 운행할 때 잘 쓰이는 형식으로, 대부분 안쪽의 2개 선로 (내선)을 급행이 사용하고 바깥쪽의 2개 선로 (외선)을 완행이 사용한다.

방향별 복복선은 완급결합에 유리해 승객들이 완행과 급행 간에 환승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선이 역방향 외선으로 회차하고자 할 경우 평면교차하거나 별도의 입체 시설을 건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선로별 복복선

↑↓↑↓ 방식의 복복선으로, 대개 열차의 종류에 따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이 방식은 쌍방향에서 모두 회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읶지만, 완급결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복복선 노선

방향별 복복선

선로별 복복선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