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 (블로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YiReun 사용자가 Tumblr 문서를 텀블러 (블로그) 문서로 옮기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56번째 줄: 56번째 줄:
* 블로그 설명에서도 [[HTML]]을 사용할 수 있다. 즉, SNS 계정의 URL 바로가기 등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 블로그 설명에서도 [[HTML]]을 사용할 수 있다. 즉, SNS 계정의 URL 바로가기 등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 직접 만든 테마를 판매할 수 있다. [https://www.tumblr.com/docs/ko/theme_submission_guidelines 테마 제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면 된다.  
* 직접 만든 테마를 판매할 수 있다. [https://www.tumblr.com/docs/ko/theme_submission_guidelines 테마 제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면 된다.  
* 여러 글을 선택해서 한 번에 태그를 편집하거나 글을 지울 수 있는 포스트 일괄 편집 기능이 있다. 개별 블로그의 대시보드 '포스트' 메뉴 화면에서 오른쪽 메뉴 맨 아래를 통해, 혹은 tumblr.com/mega-editor/사용자 이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만 2016년 7월 26일 기준으로 태그 편집 시 한글 태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으로 태그를 삭제하려면 무슨 문자인지 먼저 확인하는 등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글 문자는 복사해서 네이버에 검색하기만 해도 나온다.  
* 여러 글을 선택해서 한 번에 태그를 편집하거나 글을 지울 수 있는 포스트 일괄 편집 기능이 있다. 개별 블로그의 대시보드 '포스트' 메뉴 화면에서 오른쪽 메뉴 맨 아래를 통해, 혹은 tumblr.com/mega-editor/사용자 이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만 2016년 11월 13일 기준으로도 태그 편집 시 한글 태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으로 태그를 삭제하려면 무슨 문자인지 먼저 확인하는 등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글 문자는 복사해서 네이버에 검색하기만 해도 나온다.  
* [[네이버 블로그]]나 다른 [[블로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네이버 검색을 통한 유입이 가능하다. 별도의 검색 등록 신청 없이 자동으로 수집되며, 수집 현황을 알고 싶다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http://blog.naver.com/naver_search/220554468363 등록]하여 확인할 수 있다.  
* [[네이버 블로그]]나 다른 [[블로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네이버 검색을 통한 유입이 가능하다. 별도의 검색 등록 신청 없이 자동으로 수집되며, 수집 현황을 알고 싶다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http://blog.naver.com/naver_search/220554468363 등록]하여 확인할 수 있다.  
* 텀블러를 처음 시작하면 검열이 적다 보니 추천 블로그로 성인물을 올리는 블로그가 뜨기도 하는데, 이를 어느 정도 막기 위해서는 멀쩡한(...) 블로그를 몇 개 팔로우해 놓으면 된다. 팔로우한 블로그의 스타일에 따라 알맞은 블로그를 추천해 준다.


{{블로그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2016년 11월 13일 (일) 09:27 판

Tumblr favicon 32x32.pngTumblr
tumblr_logotype_blue_transparent_512.png
웹사이트 정보
종류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언어 16개 언어 (한국어 포함)
시작일 틀:출시일

텀블러(Tumblr)는 데이비드 카프(David Karp)가 2007년 2월 19일에 만든 마이크로블로그 플랫폼이다. 야후2013년 5월 21일 텀블러를 인수했으나, 야후는 텀블러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인수하여 인수 전과 인수 후의 텀블러 운영은 달라진 점이 거의 없다. [1]

텀블러 사용자를 '텀블러 블로거(Tumblr blogger)'라고 칭한다.

특징

  •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테마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직접 HTMLCSS를 고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있어 서비스형 블로그설치형 블로그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다. HTML 편집이 서툴더라도 검색이나 테마 문서를 참고하면 간단한 부분은 어렵지 않으며, 굳이 코드에 손을 대지 않더라도 색상과 같은 부분들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테마도 있다.
  • 글을 쓸 때 텍스트 편집기 설정에 따라 HTML 편집이 자유롭고, 따라서 외부 컨텐츠의 삽입이 자유롭다. 마크다운 사용도 가능하다. 네이버 블로그 의문의 2패
  • 자체적으로 댓글 기능을 제공하나, 일반적인 댓글과는 성격이 달라 사실상 없다고 볼 수도 있다. 트위터의 타임라인과 같은 개념의, 팔로우한 글들이 올라오는 대시보드에서만 댓글을 달 수 있다. 일반적인 개념의 댓글을 원한다면 Disqus와 같은 댓글 서비스를 테마에 추가해야 한다.

문화·성향

호스팅 부담이 없으면서도 테마 편집이 자유롭고 보조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림, 디자인, 사진 작업 등을 올리는 웹 포트폴리오로도 많이 사용된다.[2]

매우 다양한 움짤이 올라온다. 움짤의 성지로 부상하면서 현지시각 2015년 6월 25일에는 아예 GIF 파일만 모아서 보여주는 서비스인 TUMBLR TV가 생겼다. 소개

서비스의 검열이 적다 보니 야동을 올리는 계정이나 포르노 일러스트 등을 전문적으로 그리는 텀블러도 많고, 마약 경험담을 올리는 텀블러도 있다. 다만 아동 포르노는 여타 다른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철처하게 관리한다.

텀블러 블로거들 중 지나치게 정치적 올바름에 집착하는 사람들을 'SJW(Social Justice Warrior)'라 부르곤 한다.

  •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개의 보조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 다만 팔로잉과 좋아요 등의 활동 시에는 기본 계정이 우선으로 노출된다. 한 사용자의 다른 보조 블로그는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다.
  • 바꾼 테마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테마로 인한 문제가 생겼다면 테마 복구 페이지에서 테마의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복구할 수 있다. 다만 백업되는 버전은 한계가 있어 오래된 버전은 삭제되니 주의해야 한다.
  • 웹 페이지에서의 테마와 모바일 웹 및 앱에서의 테마가 구분된다. 기본적인 웹 페이지의 테마는 '테마 편집' 화면에서, 모바일 웹 및 앱과 PC에서 프로필을 클릭했을 때 우측에 슬라이드로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테마는 '블로그 스타일 편집'에서 설정한다. '블로그 스타일 편집'에서는 프로필 사진 및 배경 사진의 표시 여부와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모바일 웹에서는 별도의 모바일 버전 테마가 표시된다. 테마 편집 화면에서 고급 옵션-기본 모바일 테마 사용을 해제하면 모바일 웹에서도 사용자가 설치한, HTML 편집이 적용된 테마가 표시된다. 반응형 웹 디자인이 적용된 테마의 경우 해당 설정을 해제해야 모바일에서도 설치한 테마를 볼 수 있다. 다만 반응형 웹 디자인이 적용되지 않은 테마의 경우, 이렇게 하면 PC에서 보던 레이아웃이 그대로 표시된다.
  • 블로그 설명에서도 HTML을 사용할 수 있다. 즉, SNS 계정의 URL 바로가기 등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 직접 만든 테마를 판매할 수 있다. 테마 제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면 된다.
  • 여러 글을 선택해서 한 번에 태그를 편집하거나 글을 지울 수 있는 포스트 일괄 편집 기능이 있다. 개별 블로그의 대시보드 '포스트' 메뉴 화면에서 오른쪽 메뉴 맨 아래를 통해, 혹은 tumblr.com/mega-editor/사용자 이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만 2016년 11월 13일 기준으로도 태그 편집 시 한글 태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으로 태그를 삭제하려면 무슨 문자인지 먼저 확인하는 등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글 문자는 복사해서 네이버에 검색하기만 해도 나온다.
  • 네이버 블로그나 다른 블로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네이버 검색을 통한 유입이 가능하다. 별도의 검색 등록 신청 없이 자동으로 수집되며, 수집 현황을 알고 싶다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여 확인할 수 있다.
  • 텀블러를 처음 시작하면 검열이 적다 보니 추천 블로그로 성인물을 올리는 블로그가 뜨기도 하는데, 이를 어느 정도 막기 위해서는 멀쩡한(...) 블로그를 몇 개 팔로우해 놓으면 된다. 팔로우한 블로그의 스타일에 따라 알맞은 블로그를 추천해 준다.

각주

  1. 한때 가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텀블러를 만들겠다는(...) 말과 함께 검열을 실시한 바 있어 기존 이용자들에게 큰 반발을 산바있다.
  2. 웹 포트폴리오로의 사용에 맞추어 만들어진 테마도 다수 있다.